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선편이 양상추의 온도별 저장 중 미생물과 품질변화
Microbe and Quality Changes of Ready-to-Eat Lettuce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12, 2010년, pp.1867 - 1872  

조선경 (경원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권혜순 (농협식품안전연구원) ,  박종현 (경원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신선편이 식품인 진공 포장된 상추를 보관하면서 미생물과 품질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염소수로 살균 소독되어 진공 포장된 상추를 $5^{\circ}C$, $15^{\circ}C$, $25^{\circ}C$에서 7일까지 보관하면서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 식중독세균, 젖산균 생균수 분석과 포장내의 가스 및 관능검사를 하였다. 보관 실험 전에 총 균수가 2 log CFU/g, 대장균군은 1 log CFU/g 오염되어 있었고 젖산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5^{\circ}C$에서의 7일까지 보관하는 동안에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젖산균의 증식은 1 log CFU/g이었으며 다른 병원성 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취와 아삭아삭함 등의 관능적 특성을 고려했을 때 5일 보관 시에 최상의 절반정도의 관능도를 보여 주었다. $15^{\circ}C$에서의 보관 시 3일 보관할 때 일반세균수는 3 log CFU/g, 대장균군은 2 log CFU/g 증식하였으나 젖산균은 4 log CFU/g 증식하여 현저히 증식이 잘 일어났고 다른 병원성 세균 중 B. cereus만이 증량 배양 후에 검출되었다. 이취, 아삭아삭함 등은 3일 보관 시에 최상의 절반정도의 관능도를 보여주었다. $25^{\circ}C$에서의 저장 시 1일만의 일반세균수의 3 log CFU/g, 대장균군은 1 log CFU/g, 젖산균은 4 log CFU/g 증가하였다. 식중독 세균 중 B. cereus만이 증량 배양 후에 검출되었다. 관능검사평가도 1일 안에 모든 항목에서 최상의 절반 이하로 낮게 나왔다. 그러므로 신선편이 상추의 오염세균 증식을 저해하기 위하여 가능한 낮은 온도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흥미롭게도 검출 세균 중에 젖산균의 증식이 혐기조건에서 크게 일어났는데 이들 젖산균은 신선편이 식품의 품질 저하와 관련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be and quality changes of vacuum-packaged ready-to-eat lettuce were analyzed. While the vacuumpackaged lettuce after chlorine sanitizer were stored at $5^{\circ}C$, $15^{\circ}C$, and $25^{\circ}C$ for 7 days, viable numbers of total aerobic bacteria (TAB), co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패스트푸드용 샐러드로 대량으로 사용되는 진공포장 상추에 대한 온도별, 시간별 저장시의 일반세균수 및 젖산균수, 대장균군, 식품유래 식중독 미생물의 변화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포장지 내의 O2, CO2 가스의 변화, 그리고 외관, 식감에 대한 관능적인 분석을 통해 진공포장 즉석섭취 양상추의 저장기간 중에 품질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상추 취급에 있어서 주의점은 무엇인가? 양상추는 결구 상추라고도 하는데 보통 생육적온은 보통 15~20oC 정도이고 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 유기질이 풍부한 토양이면 어느 토양이든 잘 자라는 편이다. 다른 채소보다 수분이 많고 섬유질이 적으며 잎이 연약하 여 쉽게 씹을 수 있어서 생식으로 이용되지만 시들거나 부패 등 상품성의 저하가 빨라 저장성이 떨어진다. 국내에서 Kim 등(8)은 예냉처리를 실시한 후 저온 유통시킴으로써 저장기간이 90% 이상 연장된다고 보고했다.
신선편이 농산물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식품 소비경향은 교육 및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식품관련 지식이 증가되면서 식품 선택 시 편이성과 합 리성이 부각되어 신선편이 가공 농산물의 소비 공급이 증가되고 있다(1,2). 신선편이 농산물은 식품 소재 특유의 신선함을 유지하면서도 사용할 때 간편성을 부여한 제품이다(3). 그런데 농산 원부재료가 오염이 되었을 경우 조리 후 음식의 위생 상태가 원부재료의 상태 그대로 전이되므로 원부재료의 위생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4).
대장균군은 무엇인가? 대장균군은  검출되면 사람이나 동물의 분변에서 의해 오염된 것으로 추정하여 위생상 오염의 지표가 되고 있으며 대장균군과 대장균의 오염은 다른 식중독 세균의 감염 가능성을 시사한다(10). 대장균군은 사람 또는 포유동물의 장기 내의 세균으로 유당을 분해하여 가스를 발생하는 무아포성의 간균이다. 특히, 분뇨나 분변에는 소화기에 전염병과 식중독균 그리고 enterovirus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HJ. 2001. Survey on sanitation practice and the analysis of improvement by implementing HACCP system in foodservice operation. PhD Dissertation. Sookmyung University, Seoul, Korea. 

