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부목굽힘근 운동이 만성 목통증 환자의 통증과 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ep neck flexor exercise on pain and neck disability index of the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1 no.11, 2010년, pp.4331 - 4337  

이규창 (삼육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이동엽 (선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성 목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심부목굽힘근 운동을 적용하여 통증, 목장애지수, 그리고 심부목굽힘근의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 목통증 환자 37명을 무작위로 도구를 이용한 중재와 심부목굽힘근 운동을 시행하는 실험군과 도구를 이용한 중재만을 실시하는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모든 중재는 12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다. 실험 전, 6주 후, 그리고 12주 후에 통증을 평가하기 위한 VAS, 기능을 평가하는 목 장애지수, 그리고 심부목굽힘근의 지구력을 측정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두 군 간의 차이를 검증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심부목굽힘근 운동이 적용된 실험군에서 통증과 목장애지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고(p<.05), 심부목굽힘근의 지구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심부목굽힘근 운동이 만성 목통증 환자에게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심부목굽힘근 운동은 통증과 기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만성 목통증 환자의 삶의 질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재활에 있어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deep neck flexor exercise with using modalities in pain reduction and functional improvement to those who have chronic neck pain. The subjects were instructed the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37 people). Randomized study design of two groups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 목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도구를 이용한 중재를 함께 적용하는 심부목굽힘근 운동이 도구만을 이용한 중재에 비해 통증, 장애 지수, 그리고 심부목굽힘근의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더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제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 목통증 환자에게 도구를 이용한 중재 방법과 함께 심부목굽힘근 운동을 적용하여 통증, 기능, 그리고, 심부목굽힘근의 지구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로 목의 통증과 장애지수, 그리고 심부목굽힘근의 지구력에서 온습포, 경피신경전기자극, 초음파 등의 도구만을 적용한 대조군보다 도구와 함께 심부목굽힘근 운동을 적용한 군이 유의하게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통증의 원인은 무엇인가? 목통증의 원인으로는 연부조직의 손상이 87.5%, 사고로 인한 후유증이 5.3%, 그리고 다른 원인이 4.5%라고 하였고, 머리의 위치를 유지할 때 활성화되는 목 근육이 약화되는 것도 목통증을 야기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4,5]. 이전의 연구에서 목통증이 있는 환자들은 목 굽힘근의 근력과 지구력이 감소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6].
목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유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은 무엇인가? 목에는 여러 근육들이 위치하는데 특히 긴목근과 긴머리근은 목의 움직임을 조절하고 유지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9]. 이 근육들은 표면에 위치하는 목빗근이나 앞목갈비근과는 다르게 목의 심부에 위치하여 직접적으로 경추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분절에 안정성을 제공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다[10].
목통증은 목의 표면근보다 심부에 위치한 근육들의 활동이 감소되는 것과 더 많은 관련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5%라고 하였고, 머리의 위치를 유지할 때 활성화되는 목 근육이 약화되는 것도 목통증을 야기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4,5]. 이전의 연구에서 목통증이 있는 환자들은 목 굽힘근의 근력과 지구력이 감소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6]. 또한 목통증을 가진 환자들은 목에 표면이나 심부에 위치한 근육을 조절하는 능력이 감소하고 근육들의 활동도 변한다고 하였다. 특히, 목의 심부에 위치한 근육 들의 활동이 감소한다고 하였다[7]. 목통증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목의 표면에 위치한 근육과 심부에 위치한 근육의 활성화를 근전도로 비교한 결과 표면에 위치하는 목빗근(sternocleidomastoid)과 앞목갈비근(anterior scalene)이 심부에 위치한 긴목근(longus colli)과 긴머리근(longus capitis)보다 더 활성화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그래서 목통증은 목의 표면근보다 심부에 위치한 근육들의 활동이 감소되는 것과 더 많은 관련이 있다고 하였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ote, P., Cassidy, J. D., & Carroll, L., The Saskatchewan health and back pain survey. The prevalence of neck pain and related disability in Saskatchewan adults. Spine., Vol.23, No.15, pp,1689-1698, 1989. 

  2. Hoving, J. L., de Vet, H. C., Twisk, J. W., Deville, W. L., van der Windt, D., Koes, B. W., & Bouter, L. M., Prognostic factors for neck pain in general practice. Pain., Vol.10, No.3, pp,639-645, 2004. 

  3. Picavet, H. S., & Schouten, J. S., Musculoskeletal pain in the Netherlands: Prevalences, consequences and risk groups, the DMC(3)-study. Pain., Vol.102, No.1-2, pp,167-178, 2003. 

  4. Dvorak, J., Valach, L., & Schmid, S., Injuries of the cervical spine in Switzerland. Orthopade., Vol.16, No.1, pp,2-12, 1987. 

