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력재배에 적합한 녹두 품종의 특성
Growth Property and Seed Quality of Mungbean Cultivars Appropriate for Labor Saving Cultivation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5 no.3, 2010년, pp.239 - 244  

김동관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손동모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최진경 (전라남도농업기술원) ,  천상욱 ((주)이파리넷) ,  이경동 (동신대학교) ,  임요섭 (순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부지역에서 녹두 생력재배(whole crop feeding combine 수확)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 종실품질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현녹두는 도복과 병해에 강하고 개체당 협수가 많아 수량성이 우수하여 생력재배에 적합하였다. 국내에 많이 보급된 어울녹두와 금성녹두는 병해에 약하거나 개체 당 협수가 적어 수량이 낮았다. 종실의 전분 함량은 삼강녹두, 조단백질 함량은 장안녹두와 남평녹두 및 금성녹두, vitexin과 isovitexin 함량은 소현녹두에서 많았다. 그러나 조지방 함량은 품종 간 차이가 없었고, 불포화지방산이 51.8~57.2%, 포화지방산이 36.2~40.3% 차지하였다. 불포화지방산은 5종이 확인되었고 linoleic acid (36.1~38.6%), linolenic acid (10.3~14.7%), oleic acid (2.7~4.6%) 순으로 함량비가 높았다. 포화지방산은 7종이 확인되었고 palmitic acid (28.7~30.9%), stearic acid (2.9~4.1%), arachidic acid (1.5~3.7%) 순으로 함량비가 높았다. 종실의 amylogram 특성은 시험품종 간 큰 차이를 나타냈다. 호화개시온도는 남평 녹두에서 낮았고, 최고점도와 강화점도는 다현녹두에서 높았으며, 치반점도는 소현녹두, 남평녹두, 다현녹두에서 낮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ungbean (Vigna radiata L.) cultivars with appropriate characteristics for labor saving culture (whole crop feeding and combine harvesting), and to investigate seed quality in the southern South Korea. Cultivar Dahyeon exhibited strong lodging resistance,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부지역에서 녹두 생력재배(whole crop feeding combine 수확)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 종실품질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현녹두는 도복과 병해에 강하고 개체당 협수가 많아 수량성이 우수하여 생력재배에 적합하였다.
  • 다행히 최근에 녹두의 생육특성과 재배조건 등을 고려하여 Kim 등(2009)은 국내에 가장 많이 보급된 어울녹두와 금성녹두를 대상으로 기계(whole crop feeding combine)수확을 위한 남부지역 파종적기가 7월 20일 경임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영농현장에서 안정적으로 녹두 생력재배 면적을 확대하여 국내산 녹두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자 우리나라 녹두 주산지인 전남지역에서 생력재배(whole crop feeding combine 수확)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 종실 품질특성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두는 왜 일시에 수확하고 탈곡하는 것이 곤란한가? 녹두는 고온성 작물로 생육 최저온도는 20℃이고 최적온도는 28~30℃이며 일장에 둔감한 계통은 24℃에서 수량이 가장 높은 반면 단일 감응형 계통은 27℃에서 수량이 가장 많다(김 등, 2006). 또한 무한신육 특성을 지녀 기상조건이 생육에 적합하고 식물체 영양이 양호할 경우 개화가 여러번에 걸쳐 왕성하게 일어나고 꼬투리가 착생하므로 일시에 수확과 탈곡이 매우 곤란하다. 이와 같은 녹두의 특성 때문에 농가 관행재배의 경우 3∼4회 손으로 수확하여 건조하고 탈곡해야하므로 호당 넓은 면적을 재배하기 어려워 재배면적이 급속하게 감소하였다.
녹두의 생육온도별 특징은? 녹두는 고온성 작물로 생육 최저온도는 20℃이고 최적온도는 28~30℃이며 일장에 둔감한 계통은 24℃에서 수량이 가장 높은 반면 단일 감응형 계통은 27℃에서 수량이 가장 많다(김 등, 2006). 또한 무한신육 특성을 지녀 기상조건이 생육에 적합하고 식물체 영양이 양호할 경우 개화가 여러번에 걸쳐 왕성하게 일어나고 꼬투리가 착생하므로 일시에 수확과 탈곡이 매우 곤란하다.
다현녹두가 생력재배에 적합한 이유는? 남부지역에서 녹두 생력재배(whole crop feeding combine 수확)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 종실품질을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다현녹두는 도복과 병해에 강하고 개체당 협수가 많아 수량성이 우수하여 생력재배에 적합하였다. 국내에 많이 보급된 어울녹두와 금성녹두는 병해에 약하거나 개체 당 협수가 적어 수량이 낮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동관, 박금룡, 신성휴, 한원영, 오기원, 최유미, 나영왕, 고호철, 곽재균, 조규택. 2006. 녹두 유전자원 특성조사 및 관리 요령. 농촌진흥청. 3-21. 

  2. 농촌진흥청. 2006a. 식품성분표(제7개정판) 제I 편. pp. 80-81. 

  3. 농촌진흥청. 2006b. 식품성분표(제7개정판) 제II 편. pp. 294-295. 

  4. 농촌진흥청. 2003a.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 분석기준. pp. 19-341. 

  5. 농촌진흥청. 2003b. 쌀 품질 및 식미평가. pp. 58-74. 

  6. Kim, D. K., J. G. Choi, B. J. Jung, D. M. Son, and K. H. Kim. 2009. Proper seeding time for mechanical harvesting in mungbean. Korean J. Crop Sci. 54(1) : 7-12. 

  7. Kim, D. K., S. U. Chon, K. D. Lee, J. B. Kim, and Y. S. Rim. 2008a. Variation of flavonoids contents in plant parts of mungbean. Korean J. Crop Sci. 53(3) : 279-284. 

  8. Kim, D. K., Y. S. Lee, B. J. Jung, D. M. Son, J. K. Moon, Y. J. Oh, J. B. Kim, and K. H. Kim. 2008b, A new high quality and yield mungbean cultivar "Sohyeon". Korean J. Breed. Sci. 40(4) : 507-511. 

  9. Kim, Y. S. Y. B. Han, Y. J. Yoo, and J. S. Jo. 1981.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korean mungbean. Korean J. Food Technol. 13(2) : 146-152. 

  10. Ko, M. S., S. W. Hyon, Y. K. Kang, and C. H. Song. 1992. Effects of seed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in mungbean. Korean J. Crop Sci. 37(5) : 461-467. 

  11. Lee, S. C., T. G. Lim, D. C. Kim, D. S. Song, and Y. G. Kim. 1997. Varietal differences of major chemical compon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mungbean. Korean J. Crop Sci. 42(1) : 1-6. 

  12. Lee, Y. S., T. D. Park, C. Y. Yoon, J. K. Choi, M. S. Kim, J. Y. Lee, S. C. Kim, S. K. No, S. D. Kim. Y. H. Lee, and K. S. Min. 1998. A new synchronized maturity and high yielding mungbean variety "Owoolnogdu". RDA. J. Crop Sci. 40(2) : 126-129. 

  13. Park, H. G. 1980. Seasonal influence on yield, its components and maturity in mungbean (Vigna radiata). Jour. Kor. Hort. Sci. 21(2) : 126-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