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덕(Codonopsis lanceolata) 추출물의 in vitro 및 in vivo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2, 2010년, pp.193 - 202  

김수현 (강원대학교 생명공학부) ,  정미자 (강원대학교 BK21 사업단(뉴트라슈티컬 바이오)) ,  장해동 (한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함승시 (강원대학교 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더덕 70% 에탄올 추출물(CL) 및 그 분획물들(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그리고 물)의 in vitro 항산화 효과는 총 페놀 함량, 환원력, ABTS, DPPH 및 ORAC 분석법들로 실험하였다. 더덕 70%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CLEA)은 가장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보여 주었고 그 함량은 22.7 mg/g이었으며, CLEA는 $250\sim1,000\;{\mu}g/mL$에서 0.42~1.27로 뛰어난 환원력을 가지고 있었다. $100\sim400\;{\mu}g/mL$에서 CLEA는 27.7~70.3의 ABTS radical 소거작용을 보여주었으며, $400\;{\mu}g/mL$에서 81.6%로 가장 높은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CLEA는 가장 높은 $ORAC_{{ROO}{\cdot}}$ 활성을 가졌고, CLEA와 부탄올 분획물은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롬 그리고 물 분획물보다 현저하게 높은 $ORAC_{{ROO}{\cdot}}$ 활성을 나타내었다. CLEA는 CL 70% 에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들 중 가장 높은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고지방식이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동물 모델에 CLEA를 섭취시켰을 때 항산화 유전자 발현 변화를 microarray와 RT-PCR 기법으로 알아보았다. 31개의 항산화 유전자가 발현되었으나 CLEA 섭취에 의해 2배 이상 발현 증가를 보인 항산화 유전자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CLEA는 직접적인 항산화 효과는 있으나 고지방식 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 내에서 항산화 유전자 발현 증가에 의한 간접적인 항산화 효과는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vitro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CL) 70%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were examined by total polyphenol content, reducing power,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ate) (ABTS), 2,2-diphenyl-$\beta$-picryl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지방식이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더덕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이들 추출물의 6개의 분획물들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후, 고지방식이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마우스에게 가장 항산화 효과가 높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동결건조 분말을 급여했을 때 항산화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더덕의 in vitro, in vivo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기인하여 유발되는 다양한 질병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천연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더덕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이들 추출물의 6개의 분획물들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후, 고지방식이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마우스에게 가장 항산화 효과가 높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동결건조 분말을 급여했을 때 항산화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더덕의 in vitro, in vivo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기인하여 유발되는 다양한 질병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는 천연 기능성 소재를 발굴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종은 어떻게 생성이 되는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 내 기관의 정상적인 대사 및 세포질 내 일부 효소들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생성되며, 세포 내에 적당량이 존재할 경우 여러 가지 세포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신호분자가 된다(1). 하지만 과량의 활성산소종은 DNA 분절과 단백질의 불활성화 및 세포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을 공격하여 생체기능을 저하시킴으로써 노화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류마티스성 관절염, 당뇨병, 심장병, 동맥 경화, 암 등과 같은 여러 질환의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1).
과량의 활성산소종은 어떤 문제들의 원인이 되는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 내 기관의 정상적인 대사 및 세포질 내 일부 효소들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생성되며, 세포 내에 적당량이 존재할 경우 여러 가지 세포반응을 조절할 수 있는 신호분자가 된다(1). 하지만 과량의 활성산소종은 DNA 분절과 단백질의 불활성화 및 세포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불포화지방산을 공격하여 생체기능을 저하시킴으로써 노화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류마티스성 관절염, 당뇨병, 심장병, 동맥 경화, 암 등과 같은 여러 질환의 원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1). 따라서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약용식물 추출물이 간접적으로 생체 내 항산화 방어시스템을 증가시키거나 직접적으로 ROS를 소거시키는 효과가 있다면 그 추출물은 다양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고지방식이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동물 모델에 CLEA를 섭취시켰을 때 항산화 유전자 발현 변화를 살펴 본 결과는 어떠한가? 따라서 고지방식이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된 동물 모델에 CLEA를 섭취시켰을 때 항산화 유전자 발현 변화를 microarray와 RT-PCR 기법으로 알아보았다. 31개의 항산화 유전자가 발현되었으나 CLEA 섭취에 의해 2배 이상 발현 증가를 보인 항산화 유전자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CLEA는 직접적인 항산화 효과는 있으나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 내에서 항산화 유전자 발현 증가에 의한 간접적인 항산화 효과는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Valko M, Leibfritz D, Moncol J, Cronin MT, Mazur M, Telser J. 2007.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normal physiological functions and human disease. Int J Biochem Cell Biol 39: 44-84. 

  2. Lee YE, Hong SH. 2003. Natural food material. Kyomunsa Publishers Inc., Seoul, Korea. p 150-151. 

  3. Choi MS, Choi PS. 1990. Plant regeneration and saponin contents in Codonopsis lanceolata L. Korean J Med Crop Sci 7: 275-281. 

  4. Kang YH. 2009.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ell wall materials from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345-349. 

  5. Han EG, Cho SY. 1997. Effects of Codonopsis lanceolata water extract on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 enzymes in carbon tetrachloride treat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181-1186. 

  6. Han EG, Sung IS, Moon HG, Cho SY. 1998. Effects of Codonopsis lanceolata water extract on the level of lipid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940-944. 

  7. Maeng YS, Park HK. 1991.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Ddodok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311-316. 

