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화(桃花, Prunus persica Flos)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of Prunus persica Flos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3 no.3, 2010년, pp.154 - 161  

이진영 (호서대학교 한방화장품과학과) ,  안봉전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화를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한 후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1,000ppm에서 각각 54.0, 58.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에탄올 추출물 100ppm에서 40.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였다. 또한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율을 확인한 결과 도화 에탄올 추출물 100ppm에서 56.5%의 효과를 나타내어 도화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주름개선 효과 측정으로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아세톤 추출물 1,000ppm에서 57.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ollage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도화 아세톤 1,000ppm에서 48.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collagen 생합성량을 측정한 결과 도화 아세톤 추출물 100ppm에서 41.0%의 효과를 나타내어 도화 아세톤 추출물의 주름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도화 추출물의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olvent extracts of Prunus persica Flos were investigated for the activities of whitening and anti-wrinkle effects to apply as a functional ingredient for cosmetic products. The tyrosinase inhibitory effect, which is related to skin-whitening, was 54.0, 58.3% in P. persica Flos (PPW, PPE) at 1,0...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화에는 flavonoids 유래의 kaempferole- 그 배당체, albamyricetin 등의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으몌Kim 등, 1991], kaempferole] 경우 지질과산화와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Hur 등, 1998; Lee 등, 2004], 도화의 화장품으로서의 활용에 관한 내용은 보고된 바 없어, 본 연구에서는 미백 및 주름개선 억제 물질을 탐색하는 중 민간에서 미백이나 염증치료에 널리 사용되어진 도화(桃花)를 이용해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n BJ, Lee CE, Son JR, Lee JY, Choi GR, and Park TS (2005) Antioxidant, anticancer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extracts from Rlwdodendron mucronulatum T. J Korean Soc Appl BioI Chem 48, 280-284. 

  2. Barrantes E, and Guinea M (2003) Inhibition of collagenase and metallo- proteinases by aloins and aloe gel. Life Sci 72, 843-850. 

  3. Bernstein EF, Chen YQ, Tamai K. Shepley KJ, Resnik KS, Zhang H, Tuan R, Mauviel A, and Uitto J (1994) Enhanced elastin and fibrillin gene expression in chronically photodamaged skin. J Invest Dermatol 103, 182-186. 

  4. Cannell RJP, Kellan SJ, Owsianks AM, and Walker JM (1988) Results of a large scale screen of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protease inhibitors. Planta Med 54, 10-14. 

  5. Carmichael J, DeGraff WG, Gazdar AF, Minna JD, and Mitchell JB (1987) Evaluation of a tetrazolium based semiautomated colorimetric assay: assessment of chemosensitivity testing. Cancer Res 47, 936-942. 

  6. Choi SY, Kang NJ, and Kim HC (2006) Inhibitory effect of root extracts on melanin biosynthesis in Rodgersia podophylla A. Gra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27-30. 

  7. Choi WY, Chun HJ, Lee JH, and Baek SH (2003)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Cornis fructus on melanogenesis. Kor J Pharmacogn 34, 70-74. 

  8. Chun HJ, Choi WH, Baek SH, and Woo WH (2002) Effect of Quercetin on melanogenesis in melan-a melanocyte cells. Kor J Pharmacogn 33, 245-251. 

  9. Demina NS, and Lysenko SV (1996) Collagenolytic enzymes synthesized by microorganisms. Mikrobiologiia 65, 293-304. 

  10. El-Domyati M, Attia S, Saleh F, Brown D, Birk DE, Gasparro F, Ahmad H, and Uitto J (2001) Intrinsic aging vs. photoaging: a comparative histo- pathological, inununohistochemical, and ultrastructural study of skin. Exp Dermatol 11, 398-405. 

  11. Giacomoni PU, and Rein G (2001) Factors of skin ageing share common mechanisms. Biogerontology 2, 219-229. 

  12. Gilchrest BA (1990) Skin aging and photoaging. Dermatol Nurs 2, 79-82. 

  13. Grant NH, and Album HE (1959) Studies on the collagenases of Clostridium histolyticum. Arch Biochem Biophys 82, 245-255. 

  14. Han J, Kim HJ, Lee SS, and Lee IS (1999) Inhibitive effects of meju extracts made with a single inoculum of the fungi isolated from the traditional meju on the human leukemia cell line. Korean J Mycology 27, 312-317. 

  15. Hearing VJ Jr (1987) Mammalian monophenol monooxygenase (tyrosina se): purification, properties, and reactions catalyzed. Methods Enzymol 142, 154-165. 

