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자반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산
Bioethanol Production from Hydrolysate of Seaweed Sargassum sagamianum 원문보기

KSBB Journal, v.25 no.3, 2010년, pp.283 - 288  

연지현 (충주대학교 바이오산업학과) ,  서현범 (충주대학교 바이오산업학과) ,  오성호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 ,  최원석 (충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강도형 (한국해양연구원) ,  이현용 (강원대학교 생물소재공학) ,  정경환 (충주대학교 바이오산업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bioethanol production from hydrolysate of brown seaweed Sargassum sagamianum. Prior to bioethanol production using yeasts, six yeast strains were compared and the best ones in terms of the ethanol production levels were selected. Pichia stipitis ATCC 7126, Pichia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표적인 6탄당과 5탄당을 넣은 배지가 모자반 가수분해물로부터 가장 효율적으로 bioethanol을 생산하는 효모 선별에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지는 못한다 할지라도 가장 최선의 접근법이라고 생각되어져서 7126, 58784, 58376 균주를 가지고 아래의 모자반 가수분해물에서의 bioethanol 생산 연구를 수행하였다. 또한 연료용 bioethanol 생산 할 때, 고농도의 ethanol이 증류공정의 비용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효모 균주의 bioethanol 생산능력보다는 최종 bioethanol 농도가 가장 높은 균주를 다음 연구를 위한 선별 기준으로 삼았다.
  • 이에 앞서서 6탄당과 5탄당을 이용하는 효모 중에서 가장 적절한 효모를 선별하는 연구를 bottle culture를 통하여 수행하였고, 5탄당의 bioethanol로의 전환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발효조에서 bioethanol을 생산하는 실험을 실시 할 경우에는 surface aeration을 통하여 미량의 공기를 주입하였다. 본 연구는 모자반의 가수분해물로부터 bioethanol을 생산하는 기반연구 결과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이미 보고된 연구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특징적으로 모자반의 전처리 가수분해물을 고압액화 추출기를 이용하여 만든 후, 이 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bioethanol을 생산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앞서서 6탄당과 5탄당을 이용하는 효모 중에서 가장 적절한 효모를 선별하는 연구를 bottle culture를 통하여 수행하였고, 5탄당의 bioethanol로의 전환 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발효조에서 bioethanol을 생산하는 실험을 실시 할 경우에는 surface aeration을 통하여 미량의 공기를 주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ulfated heteropolysaccharide의 구성성분으로 어떤 것들이 보고되었는가? 의 또 다른 carbohydrate 성분으로 sulfated heteropolysaccharide도 알려져 있다 [5-11]. 이 sulfated heteropolysaccharide의 구성성분으로 fucose, xylose, galactose, glucose, uronate, glucuronic acid, arabinose, mannose, rhamnose 등의 단당류가 보고되고 있다. 이때 fucose는 약 20% 정도의 함량을 보이며 나머지 단당류들은 brown seaweed의 종류에 따라 많은 조성의 편차를 보이고 있다.
모자반이란? 모자반 (Sargassum sagamianum)은 우리나라의 동남해안과 일본 해안에 분포하는 갈조류 (brown seaweed)의 한 종류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모자반속의 많은 종류가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하며 alginate의 원료와 비료로 사용되어져 왔다. 또한 연안 어류가 먹이를 얻거나 산란하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여 어족자원 확보에 매우 중요한 구실을 하기도 한다 [1].
모자반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바이오 에탄올 생성 실험에서, 공기의 공급을 제한한 이유는? 앞으로 모자반 가수분해물 안의 다양한 환원당 성분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본 연구에서는 5탄당의 ethanol로의 conversion시 산소로 인하여 그 수율이 떨어질 것을 생각하여, bottle cultur와 fermenter culture에서 공기 공급을 제한하였다. 특히 fermenter culture에서는 surface aeration을 통하여 제한된 공기를 주입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argassaceae. http://www.encyber.com. 

