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로교통소음과 철도소음 복합노출지역에서의 성가심 반응
Study on the Annoyance Response in the Area Exposed by Road Traffic Noise and Railway Noise 원문보기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20 no.2 = no.155, 2010년, pp.172 - 178  

고준희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 ,  장서일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  손진희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과) ,  이건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in each dominant area of noise source are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endent variables like annoyance and independent ones such as noise and non-noise factor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impact of noise facto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도로교통소음과 철도소음이 혼재되어 발생되는 지역에서 성가심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별 소음원이 성가심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비소음 변수의 성가심 반응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3개의 소음우세지역(도로교통소음 우세지역, 철도소음우세지역, 복합소음우세지역)을 구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 도로교통소음 및 철도소음이 혼재된 복합 소음지역에서 성가심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체 소음에 대한 성가심 정도와 개별 소음원에 대한 성가심 정도가 각각 조사되었다. 특히 복합 소음지역에서 개별 소음원에 대한 성가심 반응의 통계적 차이의 검정을 실시하였다.
  • 도로교통소음과 철도소음이 혼재되어 있는 지역에서 3차원 소음지도를 제작하여 대상지역의 노출소음을 결정하였으며, 병행하여 실시된 노출소음에 대한 성가심 반응의 설문 조사 데이터와 결과를 예측소음도와 결합하여 노출-반응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다중회귀 및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노출소음에 대한 성가심 반응을 평가하였다.
  • 한편 국내의 경우 대도시를 중심으로 철도와 도로, 도로와 항공기와 같이 복합 소음이 일상적으로 주거하는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음환경기준 및 소음관리기준에서는 소음원 중심의 소음관리 정책을 기본으로 하고 있어 복합 소음노출지역에서의 소음 관리가 난해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도로교통소음과 철도소음이 혼재되어 있는 지역에서 복합소음에 노출되는 주민들의 주관적 반응을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척도화 하였으며, 성가심 반응의 주요변수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추출하였다. 또한 경로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음향요소와 성가심 반응의 관계에서 태도변수인 민감도(sensitivity)와 환경에 대한 불만족(dissatisfaction of environment)의 영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도로교통소음과 철도소음이 혼재되어 있는 지역에서 복합소음에 노출되는 주민들의 주관적 반응을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척도화 하였으며, 성가심 반응의 주요변수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추출하였다. 또한 경로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음향요소와 성가심 반응의 관계에서 태도변수인 민감도(sensitivity)와 환경에 대한 불만족(dissatisfaction of environment)의 영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5 km이며, 도로교통소음, 철도소음 그리고 복합소음이 발생하는 구역에서 성가심 반응을 조사하여 개별 소음원 및 복합 소음원의 소음도와 연계시켜 성가심 반응 모델을 수립하였다. 또한 성가심 반응에 대한 음향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비음향학적 인자의 영향도 함께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항목을 구성하였다. 성가심에 대한 항목은 모두 7점 척도와 함께 단어 또는 문장을 이용하여 설문 응답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태도변수로는 소음에 대한 민감도와 주변 환경에 대한 불만족 정도를 7점 척도로 하였고, 직업, 성별, 나이, 주택형태 등으로 설문내용을 구성하였다.
  • 4를 사용하였다. 또한 소음예측을 위하여 등고선, 표고점, 건물, 도로망 및 철도는 기존에 구축된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전산파일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소음지도의 제작이 되도록 하였다.
  • 설문조사 대상 지역의 크기는 가로 2.5 km × 세로 0.5 km이며, 도로교통소음, 철도소음 그리고 복합소음이 발생하는 구역에서 성가심 반응을 조사하여 개별 소음원 및 복합 소음원의 소음도와 연계시켜 성가심 반응 모델을 수립하였다.
  • 또한 성가심 반응에 대한 음향학적 인자뿐만 아니라 비음향학적 인자의 영향도 함께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항목을 구성하였다. 성가심에 대한 항목은 모두 7점 척도와 함께 단어 또는 문장을 이용하여 설문 응답자가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태도변수로는 소음에 대한 민감도와 주변 환경에 대한 불만족 정도를 7점 척도로 하였고, 직업, 성별, 나이, 주택형태 등으로 설문내용을 구성하였다.
  • 이러한 다중회귀분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량의 종속변수와 다량의 독립변수의 관계에서 영향 파악이 용이하며, 매개변수의 설명이 편리한 경로 분석을 이용하였다. Fig.
  • Table 2는 철도소음 노출 우세지역(railway dominant area, Tr-D)에서는 전체 노출 소음에 대한 성가심 반응에 대한 영향 독립변수로는 주변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전체 노출소음도의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도로교통소음 노출에 대한 성가심에 따른 영향 독립변수는 학생과 독립주택의 변수의 순으로 영향인자로 분석되었다. 철도소음을 인한 성가심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철도소음, 주변환경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소음에 대한 민감도로 조사되었다. Table 3은 도로교통소음과 철도소음의 복합 노출 지역(combined noise dominant area, CD)으로 전체 소음 성가심에 대한 영향 변수로는 소음에 대한 민감도와 주변 환경의 불만족도 그리고 철도소음 변수의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도로교통소음에 대한 성가심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소음에 대한 민감도와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의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철도소음에 대한 성가심은 철도소음도와 주변 환경에 대한 만족도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 도로교통소음 및 철도소음이 혼재된 복합 소음지역에서 성가심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체 소음에 대한 성가심 정도와 개별 소음원에 대한 성가심 정도가 각각 조사되었다. 특히 복합 소음지역에서 개별 소음원에 대한 성가심 반응의 통계적 차이의 검정을 실시하였다.

