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건강검진 완전수검 여부 관련 요인
What Factors Cause a Complete Examination of Infant Health Checkup?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4 no.3, 2014년, pp.261 - 270  

강승진 (국민건강보험공단 서울지역본부 건강관리부) ,  정우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희진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이선미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examined what factors affected a complete examination of infant health checkup. Methods: We used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 data of 2,936,650 infants, taking examination in 2012. These claim data included enrollment status of householders and records of infant he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2012년 영유아 건강검진 수검대상자 전수 중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연령대별로 권고된 영유아 건강검진을 모두 수검했는지 여부에 대한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자녀의 예방 및 치료서비스의 이용 여부가 부모의 특성과 관련성이 높을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영유아 특성은 물론 해당 세대주 및 세대의 특성을 광범위하게 고려한 상태에서 영유아 건강검진 완전수검 여부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영유아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수검률이 낮아지는 등 현행 영유아 건강검진 제도가 가진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가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2007년 첫 도입된 영유아 건강검진을 대상으로 건강검진 완전수검 여부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영유아 특성을 비롯한 세대주 및 세대 특성을 광범위하게 고려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또한 이 연구에서는 자녀의 예방 및 치료서비스의 이용 여부가 부모의 특성과 관련성이 높을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영유아 특성은 물론 해당 세대주 및 세대의 특성을 광범위하게 고려한 상태에서 영유아 건강검진 완전수검 여부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영유아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수검률이 낮아지는 등 현행 영유아 건강검진 제도가 가진 문제점들을 개선해 나가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2012년 영유아 건강검진 수검대상자 전수 중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영유아를 대상으로 연령대별로 권고된 영유아 건강검진을 모두 수검했는지 여부에 대한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자녀의 예방 및 치료서비스의 이용 여부가 부모의 특성과 관련성이 높을 것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영유아 특성은 물론 해당 세대주 및 세대의 특성을 광범위하게 고려한 상태에서 영유아 건강검진 완전수검 여부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 첫째, 이 연구는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2012년의 영유아 건강검진 수검대상자 2,936,650명을 대상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구축한 건강보험 빅데이터상의 각종 자격 및 건강검진자료를 연계하여 수행한 이차분석연구이다. 따라서 유사 선행연구를 근거로 영유아의 건강검진 수검 여부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모의 교육수준, 가구 내 총 자녀수 및 해당 자녀의 순위, 검진기관의 접근성 등과 이 외에 수검 및 미수검 시기, 검진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의료서비스 제공자를 포함한 보건의료체계와 관련한 각종 특성 등은 분석에 포함하지 못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기는 어떤 시기인가? 영유아기는 전 생애를 통해 신체적·정서적·인지적 발달속도가 가장 빠르고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기로 이때의 성장과 발달은 개인의 평생 건강과 안녕을 좌우하는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3-5]. 더욱이 이 시기에는 뇌가 아직 발달단계에 있어 여러 가지 자극과 치료에 대한 가소성(plasticity)이 높아 성장발달 지연 및 의심에 대한 적극적인 조기중재가 이루어질 경우 추후에 남을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계이기도 하다[3,6-8].
연구를 위해 설정한 독립변수들 중 영유아 특성에 대한 설명은? 다음으로 독립변수는 크게 영유아 특성, 세대주 특성, 세대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 영유아 특성에는 영유아의 성, 연령, 장애 여부를 포함하였다. 영유아의 연령은 0-6세까지 1세 간격으로 7개 범주로, 장애 여부는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장애등급 판정을 받은 자와 그렇지 않은 자 2개범주로구분하였다.
영유아기의 성장과 발달이 중요한 이유는? 영유아기는 전 생애를 통해 신체적·정서적·인지적 발달속도가 가장 빠르고 성장 가능성이 가장 높은 시기로 이때의 성장과 발달은 개인의 평생 건강과 안녕을 좌우하는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3-5]. 더욱이 이 시기에는 뇌가 아직 발달단계에 있어 여러 가지 자극과 치료에 대한 가소성(plasticity)이 높아 성장발달 지연 및 의심에 대한 적극적인 조기중재가 이루어질 경우 추후에 남을 수 있는 부정적인 결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단계이기도 하다[3,6-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trend survey. Daejeon: Statistics Korea; 2014. 

  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data 2012.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2. 

  3. Anderson LM, Shinn C, Fullilove MT, Scrimshaw SC, Fielding JE, Normand J, et al. The effectiveness of early childhood development programs: a systematic review. Am J Prev Med 2003;24(3 Suppl):32-46. DOI: http://dx.doi.org/10.1016/S0749-3797(02)00655-4 

  4. Kim TI, Kim MJ, Kwon YJ, Jun MK. Evaluation of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al status of infants and childre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J Korean Acad Child Health Nurs 2010;16(2):164-174. DOI: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2.164 

  5. Hertzman C, Wiens M. Child development and long-term outcomes: a population health perspective and summary of successful interventions. Soc Sci Med 1996;43(7):1083-1095. DOI: http://dx.doi.org/10.1016/0277-9536(96)00028-7 

  6. Ju HO, Park YK, Kim DW. Predicting factors of developmental delay in infant and early children. Child Health Nurs Res 2013;19(1):12-20. DOI: http://dx.doi.org/10.4094/chnr.2013.19.1.12 

  7. Burger K. How does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affect cognitive development?: an international review of the effects of early interventions for children from different social backgrounds. Early Child Res Q 2010; 25(2):140-165. DOI: http://dx.doi.org/10.1016/j.ecresq.2009.11.001 

  8. Nelson CA. The neurological bases of early intervention. In: Shonkoff JR, Meisels SJ, editors. Handbook of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2nd ed. New York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9.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Developmental surveillance and screen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Pediatrics 2001;108(1):192-196. 