  2. Jensen, A. (1993) Present and future needs for algae and algal products. Hydrobiologia 260-261: 15-23. 

  3. Zubia, M., C. Payri, and E. Deslandes (2008) Alginate, mannitol, phenolic compound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wo range-extending brown algae, Sargassum mangarevense and Turbinaria ornata (Phaeophyta: Fucales), from Tahiti (French Polynesia). J. Appl. Phycol. 20: 1033-1043. 

  4. Aquatic biomass: Sustainable bio-energy from algae? http://www.oeko.de. 

  5. Abdel-Fattah, A. F., M. M. -E. Hussein, and H. M. Salem (1973) Sargassan: A sulphated heteropolysaccharide from Sargassum linifolium. Phytochemistry. 12: 1995-1998. 

  6. Sinha, S., A. Astani, T. Ghosh, P. Schnitzler, and B. Ray (2010) Polysaccharides from Sargassum tenerrimum: Structural features, chemical modification and anti-viral activity. Phytochemistry. 71: 235-242. 

  7. Hiroe, M. and N. Kazutosi (1982) Sugar constituents of sulfated polysccharides from the fronds of Sargassum ringgoldianum. B. Jpn. Soc. Sci. Fish. 48: 981-989. 

  8. Zhou, J., N. Hu, Y. l. Wu, Y. Pan, and C. R. Sun (2008) Preliminary studies on the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acidic polysaccharides from Sargassum fusiforme. J. Zhejiang Univ. Sci. B. 9: 721-727. 

  9. Zhu, W., L. C. M. Chiu, V. E. C. Ooi, P. K. S. Chan, and P. O. Ang Jr. (2006) Antiviral property and mechanisms of a sulphated polysaccharide from the brown alga Sargassum patens against Herpes simplex virus type 1. Phytochemistry 13: 695-701. 

  10. Dias, P. F., J. M. Siqueira Jr., M. Maraschin, A. G. Ferreira, A. G. Ferreira, A. R. Gagliardi, and R. M. Ribeiro-do-Valle (2008) A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the brown seaweed Sargassum stenophyllum exerts antivasculogenic effects evidenced by modified morphogenesis. Microvasc. Res. 75: 34-44. 

  11. Duarte, M. E. R., M. A. Cardoso, M. D. Noseda, and A. S. Cerezo (2001) Structural studies on fucoidans from the brown seaweed Sargassum stenophyllum. Carbohydr. Res. 333: 281-293. 

  12. Lee, S. M., I. S. Choi, S. K. Kim, and J. H. Lee (2009) Production of Bioethanol from brown algae by enzyme hydrolysis. KSBB J. 24: 483-488. 

  13. Lee, S. M., J. H. Kim, H. Y. Cho, H. Joo, and J. H. Lee (2009) Production of bioethanol from brown algae by physicochemical hydrolysis. J. Korean Ind. Eng. Chem. 20: 517-521 

  14. Horn, S. J., I. M. Aasen, and K. Ostgaard (2000) Ethanol production from seaweed extract. J. Ind. Microbiol. Biotechnol. 25: 249-254. 

  15. Mosier, N., R. Hendrickson, N. Ho, M. Sedlak, and M. R. Ladisch (2008) Optimization of pH controlled liquid hot water pretreatment of corn stover. Bioresour. Technol. 96: 1986-1993. 

  16. Chaplin, M. F. and J. F. Kennedy (1986) Carbohydrate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 p. 3. IRL press, Oxford, UK. 

  17. Lee, S. -E., H. -B. Seo, M. C. Kwon, H. -Y. Lee, and K. -H. Jung (2010) Operational strategy for increasing ethanol production in repeated fed-batch ethanol fermentation using Saccharomyces cerevisiae. KSBB J. 25: 187-192. 

  18. Lee, S. -E., J. -H. Yeon, Y. C. Seo, D. H. Kang, H. -Y. Lee, and K. -H. Jung (2010) Optimal strategy for ethanol production in repeated fed-batch operation using flocculent Sacchromyces cerevisiae. KSBB J. 25: 179-1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