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산 블루베리의 품종별 성분분석 및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잼 제조
Composition Analysis of Various Blueberries Produced in Korea and Manufacture of Blueberry Jam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2, 2010년, pp.319 - 323  

조원준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방사선식품생명공학연구실) ,  송범석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방사선식품생명공학연구실) ,  이주연 (정읍시 농업기술센터) ,  김종곤 (정읍시 농업기술센터) ,  김재훈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방사선식품생명공학연구실) ,  윤요한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방사선식품생명공학연구실) ,  최종일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방사선식품생명공학연구실) ,  김강성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주운 (한국원자력연구원 정읍방사선과학연구소 방사선식품생명공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실험은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국내에서 재배된 20종의 블루베리에 대한 일반성분, 산도 및 당도 분석과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잼의 관능적 특성 최적화가 수행되었다. 전체 품종에 대한 일반성분의 경우 수분은 75~88%, 단백질은 0.32~0.62%, 지방은 0.12~0.39% 및 탄수화물은 10.18~23.80%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산도 및 당도를 측정한 결과 품종별로 각각 0.82~1.58%와 $7~12^{\circ}Brix$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잼을 가공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설탕(200~300 g), 펙틴(0~10 g) 및 구연산 분말(0.0~0.5 g)의 함량을 중심합성실험계획법에 의해 제조된 블루베리 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전반적 기호도에 대한 최적점을 평가한 결과 블루베리, 설탕, 펙틴 및 구연산 분말의 함량이 각각 200 g, 248 g, 4.8 g 및 0.26 g으로 제조되었을 때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roximate compositions, acidity, and soluble solids of various blueberries produced in Korea and to prepare jam with optimized overall palatability by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Proximate compositions were 75~88% in moisture, 0.32~0.62% in crude prote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실험은 기초자료 제공을 위하여 국내에서 재배된 20종의 블루베리에 대한 일반성분, 산도 및 당도 분석과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블루베리 잼의 관능적 특성 최적화가 수행되었다. 전체 품종에 대한 일반성분의 경우 수분은 75~88%, 단백질은 0.
  • 본 연구는 국내산 블루베리 품종별 일반 성분분석을 통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관능적 특성이 최적화된 국내산 블루베리 잼의 개발을 위해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블루베리, 설탕, 펙틴, 구연산의 최적 배합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루베리는 무엇인가? 블루베리는 진달래과(Ericaceae) 산앵두나무속(Vaccinium)에 속하는 관목성 식물이고 15~21℃의 온도와 pH 4.5~5.
블루베리는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5~5.5의 산성토양에서 잘 자라는 다년생 온대 과수로 고관목성(highbush blueberry), 저관목성(lowbush blueberry) 및 레빗아이(rabbiteye blueberry)로 나뉘며 여름에 익은 블루베리의 열매를 따서 과일로 사용하고 있다(1). 블루베리에 대한 연구로는 과실 내 페놀성분의 활성산소 라티칼 흡수효과(2),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효과(3), 항산화 효과(4), 이뇨작용(5) 등이 보고되었으며 항균 및 항암활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6-8)가 진행되고 있다.
블루베리를 이용한 여러 가공식품을 개발할 때 주로 사용되는 통계적 실험 설계법은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블루베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과실은 생과 외에 잼, 와인, 소스 등으로 가공되고 있고 제과원료로도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13). 이러한 가공식품을 개발함에 있어 공정 최적화와 최적 배합비 결정을 위해 통계적 실험 설계법으로 반응표면 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이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m TC, Bae KS, Kim IK, Chun HJ. 2005.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blueberry.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19: 179-183. 

  2. Zheng W, Wang SY. 2003.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of phenolics in blueberries, cranberries, chokeberries, and ligoberries. J Agric Food Chem 51: 502-509. 

  3. Joseph JA, Denisova NA, Bielinski D, Fisher DR, Shukitt-Hale B. 2000. Oxidative stress protection and vulnerability in aging: Putative nutritional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Mech Aging Dev 116: 141-153. 

  4. Sellappan S, Akoh CC, Krewer G. 2003.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Georgia-grown blueberries and blackberries. J Agric Food Chem 50: 2432-2438. 

  5. Howell AB. 2002. Cranberry proanthocyanidins and the maintenance of uninary tract health. Crit Rev Food Sci Nutr 42: 273-278. 

  6. Kalt W, Ryan DA, Duy JC, Prior RL, Ehelenfeldt MK, Kloet SPV. 2001. Interspecific variation in anthocyanins, phenolics, and antioxidant capacity among genotypes of highbush and lowbush blueberries. J Agric Food Chem 49: 4761-4767. 

  7. Wang SY, Jiao H. 2000. Scavenging capacity of berry crops on superoxide radicals, hydrogen peroxide, hydroxy radicals and singlet oxygen. J Agric Food Chem 48: 5677-5684. 

  8. Mcghie TK, Ainge GD, Barnett LE, Cooney JM, Jensen DJ. 2003. Anthocyanin glycosides from berry fruit are absorbed and excreted unmetabolized by both humans and rats. J Agric Food Chem 51: 4539-4548. 

  9. Lohachoompol V, Mulholland M, Srzednicki G, Craske J. 2001.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various cultivars of highbush and rabbiteye blueberries. Food Chem 111: 249-254. 

  10. Giovanelli G, Buratti S. 2009. Comparison of poly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ild Italian blueberries and some cultivated varieties. Food Chem 112: 903-908. 

  11. Yu OK, Kim JE, Cha YS. 2008.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792-797. 

  12. Lee HR, Jung BR, Park JY, Hwang IW,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5: 445-449. 

  13. Lee JG, Lee BY. 2007. Effect of media composition on growth and rooting of highbush blueberry cuttings. Kor J Hort Sci Technol 25: 355-359. 

  14.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5. Myers RH. 1971.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llyn and Bacon Inc., Boston, USA. p 127-139. 

  16. Gontard N, Guilbert S. 1992. Edible wheat gluten films: Influence of the main process variables on film properti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Food Sci 57: 190-196. 

  17.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ed.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p 320-321. 

  18. Jeong CH, Choi SG, Heo HJ. 2008.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75-1381. 

  19. Oh HH, Hwang KT, Kim M, Lee HK, Kim SZ. 2008.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aspberry and blackberry fruits produced in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738-743. 

  20. Sin HN, Yusof S, Hamid NSA, Rahman RA. 2006. Optimization of hot water extraction for sapodilla juic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Foods Eng 74: 352-358. 

  21. Joglekar AM, May AT. 1987. Product excellence through design of experiments. Cereal Foods World 32: 857-8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