  16. Hearing VJ, and Jimenez M (1987) Mammalian tyrosinase the critical regu- latory control point in melanocyte pigmentation. Int J Biochem 19, 1141. 

  17. Heo J (1994) Donguibogam. Daejoongseokwan Press, pp. 173, 301, 1386. Seoul, Korea. 

  18. Hosoi J. Abe E, Suda T, and Kuroki T (1985) Regulation of melanin synthesis of B16 mouse melanoma cells by 1 alpha, 25-dihydroxyvitamin D3 and retinoic acid. Cancer Res 45,1474-1478. 

  19. Hur JM, Lee JH, Choi JW, Hwang GW, Chung SK. Kim MS, and Park JC (1998) Effect of methanol extract and kaempferol glycosides from armoracia rusticana on the formation of lipid peroxide in bromo benzene-treated rats in vitro. Kor J Pharmacogn 29, 231-236. 

  20. Jung SW, Lee NK. Kim SJ, and Han DS (1995). Screening of tyrosinase inhibitor from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91-896. 

  21. Kim IH etc (1991) New medicines botany. pp. 279. Hakchangsa Press, Seoul, Korea. 

  22. Kim MJ, Kim JY, Choi SW, Hong IT, and Yoon KS (2004)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Cathamus tinctorius) seed extract. J Soc Cosmet Scientisis Korea 30, 15-22. 

  23. Kim SH, Cha EJ, and Hwang YJ (2004) Studies on antitumor activ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Coriolus Versicolor (Fr.) Qual and Ganoderma Lucidum (Fr.) Karst. Korean J Human Ecology 7, 49-58. 

  24. Kwak JH, Kim YH, Chang HR, Park CW, and Han YH (2004) Inhibitory effect of gardenia fruit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Korean J Biotechnol Bioeng 19, 437-440. 

  25. Kwak YJ, Lee DH, Kim NM, and Lee JS (2005) Screening and extraction condition of anti-skin aging elastase inhibitor from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213-216. 

  26. Lee HJ, Lee EO, Lee YR, Kim KH, Lee JH, Baek NI, Ra JC, and Kim SH (2004) Anti-tumor activity of Korean oldenlandiae Herba and Radix. Kor J Pharmacogn 35, 110-115. 

  27. Lee NH, Yang HC, Bu HJ, Jung DS, Lee SJ, and Riu KZ (2001)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ion and hyaluronidase inhibition activities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using plants in Cheju. Kor J Pharmacogn 32, 175-180. 

  28. Lee SS, Mun SH, Lee HJ, Choe DH, and Jo MH (2004) Cholesterol inhibitory activities of kaempferol and quercetin isolated from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byllum. Mokchae Konghak 32, 17-27. 

  29. Lee TW, Kim SN, Jee UK, and Hwang SJ (2004) Anti-wrinkle effect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hydrogel patches containing Ulmi cortex extract. J Kor Pharm Sci 34, 193-199. 

  30. Li G, Ju HK, Chang HW, Jahng YD, Lee SH, and Son JK (2003) Melanin biosynthesis inhibitors from the bark of Machi/us thunbergii. Biol Pharm Bull 26, 1039-1041. 

  31. Mauviel A, Halcin C, Vasiloudes P, Parks WC, Kurkinen M, and Uitto J (1994) Uncoordinate regulation of collagenase, stromelysin, and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genes by prostaglandin E2: selective enhancement of collagenase gene express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in culture. J cell Biochem 54, 465-472. 

  32. Park SK, Kim SN, Lee JC, Kim HS, Kim YJ, Lee Bo, and Chang IS (2004) Anti-aging effect on skin with Jaeum-Dan(JED). Kor J Herbology 19, 67-76. 

  33. Pentland AP, Shapiro SD, and Welgus HG (1995) Agonist-induced expression of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 and metalloproteinases by human macrophages is regulated by endogenous prostaglandin E2 synthesis. J Invest Dermatol 104, 52-57. 

  34. Seo G (2005) Koryeodokyung. Seohaemoonjib press, pp. 276. Gyeonggi-do, Korea. 

  35. Seo MH, and Lee YM (2000) The we tree to fmd easily(3). pp. 146-147. hyeonamsa Press, Seoul, Korea. 

  36. Tsuji N, Moriwaki S, Suzuki Y, Takema Y, and Imokawa G (2001) The role of elastases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74, 283-290. 

  37. Wunsch E, and Heindrich HG (1963) Zur quantitativen bestimmung der collagenase. Hoppe-Seyler's Physiol Chem 333, 149-151. 

  38. Yagi A, Kanbara T, and Morinobu N (1986)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Planta Medica 3981, 517-51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