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출조건에 따른 늙은 호박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ucurbita moschata Duch.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2, 2010년, pp.165 - 171  

이혜진 (한국식품연구원) ,  도정룡 (한국식품연구원)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현구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늙은 호박의 부위를 나누고 추출용매를 증류수, 50% EtOH, 100% EtOH로 달리하여 건물 중량의 25배에 해당되는 부피(w/v)일 때,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을 측정한 결과 추출용매를 증류수로 사용한 추출물들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섬유질 추출물이 14.6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 작용의 경우 50% EtOH로 추출한 섬유질 추출물이 52.37%의 높은 전자 공여능을 보였다.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100% EtOH에 의해 추출된 과육 추출물이 42.48%로 다른 추출물보다 높은 유사활성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의 경우 50% EtOH로 추출한 섬유질 추출물이 121.49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 측정 결과에서 모든 추출물이 pH 1.2에서 소거능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Tyrosinase 활성 저해능의 경우 모든 과육 추출물이 11.36~19.1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비교물질인 L-ascorbic acid에 비해 매우 낮은 저해능을 보였다. ACE 저해활성에서도 전자공여능과 페놀함량 측정결과와 같이 50% EtOH로 추출한 섬유질 추출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ucurbita moschata Duch. extracts by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50% ethanol extract was 52.37% at 50 mL/g, which was higher than those of 1.0% and 0.1% L-ascorbate solutions. SOD-like activities were the mo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우리나라 재래종 호박인 늙은 호박을 부위 및 추출 용매를 달리하여 전자공여작용, SOD 유사활성, 총 폴리페놀 함량, 아질산염 소거작용, tyrosinase 활성 저해능 및 AC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늙은 호박의 생리활성을 밝혀 기능성식품으로의 활용 및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늙은 호박의 원산지는? 늙은 호박(Cucurbita moschata Duch.)은 박과에 속하는 일년생의 덩굴식물로서 원산지는 남아메리카이며 동양계 호박(C. moschata Duch.
호박에 함유된 성분 중 항암효과가 있는 것은? 특히 호박의 과육부위는 fructose, glucose, sucrose의 유리당으로 구성되어 있고 아미노산 중 serine과 aspartic acid의 함량이 높아 위장이 약한 사람이나 회복기의 환자, 부종의 완화 등의 효과로 많이 사용되었다(2). 최근에는 호박에 항암효과가 있는 β-carotene의 함량이 높아 기능성 소재로서 관심을 끌고 있으며, 그 외에도 비타민A 및 전구물질인 카로티노이드류, Ca, Na, P 등 무기질 및 섬유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기능성을 지니고 있다(3,4). 현재 국내에서는 늙은 호박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늙은 호박의 과육 부위를 구성하는 유리당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동양계 재래종 호박인 늙은 호박은 예로부터 약리적인 효과를 기대하는 용도로 사용되어왔다. 특히 호박의 과육부위는 fructose, glucose, sucrose의 유리당으로 구성되어 있고 아미노산 중 serine과 aspartic acid의 함량이 높아 위장이 약한 사람이나 회복기의 환자, 부종의 완화 등의 효과로 많이 사용되었다(2). 최근에는 호박에 항암효과가 있는 β-carotene의 함량이 높아 기능성 소재로서 관심을 끌고 있으며, 그 외에도 비타민A 및 전구물질인 카로티노이드류, Ca, Na, P 등 무기질 및 섬유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기능성을 지니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Robinson RW, Decker-Watter DS. 1997. Cucurbits. CAB International, NY, USA. p 71-83. 

  2. Park YK, Cha HS, Park MW, Kang YH, Seog HM. 1997.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pump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639-646. 

  3. Burton GW, Ingold GW. 1984. An unusual type of lipid antioxidant. Science 224: 56-63. 

  4. Lee KS, Hwang CS. 1990. A study on the actual utilization korean traditional remedies-About foods used on geriatric disease-. Korean J Dietary Culture 5: 331-347. 

