$\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외국인의 한식에 대한 웰빙가치 인식과 체험이 한식의 세계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on Foreigners' Perception of Wellbeing Value and Experience with Korean Food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5 no.5, 2010년, pp.487 - 498  

이연정 (경주대학교 외식조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ccording to well-being value perception and the foreign visitor Korean food experience. An analysis of variance and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hypotheses.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식의 세계화가 무엇보다 요구되는 시점에 외국인의 한식에 대한 웰빙가치 인식과 체험 정도를 파악해보고 이것이 한식의 세계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을 통해 한식의 체계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대?내외에 한식 체험 붐을 조성하고 한식의 세계화 마케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식의 세계화가 무엇보다 요구되는 시점에 외국인의 한식에 대한 웰빙가치 인식과 체험 정도를 파악해보고 이것이 한식의 세계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을 통해 한식의 체계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대내외에 한식 체험 붐을 조성하고 한식의 세계화 마케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한식의 세계화가 무엇보다 요구되는 시점에 외국인의 한식에 대한 웰빙가치 인식과 체험 정도를 파악해보고 이것이 한식의 세계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을 통해 한식의 체계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대?내외에 한식 체험 붐을 조성하고 한식의 세계화 마케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 것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6) 나는 한식에 약식동원(음식이 곧 약이라는 개념) 사상이 들어있다고 생각한다. 7) 나는 한식의 가격은 적정하다고 생각한다. 8) 나는 김치, 불고기, 비빔밥 등이 웰빙 음식이라고 생각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식의 세계화를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한식은 김치, 인삼, 비빔밥, 장류 등 고유의 웰빙과 자연식에 가까운 음식이 어느 나라보다 많고 약선사상이 발달되어 있어 세계적인 웰빙과 슬로우푸드 열풍에 맞춰 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체험을 활성화한다면 한식의 세계화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여겨진다. 더욱이 각종 음식 축제 대회 개최, 각종 문화산업의 활발한 해외 진출,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음식드라마 대장금의 인기 등으로 우리 음식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외국인들이 한국의 식문화 및 한식에 더 한층 관심을 갖게 되는 좋은 시기를 맞이하였다(Park 2004; Lee 2008).
특별관심관광활동(SIT)과 체험관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인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경제성장, 삶의 질 향상(Life of Quality), 웰빙 문화, 여성의 사회활동증가, 주 5일제 근무 등으로 양보다 질에 관심을 둔 미식가들은 세계 유명요리를 맛보기 위해 특정 시기에 맞추어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특별관심관광활동(SIT)과 체험관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각국의 특색있는 전통음식 및 식문화에 대한 관심과 열망이 얼마나 뜨거운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다(Chen 2001; Lee 2005; Yi 2005; Lee 2006; Lee & Kim 2008).
특별관심관광활동(SIT)과 체험관광이 무엇을 나타내는 지표인가? 최근 경제성장, 삶의 질 향상(Life of Quality), 웰빙 문화, 여성의 사회활동증가, 주 5일제 근무 등으로 양보다 질에 관심을 둔 미식가들은 세계 유명요리를 맛보기 위해 특정 시기에 맞추어 해당 지역을 방문하는 특별관심관광활동(SIT)과 체험관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각국의 특색있는 전통음식 및 식문화에 대한 관심과 열망이 얼마나 뜨거운가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지표이기도 하다(Chen 2001; Lee 2005; Yi 2005; Lee 2006; Lee & Kim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Bae YH, Jinlin Z. 2003. Marketing strategy for korean restaurants in florida-through view of customers' preferenc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Korean J Foodservice Management, 6(2):85-100 

  2. Cattani D., Miller M., Mcdonald P., Nieporent D. 1999. Foodservice trend watch. Food Management, 21(1):78-99 

  3. Chang HJ, Yang IS, Chung LN, Shin SY. 2004. The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overseas and domestic tourism products focusing on traditional foods. Korean J. Food Culture, 19(4):392-398 

  4. Chang MJ, Cho MS.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15(3):215-223 

  5. Chen JS. 2001. A case study of Korean outbound travelers' destination images by using correspondence analysis. Korean J. Tourism Management, 22(0):345-350 

  6. Cho HS. 2009. Strategies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as tourism products. Korean J. Civilization, 9(2):37-58 

  7. Choi JA, Lee JM. 2010.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food experts in New York city toward Korean food -assessed by in-Depth Interviews of "foodies"-. Korean J. Food Culture, 25(2):126-133 

  8. Choi MS, Jung EH, Hyun TS. 2002.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traditional holiday food, rice cake, nonalcoholic beverage-. Korean J. Food Culture, 17(4):399-410 

  9. Gang MS, Chyun JH. 2006.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the knowledge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in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of Incheon. Korean J. Food Culture, 21(2): 107-115 

  10. Ha DH, Kwon MY. 2009. Awareness and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 among the residents in Gyeongju & Pohang area. Korean J. Culinary Research, 15(2):17-30 

  11. Hong HO, Lee JS. 2006. Survey on Korean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 Focused on the Staple Food and Snack - . Korean J. Nutrition, 39(7):699-706 

  12. Hong SP, Lee MA, Kim EM, Chae IS. 2007.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for Americans. Korean J. Food Culture, 22(6):801-807 

  13. Im HJ. 2010. Perceived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Influencing on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Asian Tourists to Korea- . Korean J. Culinary Research, 16(1):209-225 

