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 건축물 그림자효과에 의한 다중 반사도 변화와 도시지표면 열수지에 미치는 영향
Multiple Albedo Variation Caused by the Shadow Effect of Urban Building and Its Impacts on the Urban Surface Heat Budget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1 no.7, 2010년, pp.738 - 748  

이순환 (부산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  안지숙 (국립수산과학원) ,  김상우 (국립수산과학원) ,  김해동 (계명대학교 지구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심지 빌딩에 의한 그림자가 대기경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위하여 위성자료 분석과 수치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위성은 한국다목적위성(KOMSAT-2)의 가시자료이며, 수치모형은 다중반사도 계산을 위한 반사도 계산모형과 지표면 열수지를 계산하기 위한 오레건주립대학교 경계층 모형의 2가지이다. 위성자료 분석에서 고층빌딩이 밀집한 지역은 그렇지 못한 지역에 비하여 반사도가 최대 17% 낮게 산정되었다. 이는 건물의 그림자가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리고 반사도의 일변화는 태양고도에 따라 다르며, 정오에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다. 건물 밀도가 높은 경우 지표면 온도가 $43.5^{\circ}C$까지 상승하는데 비하여 건물 밀도가 낮은 지역의 경우 지표면 온도는 $37.4^{\circ}C$까지 상승한다. 그러나 높은 빌딩에 따른 기계적 난류에 의하여 반사도에 의한 온도상승이 직접적으로 대기온도상승과 연결되지는 않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clarify the impact of variation of albedo o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caused by the density of building in urban areas, both satellite data analysis and numerica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tilized satellite data were multi-spectral visible data detected by the Korea Multi- P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연구결과 도시열섬은 인간 활동에 의한 인공열, 다양한 형태의 지표환경과 종관적인 기상상태의 결합에 의하여 발생하며, 지표면 에너지 수지 불균형에 의하여 발생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지표면 열수지에 관련된 각종 기상변수의 정확한 연구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도시발달에 따른 건축물의 밀도 변화가 대기 경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위성자료 분석과 수치실험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사용된 위성자료는 2007년 9월 27일 대구광역시 지역을 쵤영한 KOMPSAT2의 복합 영상이며, 기상요소산정을 위한 수치모형은 건물구조에 따른 다중 반사도를 산정하는 반사도 계산 모형(ACM)과 산정된 반사도에 따른 경계층 기상요소의 변화를 산출하는 대기경계층 모형(OSUPBL)의 2가지이다.
  • (2000)은 반사도의 일변화 관측을 통하여 1일 동안 최대 2배 정도 변화하고, 건축물이 복잡한 도심지에서는 반사도의 일변화가 더욱 크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중 반사도 계산 모형을 이용하여 대구광역시의 고층 지역과 단층지역의 반사도를 추정하여 도심지 건물에 따른 반사도의 일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지표면 열수지 모형을 이용하여 건물의 요철에 따른 반사도 변화가 지표면 열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다목적 실용위성(Korea Multi Purpose Satellite, KOMPSAT) 2호로부터 수신된 대구광역시 지역의 분광자료를 이용하여 반사도와 그림자의 분포를 산정하였다. KOMPSAT-2호는 2006년 7월 28일에 발사된 한국 다목적 인공위성으로 다중분광 카메라(Multispectral camera)를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대규모 재난감시, 지리정보시스템 정보제작, 지도제작, 자원탐사에 주로 활용된다.
  • OSUPBL은 다양한 형태의 지면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도심지내의 다양한 건물들에 대한 반사도 특성 분석이 주요한 목적이기 때문에 지표면 상태를 아스팔트 특성을 가진 나지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식생캐노피 층과 대기의 열적 교환은 상정하지 않았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식생캐노피 층과 대기의 열적 교환은 상정하지 않았다. 그리고 식물의 뿌리에서의 흡수, 잎과 줄기에서의 증산, 식생에 의한 바람의 차단, 식생 캐노피에 의한 지면 직달일사의 차단 등도 없다고 가정하였다. 단지 도시표면과 대기의 열교환 환경만을 평가하였다.
  • 그리고 높이를 제외한 다른 요소는 동일하게 산정하였다. 빌딩의 면적은 두 경우 모두 일정한 40%로 설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빌딩의 지붕과 벽면은 반사율이 높은 건축자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반사율은 각각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사도란 무엇인가? 특히 지표면의 열수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반사도는 주간 도심 열섬강도를 결정하는 주요한 인자이다. 반사도는 태양복사에 의해 입사되는 에너지에 대한 반사되는 에너지의 비로, 지표면의 수분상태나 지형 기복에 따라 매우 복잡하게 나타난다. Grant et al.
KOMSAT-2에 탑재된 5개의 센서는 무엇인가? KOMPSAT-2호는 2006년 7월 28일에 발사된 한국 다목적 인공위성으로 다중분광 카메라(Multispectral camera)를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대규모 재난감시, 지리정보시스템 정보제작, 지도제작, 자원탐사에 주로 활용된다. 그리고 KOMSAT-2에는 1 m 해상도의 전색 채널 1개와 4 m 해상도의 분광채널 4개 등 총 5개의 센서가 탑재되어 있다.
본 연구는 임계값 법을 사용하여 어떻게 그림자 영역을 산출하였는가? 임계값법은 영상의 화소값들을 이용하여 히스토그램을 생성한 후 히스토그램의 밝기값에 임계값을 적용하여 그림자를 탐지한다. 그림자의 밝기는 대체로 낮은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히스토그램에서 낮은 밝기값을 가지는 영역을 설정해서 그림자 영역을 산출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안지숙, 김해동, 2006, 대구지역의 기상조건에 따른 도시열섬강도의 계절별 변화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5, 527-532. 