  5. Shin YS, Lee KS, Kim DH. 1993.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nd sweet potato or pumpkin. J Food Sci Technol 25: 666-671. 

  6. Park YH. 1995. A study on the development pumpkin citron-honey drink. J Korean Soc Food Nutr 24: 625-630. 

  7. Yun SJ, Ahn HJ.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mpkin rice cake prepared by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 J Soc Food Sci 16: 36-39. 

  8. Kang YH, Cha HS, Kim HM, Park YK. 1997.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umpkin extracts. Korean J Food & Nutr 10: 31-36. 

  9. An BJ, Lee JT, Kwak JH, Park JM, Lee JY, Park TS, Son JH, Lee LS, Yun SS. 2004.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umpkin (Cucurbita moschata Duch) extracts. Kor J Herbology 19: 1-7. 

  10. Kim SR, Ha TY, Song HN, Kim YS, Park YK. 2005.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for kabocha squash and pumpki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71-177. 

  11. Youn SJ, Kim GE, Jeong YJ. 2003. Extract characteristics of old pumpkin on enzyme treatment. Korean J Food Preserv 10: 302-307. 

  12.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3. Kim SM, Cho YS, Sung SK.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14.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5.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16. Wong TC, Luh BS, Whitaker JR. 197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phenol oxidase of clingstone peach. Plant Physiol 48: 19-23. 

  17. Cushman DW, Chung HS.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18.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19. Kwon HJ, Park CS.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orm Omija. Korean J Food Preserv 15: 587-592. 

  20. Kim HK, Han HS, Lee GD, Kim KH. 2005.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resh Pleurotus eryngii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39-445. 

  21. Devy C, Gautier R. 1990. New perspectives on the biochemistry of superoxide anion and the efficiency of superoxide dismutase. Biochem Pharmacol 39: 399-405. 

  22. Kuramoto T. 199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ood materials from plant extract such as SOD up to date. Food Process 27: 22-23. 

  23. Park CS, Kim DH, Kim ML. 2008.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orni fructus, Astragalus membranaceus and Glycyrrhiza uralensis. Kor J Herb 23: 93-101. 

  24. Lee YS, Choi BD, Joo EY, Shin SR, Kim NW. 200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yrosinase inhibition ability in various extracts of the Vitex rotundifolia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6: 101-108. 

  25. Kim TH. 2008. Antioxdative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antalum album extracts by extract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5: 456-460. 

  26. Choi JH, Lee EY, Kim GJ, Park IH, Kim JS, Choi GB, Jung SG, Ham YS. 2006.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Ulsan sweet persimmon peel?flesh according to cultivar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309-314. 

  27. Yu MH, Im HG, Lee HJ, Ji YJ, Lee IS. 2006. Componen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28-134. 

  28. Park YS, Jang HG. 2003.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67-375. 

  29. Park YK, Kang YH, Seog HM, Kim HM, Cha WS, Park MW. 1997. Studies of the development of processing technology of pumpkin. Research Report of Agricultural and Forest Ministry. 

  30. Lee HT, Kim JH, Lee SS. 2009.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y between soybean pastes adding sword been and general soybean pastes. J Fd Hyg Safety 24: 94-101. 

  31. Chshman DW, Ondetti MA. 1980. Inhibitor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for treatment of hypertension. Biochem Pharmacol 29: 1871-1877. 

  32. Noh H, Song KB. 2001. Isolation of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Oenanthe javanica. Agric Chem Biotechnol 44: 93-99. 

  33. Ju MJ, Kwon JH, Kim HK.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ulberry leaf and fruit extracts with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6: 442-448. 

  34. Chung MS, Jung SH, Lee JS, Park KM. 2003.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ommercial instant curry powders and individual spices. Korean J Food Sci Thechnol 35: 125-131. 

  35. Lee SE, Bang JG, Seong NS. 2004.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ovenia dulcis Thunb. cortex extrac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79-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