대상 데이터

  • 이 연구 대상 지역인 영등포구 지역의 소음원은 도로교통소음과 철도소음으로서, 이외의 생활 소음에 대해서는 소음원의 출처가 분명하지 않아 제외하였다. 기본 소음의 단위로는 주야평균레벨인 Ldn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도로교통소음 노출 우세지역에서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성가심 반응에 대한 영향 독립변수들은 Table 1과 같으며, 회귀식의 상수는 비표준화 회귀계수로서 성가심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개별 독립변수와 회귀계수를 이용하여 회귀식으로 표현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은 SPSS ver. 15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도로교통소음 및 철도소음으로 인한 설문조사 대상자의 성가심 반응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철도소음에 대한 성가심 반응과 도로교통소음에 대한 성가심 반응과는 차이가 없다’라는 귀무가설을 세우고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동일한 사람의 철도소음 성가심 반응과 도로교통소음 성가심 반응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 도로교통소음과 철도소음이 혼재되어 발생되는 지역에서 성가심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개별 소음원이 성가심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비소음 변수의 성가심 반응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3개의 소음우세지역(도로교통소음 우세지역, 철도소음우세지역, 복합소음우세지역)을 구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 도로교통소음과 철도소음이 혼재된 지역에서 성가심 반응에 있어서 영향 인자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이용하였다.
  • 도로교통소음과 철도소음이 혼재된 지역에서 소음에 대한 성가심 반응의 영향 변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로교통소음과 철도소음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개별 소음원이 우세한 지역을 도로교통소음도와 철도소음도의 5 dB(A)의 차이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14).
  • 도로교통소음 우세지역, 철도소음 우세지역 그리고 복합소음 우세지역에서의 개별 소음원에 대한 성가심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소음에 대한 민감도와 주변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같은 비소음 변수와 함께 개별 소음원의 소음도와 같은 소음 변수가 각각 영향 독립변수로서 분석되었다. 이러한 다중회귀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다량의 종속변수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개별 독립변수가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성가심이라는 종속변수와 소음변수사이의 소음에 대한 민감도와 주변환경에 대한 만족도와 같은 비소음 매개변수의 영향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용된 분석도구로는 AMOS ver. 7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복합소음의 노출로 인한 주거민의 소음에 대한 성가심 반응의 정량적 평가를 위하여 도로교통소음과 철도소음의 혼재지역, 토지지용이 다양한 지역, 다양한 주거형태가 존재하는 지역의 조건을 고려하여 영등포역 일원을 연구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고, 설문조사는 면접 조사 방법(face to face method)을 채택하여 국제 권장 표준인 ISO 5666(13)을 준용하였다. 설문조사 대상 지역의 크기는 가로 2.
  • 영등포구의 전체 도로교통소음지도 제작시 독일의 도로교통소음 예측식 RLS90 모델과 철도소음 예측식 SHALL 03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소음지도 제작 전용 프로그램인 Sound PLAN 6.4를 사용하였다. 또한 소음예측을 위하여 등고선, 표고점, 건물, 도로망 및 철도는 기존에 구축된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전산파일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소음지도의 제작이 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라 환경소음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세계보건기구(WHO)(1)는 산업 활동으로 발생되는 소음을 제외한 소음을 환경소음(community noise)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소음은 육체적, 심리적으로 유해한 건강에 유해한 인자로서,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오염 중의 하나로 정의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인구의 도시집중이 심화되고 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철도 및 도로교통 차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성능면에서도 고속화, 대형화, 다양화 되어 환경소음도 크게 늘고 있는 추세이다.
특정한 변수외의 다른 변수의 영향을 통제할 경우 다중회귀분석은 무엇을 파악할 수 있는가? 다중회귀분석은 각 변수들이 서로를 통제하는 상황에서 성가심 반응에 대한 관계를 파악하는데 용이하다. 특정한 변수외의 다른 변수의 영향을 통제할 경우 성가심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변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으며, 성가심 반응에 미치는 이러한 변수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 할 수 있다. 그러나 다중회귀분석의 경우 하나의 종속변수에 대한 다량의 독립변수의 영향력 정도를 파악하기에 유용하나 다량의 종속변수와 다량의 독립변수의 관계에서는 분석과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사이의 매개변수에 대한 분석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은 환경소음을 무엇으로 규정하고 있는가? 세계보건기구(WHO)(1)는 산업 활동으로 발생되는 소음을 제외한 소음을 환경소음(community noise)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소음은 육체적, 심리적으로 유해한 건강에 유해한 인자로서,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오염 중의 하나로 정의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인구의 도시집중이 심화되고 신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철도 및 도로교통 차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성능면에서도 고속화, 대형화, 다양화 되어 환경소음도 크게 늘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WHO, 2000, "Guide Line for Community Noise,"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2. WHO, 2003, "WHO Technical Meeting on Noise and Health Indicators Second Meeting ? Result of The Testing and Piloting in Member States," World Health Organization, Bonn, Germany. 

