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내국인 외국인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세분시장별 한식 편의식품 상품화 의견
Opinion of Commercialization of Ready-to-Eat Korean Foods by Food-Related Lifestyle Segments in Koreans and Non-Korea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4, 2016년, pp.602 - 612  

이나영 (대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보람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장혜자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식 상품화를 위한 내 외국인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기초로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시장의 특성과 한식 즉석편의식품 개발 대상을 규명하였다. 2009년 6월부터 9월에 걸쳐 국내외 거주 또는 방문 내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식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478명(한국인 266명, 외국인 212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식생활라이프스타일 17개 항목은 요인분석에 의해 맛추구, 건강추구, 편의추구, 경제추구의 4요인으로 분류한 후 조사대상자의 유형을 군집 분석하였다. 내국인의 세분시장은 건강추구형, 무관심형, 합리추구형, 가격민감형으로 분류되었고, 외국인은 맛추구형, 합리추구형, 무관심형, 편의추구형으로 세분화되었다. 각 세분시장별로 인구통계학적 변수는 서로 차이가 있었고 한식 인지도와 기호도에 차이가 있었다. 내국인과 외국인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세분시장별로 상품화 시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평가한 결과 내국인 중 건강추구형, 가격민감형은 비빔밥을, 외국인 중 맛추구형은 불고기를, 합리추구형과 무관심형은 비빔밥을 상품화가 필요한 제품이라고 응답하였다. 상품화 시 구매하고 싶은 음식은 내국인 중 건강추구형은 잡채, 무관심형은 비빔밥을 꼽았고, 외국인 중 맛추구형은 불고기, 합리추구형과 편의추구형은 잡채, 무관심형은 비빔밥을 선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국내외 한국인과 외국인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하여 특정 세분시장별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으로 상품 출시 및 홍보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식 즉석편의식품 상품화 시 소비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별 시장성이 예상되는 상품들의 전략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food-related lifestyle segments for commercialization of ready-to-eat Korean foods, to identify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o evaluate perceptions and preferences related to Korean fo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266 Koreans and 212 non-Korea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국인과 외국인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시장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한식의 인식도 및 선호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세분시장별 한식 즉석편의식품 개발 대상 식품을 규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국인과 외국인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시장별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한식의 인식도 및 선호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세분시장별 한식 즉석편의식품 개발 대상 식품을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식 상품화를 위한 내・외국인들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기초로 시장을 세분화하고, 세분시장의 특성과 한식 즉석편의식품 개발 대상을 규명하였다. 2009년 6월부터 9월에 걸쳐 국내외 거주 또는 방문 내국인과 외국인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 방식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478명(한국인 266명, 외국인 212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국 이탈리아와 같은 나라들이 자국의식문화를 주요 관광자원으로 인식하고 세계화를 추친하는 이유는 어떤 효과가 있기 때문인가? 중국, 이탈리아, 독일, 일본 등과 같은 국가들은 자국의식문화를 주요 관광자원으로 인식하고 세계화를 추진해 오고 있다(4). 식문화의 관광자원화는 경제적 효과뿐 아니라 사회, 문화, 교육 분야의 비금전적인 효과가 크다(5). 한국전통음식의 경우 세계화를 위한 상품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어 왔고(6,7) 식재료 구성과 영양 측면의 우수성(8,9)을 외국으로부터 인정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시적인 성과는 미흡한 실정이다.
2005년 우리나라 즉석편의식품의 매출은? 1990년 후반부터 국내에서 시작된 쿡칠형(cook-chill type) 편의식품(ready-to-eat: RTE), 즉 쉽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냉장저장형의 반가공조리음식의 개발(1,2)은 소비자의 외식 증가와 푸드서비스 산업 성장에 의한 전문 조리인력의 양성으로 많이 늘어났다. 200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즉석편의식품의 매출은 28조 원 규모에 달한다. 가정에서의 조리시간을 단축하되 다양하고 우수한 품질의 식사를 즐기려는 소비자의 소비 경향은 즉석편의식품의 성장세를 지속시키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3).
한국전통음식의 세계화를 추진하는 데 걸림돌로 인식되고 있는 요소는 무엇인가? 한국전통음식의 세계화를 추진하는 데 걸림돌로 인식되고 있는 요소는 한국 음식 조리법의 복잡성과 이로 인한 가치 대비 과다한 생산 비용 발생, 외국인에게 익숙하지 않은 향미(8), 외국인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상품화 전략 부재, 대량 생산에 적합한 표준레시피 구축 미흡 등(10)이 지적된다. 다행히 최근에 우리 고유 음식을 상품화하려는 노력이 각처에서 전개되고 있지만(7), 식생활 환경의 변화에 맞춰 한국음식의 세계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내외에서 한국음식의 접근성 개선이 필요하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wak TK, Lee KE, Park HW, Ryu K, Choi EJ, Hong WS, Chang HJ, Kim SH. 1997. The survey of housewives' percep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frigerated convenience foods for Koreans. Korean J Dietary Culture 12: 391-400. 

  2. Kwak TK, Shon SS, Yoon S, Park HW, Ryu K, Hong WS, Chang HJ, Moon HK, Choi JH. 2000. Quality assessment of cook/chilled soy sauce glazed soybean curd packaged with different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oriented convenience foods. Korean J Soc Food Sci 16: 99-111. 

