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건강검진 시행 초기 1년의 결과 분석
One-year evaluation of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s and children i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53 no.3, 2010년, pp.307 - 313  

문진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순영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은백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성우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재활의학과) ,  김영기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정신과) ,  신손문 (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혜경 (서울보훈병원 소아청소년과) ,  정희정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목 적 : 2007년 11월 15일부터 시작된 영유아 건강검진의 시행 일년간의 검진 결과를 분석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검자와 검진의사의 의견을 조사하여, 향후 영유아 건강검진의 개선 및 발전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질병관리본부의 지원 하에 수행되었다. 방 법 : 2007년 11월 15일부터 2008년 10월 16일까지 4개월, 9개월, 18개월, 30개월, 5세 검진 대상자 총 2,729,340명의 검진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검자는 1,035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262명의 검진의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전체 수검률은 35.3%이었다. 수검률은 월령이 증가하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성별에 따른 수검률의 차이는 없었다. 구강검진은 6.9%의 수검률을 보였다. 소득이 가장 높은 그룹의 수검률이 가장 낮았고, 의료급여 수급자에서도 낮았다. 검진은 의원에서 82.6%의 수검이 이루어졌다. 4개월 수검자 중 9개월 재 수검자로 계산한 재 수검률은 57.3%이었다. 전체 수검자의 3.1%가 종합판정에서 유소견율을 보였으며, 소득분위가 낮은 그룹에서 유소견율이 높았다. 수검자 설문조사에서는 문진표가 어렵지 않다고 하였고(94%), 검진과정도 73%에서 대체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 응답하였다. 상담 시간 5-10분간 상담을 받은 수검자의 84.2%, 10분 이상 상담을 받은 수검자의 94-95%에서 상담시간에 만족한다고 답하였다. 응답자의 73.2%에서 상담과 교육이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건강교육은 77.1%에서 수검되었고 설명서도 73.7%에서 수취되었다. 검진의사는 결과 통보서를 작성하는 것에 어려움이 없었고(80%), 현 수가의 적절성은 51.1%가 매우 낮거나 낮다고 응답하였다. 검진의의 98.5%에서 현 검진이 어린이 건강증진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으며, 94%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참여하겠다고 응답하였다. 결 론 : 영유아 건강검진은 시행 첫 일년 동안 성공적으로 시작되었다. 향후 수검률의 향상과 질 관리가 필요하며, 소득분위가 낮은 계층에 대한 지원이 요청된다. 검진의 완전 전산화와 최소 5년 주기의 정기적인 가이드라인의 개정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Results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s and Children, which was launched in November 2007, were evaluated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development. Methods : Data from a total of 2,729,340 cases were analyzed. Five visiting ages, such as 4, 9, 18, 30, and 60 mo...

주제어

참고문헌 (17)

  1. Korean J Pediatr Eun 51 225 2008 10.3345/kjp.2008.51.3.225 

  2. Child public health Blair 11 2003 2nd Ed 

  3. Bright Futures: Guidelines for Health Supervision of Inf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Hagan 1 2008 

  4. The guide to clinical preventive services : recommendations of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ck Forc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1 2006 

  5. Committee UNS. 2010. accessed 2010 20 Feb. Available from: http://www.screening.nhs.uk 

  6. Korean J Pediatr Moon 51 1 2008 10.3345/kjp.2008.51.1.1 

  7. Report for the Promotion of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s and Children Lee 1 2007 

  8. Taiwan Public Health Report 2008 Department of Health ROC 2009 

  9. Pediatrics Pierce 109 E82 2002 10.1542/peds.109.5.e82 

  10. Community Dent Health Menghini 25 154 2008 

  11. Community Dent Health Schiffner 26 18 2009 

  12. Dental Recall: Recall interval between routine dental examinations 1 2004 

  13. Eur J Pediatr Wabitsch 159 s8 2000 10.1007/PL00014368 

  14. Korea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Moon 11 42 2008 10.5223/kjpgn.2008.11.1.42 

  15. Soc Sci Med Kim 69 1116 2009 10.1016/j.socscimed.2009.07.014 

  16. Pediatrics Flores 121 E286 2008 10.1542/peds.2007-1243 

  17. The Report of the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on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05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