  3. Kurra, S., Morimoto, M. and Maekawa, Z. I., 1999, “Transportation Noise Annoyance ? a Simulated-environment Study for Toad, Railway and Aircraft Noises, Part 1: Overall Annoyance,”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220, No. 2, pp. 251-278. 

  4. Rylander, R., Bjorkman, M., 1997, “Annoyance by Aircraft Noise Around Small Airports,”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205, No. 4, pp. 533-537. 

  5. Chun, H. J., Kim, D. S., Ko, J. H. and Chang, S. I., "Jury Eveluation Test for Annoyance Response of KTX and Ordinary Train Noise,"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Vol. 18, No. 3, pp. 335-344. 

  6. Taylor, S. M., 1982, “A Comparison of Models to Predict Noise Annoyance Reactions to Noise from Mixed Sources,”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81, No. 1, pp. 123-138. 

  7. Ronnebaum, T., Schulte-Fortkamp, B. and Weber, R., 1996, "Synergetic Effects of Noise from Different Sources: a Literature Study," In Proceedings of Internoise 1996, Liverpool, UK; 1996. p. 2241?.6. 

  8. Joncour, S., Cailhau D., Gautier, P. E., Champelovier, P. and Lambert, J., 2000, "Annoyance Due to Combined Noise Sources," Proceedings of Internoise 2000, Nice, France. 

  9. Fields, J. M., 1993, “Effect of Personal and Situational Variables on Noise Annoyance in Residential Areas,” Jouranl of Acoustic Society America, Vol. 93, pp. 2753-2763. 

  10. Moehler, U. and Liepert, M., "Differences in the Annoyance between Rail and Road Traffic Noise in Relation to the Acoustic Situation," In: Proceedings of InterNoise, Nice, France; 2000. 

  11. Lam, K.-C., Chan, P.-K., Chang, T.-C., Au, W.-H. and Hui, W.-C., 2009, “Annoyance Response to Mixed Transportation Noise in Hong Kong,” Applied Acoustics, Vol. 70, pp. 1-10. 

  12. Son, J. H., Lee, K. and Chang, S. I., 2007, "Demographic and Attitudinal Factors that Modify Annoyance from Aircraft Nois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9, No. 12, 1366-1370. 

  13. ISO15666, 2003, "Acoustics-Assessment of Noise Annoyance by Means of Social and Socioacoustic Survey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14. Son, J. H., Lee, K. and Chang, S. I., 2008, "Difference in Annoyance Responses to Combined Noise from Different Region-classifications," 15th International Congress on Sound and Vibration. 

  15. Mulaik, S. A., James, L. R., Alstine, J., Bennett, N., Lins, S. and Stillwell, C. D., 1989, "An Evalution of Goodness-of-fit Indices for Structural Equation Model," Psychol Bull, 105:430-45. 

  16. Yano, T., Sato, T., Bjorkman, M. and Rylander, R., 2002, “Comparison of Comprison of Response to Road Traffic Noise in Japan and SwedenⅡ : Path Analyis,” Journal of Sound and Vibration, Vol. 250, No. 1, pp. 169-1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