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호박분말 효소가수분해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in Enzymatic Hydrolysates of Pumpkin Powder (Cucurbita spp.)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2, 2010년, pp.172 - 178  

오창경 (제주산업정보대학 관광호텔조리과) ,  김명철 (대산영농조합법인) ,  오명철 (제주산업정보대학 관광호텔조리과) ,  양태석 (제주산업정보대학 관광호텔조리과) ,  현재석 (제주산업정보대학 식품영양과) ,  김수현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늙은호박, 단호박 및 애호박을 다양한 탄수화물 분해효소로 소화하여 조제한 효소가수분해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조회분, 조단백질 및 조섬유는 애호박이 높았으며, 탄수화물은 단호박이 높았고, 조지방은 서로 비슷하였다. 애호박 분말의 모든 효소처리군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늙은호박과 단호박의 가수분해물에 비하여 좀 더 높았다. 애호박 분말의 AMG와 Termamyl 소화로 조제된 효소가수분해물의 DPPH 유리기 소거활성 또한 늙은호박 및 단호박에 비하여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Visozyme 처리 가수분해물을 제외한 늙은호박과 단호박의 대부분 가수분해물은 애호박보다 더 높은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애호박 가수분해물(Ultraflo 예외)의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다른 호박의 효소 분해물 보다 약간 높았으나,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모든 호박 품종에서 14% 미만으로 낮았다. Nitric oxide 소거활성은 단호박 및 애호박의 Viscozyme 분해물에서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다른 효소가수분해물의 경우에도 BHT보다는 낮았으나 $\alpha$-tocopherol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enzymatic hydrolysates digested by several kinds of carbohydrases from the powder of ripened pumpkin (Cucurbita moschata), sweet pumpkin (C. maxima) and green pumpkin (C. moschata). The total polyphe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는 제주산 토종 호박, 단호박 및 애호박을 건조분말로 한 후, 이들을 여러 종류의 탄수화물 분해효소로 분해․추출하여 이들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호박의 기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박이란 무엇인가? 호박(Cucurbita spp.)은 박과에 속하는 일년생 덩굴성 초본으로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고온다습한 지대에 적응해온 동양계 호박(C. moschata Duch)과 남아메리카 고랭지를 원산지로 하여 고냉, 건조지대에 적응해 온 서양계 호박(C.
동양계 호박의 원산지는? 호박(Cucurbita spp.)은 박과에 속하는 일년생 덩굴성 초본으로 열대 아메리카가 원산지이며 고온다습한 지대에 적응해온 동양계 호박(C. moschata Duch)과 남아메리카 고랭지를 원산지로 하여 고냉, 건조지대에 적응해 온 서양계 호박(C.
호박분말의 효소 분해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호박분말의 효소 분해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4에 나타내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애호박의 모든 효소 분해물에서 629.4±45.0 mg/100 g 이상의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늙은호박과 단호박은 애호박에 비하여 함량이 낮아 446.9±32.0~520.7±37.3 mg/100 g의 범위를 보였다. 효소별로 보면 늙은호박은 Viscozyme, Celluclast, Ultraflo, AMG, Termamyl의 순서로, 단호박은 Celluclast, Viscozyme, AMG, Ultraflo, Termamyl의 순서로, 그리고 애호박은 AMG, Viscozyme, Celluclast, Termamyl, Ultraflo의 순서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애호박에는늙은호박과 단호박에 비하여 항산화 작용을 하는 폴리페놀 화합물이 좀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늙은호박과 단호박 간의 함량 차이는 거의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동아출판사. 1983. 동아원색백과사전, 동아출판사, 서울. p 263-264. 

  2. Sharma BR, Saimbhi NS, Bawa AS, Shuki FC. 1979. Varietal variation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ummer squash. Indian J Sci 49: 30-34. 

  3. Burton GW, Ingold GW. 1984. An unusual type of lipid antioxidant. Science 224: 56-63. 

  4. 정동효. 1998. 식품의 생리활성. 선진문화사, 서울. p 94-95. 

  5. Rouseff RL, Kaihauri GN. 1983. Health and nutritional benefits of pumpkin varieties. Kartofel'i Oveoschchi 1: 37-44. 

  6. Krinsky NL, Deneke SM. 1982. Interaction of oxygen and oxy-radicals with carotenoids. J Natl Cancer Inst 69: 205-210. 

  7. Coditz GA, Branch LG. 1985. Increased green and yellow vegetable intake and lowered cancer deaths in an elderly population. Am J Clin Nutr 41: 32-36. 