  5. Viljanen, M., Malmivaara, A., Uitti, J., Rinne, M., Palmroos, P., & Laippala, P., Effectiveness of dynamic muscle training, relaxation training, or ordinary activity for chronic neck pain: 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Vol.327, No.7413, pp,475, 2003. 

  6. Barton, P. M., & Hayes, K. C., Neck flexor muscle strength, efficiency, and relaxation times in normal subjects and subjects with unilateral neck pain and headache. Arch Phys Med Rehabil., Vol.77, No.7, pp,680-687, 1996. 

  7. Falla, D., Unravelling the complexity of muscle impairment in chronic neck pain. Man Ther., Vol.9, No.3, pp,125-133, 2004. 

  8. Falla, D. L., Jull, G. A., & Hodges, P. W., Patients with neck pain demonstrate reduced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deep cervical flexor muscles during performance of the craniocervical flexion test. Spine., Vol.29, No.19, pp,2108-2114, 1987. 

  9. Falla, D. L., Campbell, C. D., Fagan, A. E., Thompson, D. C., & Jull, G. A., Relationship between cranio-cervical flexion range of the motion and pressure change during the cranio-cervical flexion test. Man Ther., Vol.8, No.2, pp,92-96, 2003. 

  10. Boyd-Clark, L. C., Briggs, C. A., & Galea, M. P., Muscle spindle distribution, morphology, and density in longus colli and multifidus muscles of the cervical spine. Spine., Vol.27, No.7, pp,694-701, 2002. 

  11. Jull, G. A., O'Leary, S. P., & Falla, D. L., Clinical assessment of the deep cervical flexor muscles: the craniocervical flexion test. J Manipulative Physiol Ther., Vol.31, No.7, pp,525-533, 2008. 

  12. McDonnell, M. K., Sahrmann, S. A., & Van Dillen, L., A specific exercise program and modification of postural alignment for treatment of cervicogenic headache: a case report. J Orthop Sports Phys Ther., Vol.35, No.1, pp,3-15, 2005. 

  13. Cassidy, J. D., Lopes, A. A., & Yong-Hing, K., The immediate effect of manipulation versus mobilization on pain and range of motion in the cervical spin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Manipulative physiol Ther., Vol.15, No.9, pp,570-575, 2005. 

  14. Young, J. L., Press, J. M., & Herring, S. A., Bed rest and exercise. The nonsurgical management of acute low back pain. New York: Desmos Vermande., 1997. 

  15. Elnaggar, I. M., Nordin, M., Sheikhzadeh, A., Parnianpour, M., & Kahanovitz, N., Effects of spinal flexion and extension exercises on low-back pain and spinal mobility in chronic mechanical low-back pain patients. Spine., Vol.16, No.8, pp,967-972, 1991. 

  16. Dusunceli, Y., Ozturk, C., Atamaz, F., Hepguler, S., & Durmaz, B., Efficacy of neck stabilization exercises for ne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J Rehabil Med., Vol.41, No.8, pp,626-631, 2009. 

  17. Chiu, T. T., Lam, T. H., & Hedley, A. J.,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n the efficacy of exercise for pateints with chronic neck pain. Spine., Vol.30, No.1, pp,E1-E7, 2005. 

  18. Griffiths, C., Dziedzic, K., Waterfield, J., & Sim, J., Effectiveness of specific neck stabilization exercises or a general neck exercise program for chronic neck disord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Rheumatol., Vol.36, No.2, pp,390-397, .2009. 

  19. Masuda, A., Koga, Y., Hattanmaru, M., Minagoe, S., & Tei, C., The effects of repeated thermal therapy for patients with chronic pain. Psychother Psychosom., Vol.74, No.5, pp,288-294, 2005. 

  20. Nnoaham, K. E., & Kumbang, J.,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for chronic pain. Cochrane Database Syst Rev., Vol.16, No.3, CD003222, 2008. 

  21. Grubisic, F., Grazio, S., Jaji?, Z., & Nemcic, T., Therapeutic ultrasound in chronic low back pain treatment. Reumatizam., Vol.53, No.1, pp,18-21, 2006. 

  22. Jull, G. A., Falla, D., Vicenzino, B., & Hodges, P. W., The effect of therapeutic exercise on activation of the deep cervical flexor muscles in people with chronic neck pain. Man Ther., Vol.14, No.6, pp,696-701, 2009. 

  23. Keele, K. D,. The pain chart. Lancet., Vol.2, No.6514, pp,6-8, 1948. 

  24. Vernon, H., & Mior, S., The neck disability index: A study of reliability and validity. J Manip Physiol Ther., Vol.14, No.7, pp,409-415, 1994. 

  25. Chiu, T. T., Law, ,E. Y., & Chiu, T. H., Performance of the craniocervical flexion test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chronic neck pain. J Orthop Sports Phys Ther., Vol.35, No.9, pp,567-571,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