  2. 이순환, 이화운, 김동혁, 김현구, 2007, 한반도 풍력자원 평가를 위한 초기 공간해상도와 위성자료동화의 관계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3, 653-665. 

  3. 이순환, 김인수, 김해동, 2008, 도로 포장 기술 개선에 따른 대기 경계층의 열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4, 551-561. 

  4. 이종범, 김재철, 천태훈, 2009, 위성자료를 이용한 MM5 4차원자료동화가 광화학모델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고찰.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5, 264-274. 

  5. 진경욱, 주광혁, 양군호, 2009, 지구관측용 가시광선 및 적외선 위성센서의 검보정 연구 동향.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7, 89-96. 

  6. Chimklai, P., Hagishima, A., and Tanimoto, J., 2004, A computer system to support Albedo Calculation in urban areas. Building and Environment, 39, 1213-1221. 

  7. Ek, M. and Mahrt, L., 1991, OSU PBL model user' guide. Oregon State University, 117 p. 

  8. Fortuniak, K., 2008, Numerical estimation of the effective albedo of an urban canyon. Theoretical Applied Climatology, 91, 245-258. 

  9. Grant, I.F., Prata, A.J., and Cechet, R.P., 2000, The impact of the diurnal variation of albedo on remote sensing of the daily mean albedo of grassland.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9, 231-244. 

  10. Hamdi, R. and Schayes, G., 2007, Sensitivity study of the urban heat island intensity to urban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8, 973-982. 

  11. Hagishima, A. and Tanimoto, J., 2005, Investigations of urban surface conditions for urban canopy model. Building and Environment, 40, 1638-1650. 

  12. Han, J.Y. and Baik, J.J., 2008, A Theoretical and Numerical Study of Urban Heat Island-Induced Circulation and Convection.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 65, 1859-1877. 

  13. Lee, S.H. and Kim, H.D., 2008, Effects of regional warming due to urbanization on daytime local circulations in a complex basin of the Daegu Metropolitan Area, Korea.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e, 47, 1427-1441. 

  14. Martilli, A., Clappier, A., and Rotach, M.W., 2002, An urban surface exchange parameterization for meso-scale models. Boundary-Layer Meteorology, 104, 261-304. 

  15. Sengoku, A., Cheng, M.K., and Schuts, B.E., 1995, Anisotropic reflection effect on satellite, Ajisai. Journal of Geodesy, 70, 140-145. 

  16. Tran, H., Uchihama, D., Ochi, S., and Yasuoka, Y., 2006, Assessment with satellite data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s in Asian mega c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8, 34-48. 

  17. Yucel, I., 2006, Effects of implementing MODIS land cover and albedo in MM5 at two contrasting U.S. regions. Journal of Hydrometeorology, 7, 1043-10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