  2. Lee SH. 2003. Application of electrolyzed water for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in vegetable salads flow of school foofservices. PhD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p 6-12. 

  3. Lim JH, Cho JH, Hong SI, Jeong, MC, Kim, DM. 2005. Quality changes of fresh-cut potatoes during storage dependimg on the packaging treatm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33-938. 

  4. Kown JY, Kim BS, Kim GH. 2006. Effect of washing methods and surface sterilization on quality of fresh-cut chicory (Clchorium intybus L. var. foliosum).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28-34. 

  5. Choi JW, Park SY, Yeon JH, Lee MJ, Chung DH. 2005.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s of fresh vegetables distributed in markets. J Food Hyg Safety 20: 43-47. 

  6. Lee SH. 2004.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and chlorinated water on sensory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ttuc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589-597. 

  7. KFDA. http://fm.kfda.go.kr/ Accessed Oct. 22, 2010 

  8. Kim BS, Kim DC, Lee SE, Jeong JW. 1995. Freshness prolongation of crisphead lettuce by vacuum cooling and coldchain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546-554. 

  9. Goepfert JM, Spira WM, Kim HU. 1972. Bacillus cereus: Food poisoning organism. A review. J Milk Food Technol 35: 213-231. 

  10. Jung DW, Kim YW, Shon JR, Byeon SH. 2003. The degree to which publicly circulated ice creams are contaminated with general bacteria and E. coli bacteria. J Health Sci Med Technol 29: 56-61. 

  11. Cho SD, Kim DM. 2008. Quality evaluation of fresh-cut lettuc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Nutr 21: 28-34. 

  12. Sagoo SK, Little CL, Ward L, Gillespie IA, Mitchell RT. 2003. Microbiological study of ready-to-eat salad vegetables from retail establishments uncovers a national outbreak of Salmonellosis. J Food Prot 66: 403-409. 

  13. FDA, CFSAN, Office of Plant and Dairy Foods and Beverages. 2001. FDA survey of imported fresh produce. 

  14. Friesema I, Schimmer B, Stenvers O, Heuvelink A, de Boer E, van der Zwaluw K, de Jager C, Notermans D, van Ouwerkerk I, de Jonge R, van Pelt W. 2007. STEC O157 outbreak in the Netherlands, September-October 2007. Euro Surveill 12: E071101.1. 

  15. FDA. 1999. The guide to minimize microbial food safety hazards for fresh fruits and vegetables. 

  16. Shoichi Y, Eiji O, Norio A, Kasthuri V. 1999. Cloning and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gyrB of Bacillus cereus, B. thuringiensis, B. mycoides, and B. anthracis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detection of B. cereus in rice. Appl Environ Microbiol 65: 1483-1490. 

  17. Kim JS, Bang OK, Chang HC. 2004. Examination of microbiological 

  18. Kubheka LC, Mosupye FM, Holy VA. 2001. Microbiological survey of street-vended salad and gravy in Johannesburg city, South Africa. Food Control 12: 127-131. 

  19. Solberg M, Buckalwe JJ, Chen CM, Schaffner DW, O’neil K, McDowell J, Post LS, Boderch M. 1990. Microbiologic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 service facilities. Food Technol 44: 68-73. 

  20. Fleet GH. 1992. Spoilage yeasts. Crit Rev Biotechnol 12: 1-44. 

  21. Oliveira M, Usall J, Vinas I, Anguera M, Gatius F, Abadias M. 2010.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 lettuce from organic and conventional production. Food Microbiol 27: 679-684. 

  22. Chen Z, Zhu C, Zhang Y, Niu D, Du J. 2010. Effects of aqueou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