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재료의 주요한 냄새성분과 김치숙성중의 냄새성분 및 관능적특성의 변화
Major Odor Components of Raw Kimchi Materials and Changes in Odor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During Ripening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5 no.5, 2010년, pp.607 - 614  

정혜승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고영태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anges in major volatile odor components (VOC) and sensory properties of kimchi during ripening for 4 days were investigated, and major VOCs of the raw materials of kimchi were also analyzed. Seven of eight major VOCs of kimchi originated mainly from garlic, while one originated from ginger. Dur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o & Lee(2007)는 김치에 분말상태의 녹차를 첨가하여 관능적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는데, 조직감은 숙성 2-3일에 녹차의 첨가량이 높을때 기호도 수치가 저하하였고, 색상은 숙성 1-3일에 녹차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기호도 수치가 저하하였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실험은 김치에 기본적인 재료이외의 다른 재료를 첨가하지않고 숙성기간에 따른 관능적특성의 변화를 관찰한것이다. 따라서 숙성기간 중에 변화가 큰 산미와 냄새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조직감과 색상은 기호도 수치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김치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과 관능적특성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하는것이다. 먼저 김치재료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을 분석하고, 김치를 20℃에서 4일간 숙성하면서 1일단위로 시료를 취하여 주요한 휘발성냄새 성분과 관능적특성의 변화를 관찰하고,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Salt content was adjusted to approximately 1.5% of final product. Salt content was measured by digital-salinometer (Sekisui C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산미와 함께 김치의 관능적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김치의 휘발성냄새성분은 김치의 산미와 함께 김치의 관능적특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운데 하나이다. 김치의 휘발성냄새성분에 대한 여러 연구자들의 보고를 보면 다음과같다.
김치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의 종류는? 본 연구에서는 먼저 김치재료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을 분석하고, 김치를 20oC에서 4일간 숙성하면서 1일단위로 시료를 취하여 김치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과 관능적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김치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 8종(ethanol, allyl mercaptan, methyl all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diallyl sulfide, methyl propyl disulfide, meth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가운데 methyl trisulfide를 제외한 7종은 주로 마늘에서 유래되었으며, methyl trisulfide는 생강에서 유래되었다. 김치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의 분석결과를 보면, ethanol은 숙성기간중에 계속 증가하다가 숙성4일에는 다소 감소하였으며, 다른 휘발성냄새성분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휘발성냄새성분을 유래하는 김치재료의 종류는? 본 연구에서는 먼저 김치재료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을 분석하고, 김치를 20oC에서 4일간 숙성하면서 1일단위로 시료를 취하여 김치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과 관능적특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김치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 8종(ethanol, allyl mercaptan, methyl all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diallyl sulfide, methyl propyl disulfide, meth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가운데 methyl trisulfide를 제외한 7종은 주로 마늘에서 유래되었으며, methyl trisulfide는 생강에서 유래되었다. 김치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의 분석결과를 보면, ethanol은 숙성기간중에 계속 증가하다가 숙성4일에는 다소 감소하였으며, 다른 휘발성냄새성분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Hawer WD. 1994. Study of changes in flavor components in chinese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In: Science of kimchi. Abrstract of symposium of Korean Soc. Food Sci. Technol., Seoul. pp 175-190 

  2. Hawer WD. 2001. Volatile Odor Components of Kimchi. In: Science and Technology of Kimchi. Abstract of 13th symposium of kimchi research institute,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pp 163-176 

  3. Hawer WD, Ha JH, Seog HM, Nam YJ, Shin DW. 1988. Changes in the taste and flavor compound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4):511-517 

  4. Ha JH. 2002.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kimchi absorbed in SPME by GC-AED and GC-MS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3):543-545 

  5. Jang SM, Kim H, Park JY, Yun SS, Kim SJ, Cha YJ. 1999a. Volatile odor components of Chinese cabbage kimchi during ripening. Abstract of Poster Session. 1999 Annual meeting of Korean Soc. Food Sci. Technol., Seoul. p 289 

  6. Jang SM, Kim H, Park JY, Yun SS, Park SY, Cha YJ. 1999b. Study of major voaltile odor components of Chinese cabbage kimchi during ripening by AEDA method. Abstract of Poster Session. 1999 Annual Meeting of Korean Soc. Food Sci. Technol., Seoul. p 289 

  7. Ko YT, Lee SH.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green tea powder. J. Korean Soc. Appl. Bio. Chem., 50(4):281-286 

  8. Ko YT. 2005. Effects of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added to kimchi on growth and acid form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on quality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7(5):795-800 

  9. Ko YT, Lee JY.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part of Chinese cabbage and its quality change by freeze-dry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6(5):784-789 

  10. Ko YT, Hwang JK, Baik IH. 2004. Effects of jeotkal addition on quality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6(1):123-128 

  11. Ko YT, Lee JY. 2006. Quality of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power added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8(1):143-146 

  12. Ko YT, Lee S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purified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3(5):609-616 

  13. Larmond E. 1997. Laboratory Methods for Sensory Evaluation of Food. Canada Department of Agriculture, Ottawa, Canada. pp 31-37 

  14. SYSTAT Software Inc. 2004. SigmaStat Version 3.01A. SYSTAT Software Inc., Richmond, CA,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