  8. Mathews-Roth MM. 1985. Carotenoids and cancer prevention-Experimental and epidemiological studies. Pure Appl Chem 57: 717-722. 

  9. Gerster H. 1991. Potential role of $\beta$ -carotene in the preventions of cardiovascular disease. Int J Vit Nutr Res 16: 277-283. 

  10. Nishihito H. 1998. Cancer prevention by carotenoid. Mutat Res 402: 159-165. 

  11. Ann YG, Lee SK. 1995. A study of Sikhye. Korean J Food Nutr 8: 165-171. 

  12. Cho GS. 1997.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green and ripened pumpkin (Cucurbita monschata Duch).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57-662. 

  13. Park YK, Cha HS, Park MW, Kang YH, Seog HM. 1977.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pump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639-646. 

  14. Nam HK, Koh DH. 1994.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pumpk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7: 95-99. 

  15. Choi CB, Park YK, Kang YH, Park MW. 1998. Effects of pumpkin powder on chemically induced stomach and mammary cancers in Spragur-Dawley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973-979. 

  16. Heo SJ, Kim JH, Kim JK, Moon KD. 1998. Processing of purees from pumpkin and sweet-pumpkin.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5: 172-178. 

  17. Oh BY, Park BH. 1998. Changes in physiochemical components of pumpkin juice with ingredients (ginger, onion, jujube, boxthron)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027-1033. 

  18. Park BH, Jim HA, Park YH, Oh BY. 1998. Changes in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stewed pumpkin juice heated and stored under different condi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9. 

  19. Oh BY, Park BH. 1998. A study on some antioxidative effects of stewed pumpkin juice on lipid. Korean J Human Ecol 1: 89-99. 

  20. Park MJ, Jeon YS, Han JS. 2001. Antioxidative activity of mustard leaf Kimchi added green tea and pumpki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53-1059. 

  2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72. 

  22. Heo SD, Park DS, Go KM, Kim MK, Son WG, Lee DS, Shin TK. 2003. Antibacterial effect of Opuntia ficus-indica fermentation in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Korean J Vet Publ Hlth 27: 143-147. 

  23. AOAC. 198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sis Chemists, Washington, DC, USA. Method 914-915. 

  24.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arnes G. 198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ebensm Wiss Technol 28: 25-30. 

  25. Nagai T, Inoue H, Suzuki N. 2002. Scavenging capacities of pollen extracts from Cidtus iodaniferus on autoxidation, superoxide radicals, hydroxyl radical, and DPPH radicals. Nutr Res 22: 519-526. 

  26. Muller HE. 1985. Detection of hydrogen peroxide produced by microorganisms on an ABTS-peroxidase medium. Zbl Bakt Hyg 59: 151-155. 

  27. Chung MS, Kim KH. 1996. Stability of betanine extracted fro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len. Korean J Soc Food Sci 12: 506-510. 

  28. Garrat DC. 1964.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rugs. Chapmam and Hall Ltd., Tokyo, Japan. Vol 3, p 456-458. 

  29. Jang SM, Park NY, Lee JB, Ann H. 2001. The comparison of food constituent in different parts of pump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38-1040. 

  30. 김혜경, 최홍식. 1992. 식품 및 생체 carotenoid의 co-oxidation. Life Sci 2: 91-96. 

  31. Lim BG, Ryu BH. 2004. Screening of antioxidative compounds towar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from useful plants. Korean J Food Nutr 17: 138-146. 

  32. Kang YH, Cha HS, Kim HM, Park YK. 1997.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umpkin extracts. Korean J Food Nutr 10: 31-36. 

  33. Takashi Y, Yamamoto M, Tamura A. 1978. Studies on the formation of nitrosamines: The effects of some polyphenols on nitrosation of diethylamine. J Food Hyg Soc 19: 224-229. 

  34. Kuenzig W, Chau J, Norkus E, Conney AH. 1984. Caffeic and ferulic acid as blocks of nitrosamine formation. Carcinogenesis 5: 309-313. 

  35. Kang YH, Park YK, Lee GD. 1994.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36. Shahidi F, Wanasundra PD. 1992. Phenolic antioxidants. Crit Rev Food Sci Nutr 32: 67-103. 

  37. Shahidi F.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Ho CT, ed.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Vol 1, p 130-1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