  8. Ryu HS. 2008. Effects of Codonopsis lancelata extract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263-268. 

  9. Lim SD, Seung KS, Kim KS, Han DU. 2007. Effect of fermented milk with hot water extract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and Codonopsis lanceolata on the immune status of mous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23-329. 

  10. Won HR, Oh HS. 2007. Antioxidative activity and lipid composition from different part and supplement of Codonopsis lanceolata in r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128-1133. 

  11. Kim SH, Choi HJ, Oh HT, Chung MJ, Cui CB, Ham SS. 2008. Cytoprotective effect by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thyl acetate fraction in human HepG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96-701. 

  12. Ming M, Guanhua L, Zhanhai Y, Guang C, Xuan Z. 2009. Effect of the Lycium barbarum polysaccharides administration on blood lipid metabolism and oxidative stress of mice fed high-fat diet in vivo. Food Chem 113: 872-877. 

  13. Gutfinger T. 1958. Polyphenols in olive oil.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4.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 pn J Nutr 44: 307-315. 

  15. Re R, Pellegrini N,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6. Choi JS, Park JH, Kim HG, Young HS, Mun SI.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ana. Kor J Pharmacol 24: 299-303. 

  17. Kwak HK, Blumberg JB, Chen CY, Milbury PE. 2006. Microplate-bas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 of hydrophilic and lipophilic compartments in plasma. Nutr Sci 9: 48-54. 

  18. Kurihara H, Fukami H, Asami S, Totoda Y, Nakai M, Shibata H, Yao XS. 2004. Effects of oolong tea on plasma antioxidative capacity in mice loaded with restraint stress assessed using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 Biol Pharm Bull 27: 1093-1098. 

  19. Cao G, Sofic E, Prior RL. 1997. Antioxidant and pro-oxidant behavior of flavonoids: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Free Radic Biol Med 22: 749-760. 

  20. Oh HT, Kim SH, Choi HJ, Chung MJ, Ham SS. 2008.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 from masou salmon (Oncorhynchus masou). Toxicol in Vitro 22: 1484-1488. 

  21. Kim IW, Shin DH, Choi U. 1999.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the bark of Rhus verniciflua S. screened from some Chines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55-863. 

  22.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23. Lee BW, Kang NS, Park KH. 2004. Isolation of antibacterial prenylated flavonoids from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70-273. 

  24. Ahn EY, Shin DW, Baek NI, Oh JA.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Glycyrrhiza uralensis FISCH.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80-687. 

  25. Ahn EY, Shin DW, Baek NI, Oh JA. 199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Sophora flavescens Ait.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72-679. 

  26. Choi HJ. 2009. Antioxidant and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ethyl acetate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MS Thesis. G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on, Korea. p 27-29. 

  27. Chung MJ, Sung NJ, Park CS, Kweon DK, Mantovani A, Moon TW, Lee SJ, Park KH. 2008. Antioxidative and hypocholesterolemic activities of water-soluble puerarin glycosides in HepG2 cells and C57 BL/6J mice. Eur J Pharmacol 578: 159-170. 

  28. Prior RL, Wu X, Schaich K. 2005. Standardize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s in foods and dietary supplement. J Agric Food Chem 53: 4290-4302. 

  29. Choi YM, Yu KW, Han NS, Koh JH, Lee JS. 2006.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commercial red w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86-1290. 

  30. Cha WS, Ju IS, Yun DH, Chun SS, Kim JH, Cho YJ. 2009.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cherry sage (Salvia officinalis L.). J Life Sci 19: 390-396. 

  31. Kim YC, Hong HD, Rho JH, Cho CW, Rhee YK, Yim JH. 2007. Changes of phenolic acid content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ginseng according to steaming times. J Ginseng Res 31: 230-236. 

  32. Oh WG, Jang IC, Jeon GI, Park EJ, Park HR, Lee SC. 2008.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Wisteria floribunda flow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77-683. 

  33. Kwon HN, Park JR, Jeon JR. 2008.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89-1394. 

  34. Chung HJ. 1999. Antioxidant effect of ethanolic extracts of some tea materials on red pepper seed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16-1320. 

  35. Galati G, O'Brien PJ. 2004. Potential toxicity of flavonoids and other dietary phenolics: significance for their chemopreventive and anticancer properties. Free Radic Biol Med 37: 287-303. 

  36. Yang G, Kaio J, Kin K, Yurkow ES, Yang CS. 1998. Inhibition of growth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cancer cell lines by tea polyphenols. Carcinogensis 19: 611-616. 

  37. Shin JK, Kim GN, Jang HD. 2007. Antioxidant and pro-oxidant effects of green tea extracts in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J Med Food 10: 32-40. 

  38. Kim SH, Kim YM. 2007. Determination of the antioxidant capacity of Korean ginseng using an ORAC assa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393-401. 

  39. Choi HJ, Kim SH, Oh HT, Chung MJ, Cui CB, Ham SS. 2008. Effects of Adenophora triphylla ethylacetate extract on mRNA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in human HepG2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38-1243. 

  40. Chung MJ, Walker PA, Brown RW. 2005. ZINC-mediated gene expression offers protection against $H_2O_2$ -induced cytotoxicity. Toxicol Appl Pharm 205: 225-236. 

  41. Chung MJ, Hogstrand C, Lee SJ. 2006. Cytotoxicity of nitric oxide is alleviated by zinc-mediated expression of antioxidant genes. Exp Biol Med 231: 1555-15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