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V드라마를 통해 재현된 여성의 몸 담론
The discourse of women's body represented in TV dramas 원문보기

한국언론정보학보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49, 2010년, pp.122 - 143  

홍지아 (경희대학교 언론정보학부)

초록

이 연구는 2000년부터 2007년에 걸쳐 방송된 TV드라마 27편, 152명 여성등장인물의 연령대, 외형적 특징, 그리고 이들이 극의 주요갈등구도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중심으로 TV드라마에 재현된 여성의 외형적 이미지와 여성이 수행하는 역할과 외형적 이미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 2000년대 TV드라마에 등장하는 여성캐릭터의 45%가 20대 여성이며 대부분의 드라마가 그들을 주인공으로 설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7편 가운데 3,40대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드라마는 배우자의 외도를 소재로 삼은 4편에 불과하며 그 외는 예외없이 20대 남녀의 사랑과 결혼, 도전과 좌절을 드라마의 갈등구도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도 속에서 4,50대 여성은 주인공의 어머니, 그 이상의 여성은 주인공의 할머니라는 제한된 모습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이들은 삶을 성숙하게 바라보는 어른의 모습보다는 자녀의 연애사에 개입하거나 과거의 잘못된 처신으로 자녀세대에 갈등을 유발하는 모습으로, 혹은 가족이기주의에 젖어 일상적 갈등을 유발하거나 드라마의 주요갈등구도에서 소외되는 방관자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현상은 할머니 또래 여성들의 재현에 두드러져 60대 여성노인 15명 가운데 절반이 넘는 9명이 주책스럽고 우스꽝스러운 중성적 모습으로 재현된다. 또한 주인공 여성들은 사회가 규정한 여성적 아름다움의 기준을 충실히 재현하며 특히 꾸밈이 없는 자연스럽고 순수한 아름다움이 주인공 여성의 외형적 특징으로 부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주인공 여성을 괴롭히는 주인공의 연적이나 악역 캐릭터는 치장된 아름다움으로 외형적 대비를 이루고 있어 사회적 성공을 위한 육체자본으로서 젊은 여성의 몸을 재현하되 꾸민 아름다움보다는 타고난 아름다움이 우위의 가치로 설정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여성이 자신의 몸을 권력획득을 위한 육체자본으로 활용하려는 경우 그러한 여성의 몸을 위태롭고 강박적인 모습으로 묘사함으로 몸의 권력화를 경계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designed to figure out what kind of female images TV dramas have represented from 2000 to 2007 and what kind of relationship these images and the actual roles the female characters perform have in the drama. The total number of dramas analyzed is 27, and 152 female characters are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나이든 남성의 재현, 또한 남성의 나이 듦에 대해서도 동일한 관심과 문제제기가 있어야 할 것이나 그러한 시도는 다음의 기회를 기약한다. 또한 2000년대 이후 소수이긴 하나 나이 든 세대의 삶의 고민과 성찰을 다룬 드라마가 등장하고 있음에 주목하며 그에 대한 별도의 분석을 시도할 기회를 준비하고자 한다.
  • 연구자는 사회가 규정하는 차별적 성역할이 구현되는 일상의 장으로서 여성의 몸에 관심을 기울이며 여성의 몸에 대한 사회의 지배적 담론이 TV드라마를 통해 재현되는 방식을 드라마에 나타난 여성의 외형적 이미지와 여성이 수행하는 역할과 외형적 이미지의 관계를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대중매체를 통한 여성이미지의 재현에 있어 1960년대부터 90년대 중반에 걸친 선행연구와 이번의 연구결과를 비교해 여성이미지의 재현에 있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여부를 파악하려는 목적도 가진다.
  • 몸을 통해 성적 특징을 드러내는 행동과 태도, 옷차림 등은 어느 정도는 생물학적 자연스러움이면서 한편으로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여성다움과 여성에게 주어진 성역할을 반영한 문화적 실천이라는 이중적 의미를 갖는다. 성별화된 여성의 몸(gendered body)을 살펴봄으로 여성의 몸을 통해 재현되는 여성다움의 사회적 기준과 담론, 나아가 여성에게 주어지는 성역할을 논의하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 3.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연구자는 사회가 규정하는 차별적 성역할이 구현되는 일상의 장으로서 여성의 몸에 관심을 기울이며 여성의 몸에 대한 사회의 지배적 담론이 TV드라마를 통해 재현되는 방식을 드라마에 나타난 여성의 외형적 이미지와 여성이 수행하는 역할과 외형적 이미지의 관계를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대중매체를 통한 여성이미지의 재현에 있어 1960년대부터 90년대 중반에 걸친 선행연구와 이번의 연구결과를 비교해 여성이미지의 재현에 있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여부를 파악하려는 목적도 가진다.