  10.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Medical checkup guid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4. 

  11. Moon JS, Lee SY, Eun BL, Kim SW, Kim YK, Shin SM, et al. One-year evaluation of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for infants and children in Korea. Korean J Pediatr 2010;53(3):307-313. DOI: http://dx.doi.org/10.3345/kjp.2010.53.3.307 

  12. Kim HK. Influence of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behavior with cancer screening program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6. 

  13. Lee AK, Lee SM, Park IS. Analyses of the non-examinees' characteristics for the effective screening management. Korean J Health Policy Admin 2006;16(1):54-72. DOI: http://dx.doi.org/10.4332/kjhpa.2006.16.1.054 

  14. Chun EJ, Jang SN, Cho SI, Cho Y, Moon OR. Disparities in participation in health examination by socio-economic position among adult Seoul residents. J Prev Med Public Health 2007;40:345-350. DOI: http://dx.doi.org/10.3961/jpmph.2007.40.5.345 

  15. Hwan YH, Lim JY. The effects of accessibility to medical examination institute on the degrees of taking medical examin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43th Conference; 2009 Nov 19-20; Busan, Korea. Suwon: Korean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2009. 

  16. Yeo JY, Jeong HS. Determinants of health screening and its effects on health behaviors. Korean J Health Policy Admin 2012;22(1):49-64. DOI: http://dx.doi.org/10.4332/kjhpa.2012.22.1.049 

  17. Lim JH. A study on the service utilization of national health screening: focusing on causal factors from supply and demand sid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12. 

  18. Rohlfs I, Borrell C, Pasarin MI, Plasencia A. The rol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in preventive practices: the case of cervical and breast cancer. Eur J Public Health 1999;9(4):278-284. DOI: http://dx.doi.org/10.1093/eurpub/9.4.278 

  19. Finkelstein MM. Preventive screening. What factors influence testing? Can Fam Physician 2002;48:1494-1501. 

  20. Wu S. Sickness and preventive medical behavior. J Health Econ 2003;22(4):675-689. DOI: http://dx.doi.org/10.1016/s0167-6296(03)00042-0 

  21. Sambamoorthi U, McAlpine DD. Racial, ethnic, socioeconomic, and access disparities in the use of preventive services among women. Prev Med 2003; 37(5):475-484. DOI: http://dx.doi.org/10.1016/s0091-7435(03)00172-5 

  22. Viera AJ, Thorpe JM, Garrett JM. Effects of sex, age, and visits on receipt of preventive healthcare services: a secondary analysis of national data. BMC Health Serv Res 2006;6:15. DOI: http://dx.doi.org/10.1186/1472-6963-6-15 

  23. Schenk L, Knopf H. Oral health behaviou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ermany: first results of the German Health Interview and Examination Surve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KiGGS). Bundesgesundheitsblatt Gesundheitsforschung Gesundheitsschutz 2007;50(5-6):653-658. DOI: http://dx.doi.org/10.1007/s00103-007-0226-6 

  24. Shin DH. Study on the difference in health care utilization amount and disease pattern between screening and non screening group check up program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0. 

  25. Kwak MS, Park EC, Bang JY, Sung NY, Lee JY, Choi KS. Factors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participatio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5; 38(4):473-481. 

  26. Lee SA, Choi KS, Hwang SY, Lee JY, Park EC, Lee KJ, et al. The effect of socioecinomic factors on health screening in Korea: the 2001 Korean national examination health and nutrition surveys (KNEHANS). J Cancer Prev 2004;9(3):188-198. 

  27. Kim RB, Park KS, Hong DY, Lee CH, Kim JR. Factors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intention in eligible persons for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J Prev Med Public Health 2010;43(1):62-72. DOI: http://dx.doi.org/10.3961/jpmph.2010.43.1.62 

  28. Park JH.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mass screenings of the disabled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29. Tae ES.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participate in health screening [dissertation]. Busan: Inje University; 2012. 

  30. Ham HH. The factors related to the child health examinations [dissertation]. Seoul: Inje Institute of Advanced Studies; 2011. 

  31. Frankenburg WK. Developmental surveillance and screening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Pediatrics 2002;109(1):144-145. DOI: http://dx.doi.org/10.1542/peds.109.1.144 

  32. Park HA, Song KY.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and mother's ambulatory care utilization. Matern Child Nurs J 1994;4(1):24-32. 

  33. Lee BR.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o medical services utilization of the aged [master's thesis].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07. 

  34.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1 Report on monitoring the infant health checkup.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2. 

  35.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2 National health screening statistical yearbook.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