  3. Kim GT, Koo KM, Paik HD, Lyu ES, Lee DS. 2001. Processing and storage of spinach products using cook-chill and sous vide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95-1101. 

  4. Lee HG, Choi YJ. 1998. Dietary survey in Kyeonggido area. Korean J Dietary Culture 13: 393-403. 

  5. Son YJ. 2005. A study on the need of development for tourism merchandising of regional cuisine in Kyonggi province. Tourism Research 21: 211-226. 

  6. Khoe KI, Sul WS. 2008. A study on the entering strategies of Korean traditional food in Chinese market. Korean J Food Marketing Economics 25: 125-152. 

  7. Park JW, Lee DW. 2008. Awareness of local food menus development in Gangwon-do. Korea J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2: 179-190. 

  8. Chang HJ, Choi BR, Yi NY, Park BS, Kim HS. 2010. Preferences and product development opinions of Koreans and non-Koreans regarding commercialization of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58-468. 

  9. Lee YJ. 2007. A study on the recogniti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of Japanese tourist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food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56-164. 

  10. Shin SM.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Korean traditional food data integration system. Korean J Food & Nutr 21: 545-522. 

  11. Kim MH, Woo N, Chung HK. 2011. Acceptance process and globalization strategy for Korean food introduced into Vietnam. Korean J Food Culture 26: 199-210. 

  12. Chang HJ. 2010. Commerci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 applicable to cook-chill system and development of quality management standards using the concept of risk analysis. Ministry of Education Final Report, Seoul, Korea. p 97-98. 

  13. Kim JY, Ahn BI. 2015. Effect of consumers' dietary lifestyle on the consumption pattern of 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Marketing Economics 32: 31-53. 

  14. Kim KH, Kim KM. 2010. A study on Chinese consumers' Korean food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food-related lifestyle. Korean J Food Marketing Economics 27: 41-62. 

  15. Brunso K, Grunert KG. 1995.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cross-culturally valid instrument: Food-related lifestyle. Adv Consum Res 22: 475-480. 

  16. Kotler P. 1983. Principles of marketing. 2nd ed. Prentice-Hall, Upper Saddle River, NJ, USA. p 173. 

  17. Kesic T, Piri-Rajh S. 2003. Market segmentation on the basis of food-related lifestyles of Croatian families. Br Food J 105: 162-174. 

  18. Seung HS. 2005. A study on using behavior of bakery by dietary lifestyle. M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9. Han JS, Kim JS, Kim SY, Kim MS, Otani K, Minamide T. 1998. A survey of Japanese perception of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s. Korean J Soc Food Sci 14: 188-194. 

  20. Joo N, Kennon LR, Sim YJ, Lee KA, Jeong HS, Park SJ, Chun HJ. 2001.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Americans residing in Korea for Korean traditional food.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39: 15-23. 

  21. Jang M, Cho M.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foreign visitors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15: 215-223. 

  22. Park YS, Chung YS. 2005. Korean traditional food perception and cultural aspect of Korean Mongolian housewives. Korean J Food Culture 20: 35-43. 

  23. Kweon SY, Yoon SJ. 2006. Recognition and preference to Korean traditional food of Chinese at Seoul residence. Korean J Food Culture 21: 17-30. 

  24. Lim YM, Yoon HH. 2006. A study on the food-related life style to wine selection attribution. Korea J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0: 289-300. 

  25. Chang HJ. 2013. The Series of 2013 Basic Research Project: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well-being menu for the middle class active silver generation. YoulChon Foundation, Seoul, Korea. p 213-327. 

  26. Choi SW, Kim KJ. 2013. The effect of Yaksun food awareness and preference on customer loyalty. FoodService Industry Journal 9: 59-71. 

  27. Cho SH, An HM. 2013. The effect of purchase motivation and selection attribute of home meal replacement of longterm orientation upon food-related lifestyle. J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15: 370-391. 

  28. Kim MJ, Jung HS, Yoon HY.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food-related lifestyle of undergraduates and the restaurant selection attribute. Korean J Food Culture 22: 210-217. 

  29. Institute of Traditional Korean Food. 2009. Beautiful 300 Korean foods. Jilsiru Ltd., Seoul, Korea. p 1-392. 

  30. Song JJ. 2009. SPSS/AMOS statistic analysis method for the thesis. The 21 Century Publisher, Gyeonggi-do, Korea. p 106. 

  31. Yong T, Shi-hua M, Feng-mei G. 2007. Empirical study on impact of logistics operations capability on supply chain performance.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ing, and Mobile Computing (WiCOM). Shanghai, China. 

  32. Kim KH. 2010. Effect of a Food-related lifestyle on the consum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s, and intention to revisit. J Korea Contents Assoc 10: 370-380. 

  33. Kim KM, Kim KH. 2010. Korean food market segmentation strategies and applied food-related lifestyles. Korean J Food Culture 25: 466-472. 

  34. Jang YJ. 2010. Food-related lifestyle segments of older consumers in Seoul and its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6-153. 

  35. Kim KH. 2011. Study on Japanese consumers' Korean food consumption behaviors and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food-related lifestyle -Focusing on inbound Japanese tourist-. Korean J Food Culture 26: 614-6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