  • 이 연구는 여성으로서의 성적, 그리고 젠더적 여성다움을 실천하는 최소이자 필수단위인 여성의 몸과 여성의 몸을 구성하는 사회적 담론에 주목한다. 남성과 여성의 신체적 차이와 특징이 재현된 몸은 그 자체로 개인의 성정체성의 기반이 되며 나아가 성정체성에 기인한 사회적 성역할과 성문화의 토대가 된다.
  • 또한 캐릭터가 갈등을 유발하는지 혹은 해결하는지, 갈등의 해결과정을 통해 어느 캐릭터가 성공과 보상의 결말을 거두는지, 반대로 어떤 캐릭터가 실패와 참회의 결말을 맞이하는지가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이번 연구에서 이루어지는 토도로브 통합체 분석의 목적은 여성이 극중 수행하는 역할과 여성의 이미지가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역할수행의 내용보다는 각 여성이 드라마에서 갈등을 유발하거나 해결하는지의 여부, 드라마의 결말에서 성공이나 보상, 혹은 실패나 참회의 결말을 맞이하는지의 여부가 중점적으로 다루어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 정체성에 대한 보브와르의 통찰이 포괄하는 것은? 성은 계급, 직업, 연령과 함께 사회구성원들의 상호작용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성에 따른 역할구분이 뚜렷한 사회일수록 성별은 개인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한설아, 1999).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성정체성에 대한 보브와르(Beauvoir, 1949/1996)의 통찰은 여성, 혹은 남성으로서의 신체적 특성과 생물학적 차이에 근거해 부여된 젠더적 여성성과 남성성, 다시 말해 ‘여성적인 것’과 ‘남성적인 것’ 모두를 포괄한다. 생물학적으로 주어진 자연적 성(sex)과 문화적이고 심리적 개념으로서 젠더(gender)의 구별을 강조하는 여성주의 학자들은 신체의 차이로 인한 자연적인 여성성, 혹은 남성성을 구분하는 성(sex)과 달리 사회적으로 규정된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을 의미하는 젠더를 매우 자의적인 개념으로 이해한다.
여성과 남성에게 주어진 성역할의 차이를 재생산하는 문화적 실천의 예시는? 이러한 성 정체성은 성차에 따라 적절한 행위와 몸짓, 태도를 구별하는 정교한 코드를 할당하며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의 차이, 나아가 여성과 남성에게 주어진 성역할의 차이를 재생산한다(Millett, 1970). 꽃무늬가 수놓아진 분홍색 여자아기용 침구, 자동차가 그려진 파란색 남자아기용 침구, 여자아이에게 선물하는 인형과 남자아이에게 선물하는 장난감 총, 유아원이나 초등학교 교사, 상담원 등 이른바 정서적 돌보기 성향이 강한 직업을 여성적 직업으로 분류하는 관행 등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의 구별을 재생산하는 문화적 실천의 예는 일상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인간은 자신의 육체를 가시적인 매개체로 무엇을 드러내고자 하는가? 몸은 여성과 남성의 섹슈얼리티를 물리적으로 드러냄과 동시에 성별, 나아가 성역할의 구별을 위한 갖가지 문화적 장치를 구성하는 최소단위이다(장필화, 1992). 인간은 자신의 육체를 가시적인 매개체로 자기의 정체성을 드러낸다(Giddens, 1992/1995). 또한 사회적 존재로서 개인은 오랜 시간에 거쳐 자신이 속한 계급이 요구하는 말씨, 태도, 차림새 등을 몸에 익히고 사회적 실체로 전환된 몸은 문화자본이나 경제자본과 마찬가지로 육체자본으로서 구별짓기의 도구로 사용된다(Shilling, 1993/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