  14. Jang DJ, Kim SA, Kim SH, Lee KK, Lee HJ. 2005. Survey of consumer perception for derivation of superior factors in various Korean traditional food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1(6):800-812 

  15. Jeon IS, Lee JS, Rho MK. 2007.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and Service Value of Korean Restaurants on the foreign Customer Response. Korean J Hospitality administration, 16(4):185-200 

  16. Kang JH, Kim JE. 2009. A survey of the perception of the superior factors to of Korean traditional foods by college students with food related majors. Korean J. Food Culture, 24(2):155-163 

  17. Khoe KI, Rowe SJ, Lim HC. 2007. A study on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traditional food. Korean J.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9(2):375-397 

  18. Kim JS. 2005. Universalizing korean food. Korean J. Food Culture, 20(5):499-507 

  19. Kim KA, Jung LH, Jeon ER, Jeong JA. 2005. Consciousness on the Korean traditional food of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 Korean J.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2):127-142 

  20. Kim SA, Lee MA, Kim EM, Lee SJ. 2004. The gap analysis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restaurants between foreign visitors and foreign resident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6):619-629 

  21. Kim SH. 2004. Korean menu preference and buying behaviors on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 Korean J. Foodservice Management, 7(3):129-148 

  22. Kim SM. 2001. A study on the attitudes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the Kyung-book area on the traditional foods (2) -the recognition, the seasonal customs and the life style -.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2):49-58 

  23. Ko HS, Lee JY. 2003. A market segmentation of Korean outbound tourists by their motivation. Korean J Hospitality administration, 12(1):103-118 

  24. Kweon SY, Yoon SJ. 2006.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chinese at Seoul residence. Korean J. Food Culture, 21(1):17-30 

  25. Lee EJ, Kim TH, Kim DR. 2008.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through the Korean food items promotion -focus on marketing strategy of Korean food items- Korean J. Food Culture, 23(6):729-736 

  26. Lee JY, Kim KJ, Park YH, Kim HR. 2010.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s of foreign consumers by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5(1):9-16 

  27. Lee SH, Park YB. 2002. Tour experience program development a utilizable cooking peculiar of an Andong locality. Korean J. Culinary Research, 8(3):147-168 

  28. Lee SJ, Chae IS. 2008.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of foreign customers visiting Korean restaurants located in USA:analysis for food and service attributes through IPA analysis. Korean J. Food Culture, 23(2):152-162 

  29. Lee YJ. 2005.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Korean food and revisiting intention of Japanese touris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3):247-256 

  30. Lee YJ. 2006. Impact of the 'Korean wave'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s to Korean traditional food-among Japanese tourists visiting Ko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5):497-505 

  31. Lee YJ. 2007. A study on the recogniti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of Japanese tourist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foods. Korean J. Soc. Food Sci, 23(1):156-164 

  32. Lee YJ. 2008. Influences of globalization factors of Korean food on country image, attitudes and product buying intention :toward Korea of Chinese and Japanese. Doctors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pp 1-38 

  33. Lee YJ, Kim SC. 2008. A study of residents' consciousness of local food menus excavation and development in Gyeongju areas, Korean J. Food Cookery SCI., 24(4):549-559 

  34. Lee YJ, Lee SB, 2008. Influences of globalization strategy factors of korean food on country image, attitudes toward Korea and product buying intention of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Korean J Hospitality administration, 17(3):117-135 

  35. Lee YJ, Seo YJ, Joo HS, Choi SK. 2005.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or the menu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food of Japanese tourists. Korean J. Food Culture, 20(2):283-291 

  36. Min KH. 2007. A Study on the Menu Quality Evaluation of Korean Restaurants in Jeonju Area for Revitalization of Han Brand. Korean J. Culinary Research, 13(3):187-198 

  37. Min KH. 2009. Analysis of academic research trends pertaining to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5(5):606-618 

  38. Min SH, Park OJ. 2004. A survey on the Korean food preference, frequency and nutritional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in Kangwondo area. Korean J. Food Culture, 19(1):43-51 

  39. Na JK. 2007. A study on globalization of Korean restaurants. Korean J. Foodservice Management, 10(2):155-179 

  40. Oh NY, Han MJ.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Korean J. Food Culture, 24(4):359-365 

  41. Park DH. 2004. Research of the marketing strategy for increasing Chinese tourists based on the "trend Korea (Hanliu)". Korean J. Tourism Information, 18(0):129-148 

  42. Park YS, Chung YS. 2009. Identifying perceptional dimensions and patterns of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in central asia- Comparisons among Koreans living in Yanbian, Mongolia, and Uzbekistan-. Korean J. Food Culture, 24(5):457-466 

  43. Seo GH, Lee SB, Sin MJ. 2003.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the improvement of korean restaurants for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6):715-722 

  44. Seo SH, Ryu KM. 2009. Chinese customers' perception of Korean foods and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to Korean cuisine restaurants -a focus on visiting experience and frequency of visits-. Korean J. Food Culture, 24(2):126-136 

  45. Shin BG, Kwon YJ. 2010. Difference analysis on the cognition, image, attitude,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among american, chinese, and japanese groups. Korean J. Foodservice Management, 13(3):311-332 

  46. Sim YJ, Jung BM, Kim ES, Joo NM. 2000. A survey for the international spread of Korean food from the Korean residents in the U. 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6(3):210-215 

  47. Yi KS. 2005. A study on experience tourism through everyday living culture rediscover. Korean J. Tourism Policy, 11(3):217-236 

  48. Yoon HR. 2005. A study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oods for foreigners in different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0(3):367-3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