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We wanted to identify those factors associated with stomach, colon, breast and cervix cancer screening. Methods : A population-based telephone survey was conducted for 2 weeks (the 9th-23th of July, 2004) by trained interviewers with using a questionnaire. 2,598 respondents (females a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에 비해 높았다. 검진은 단순히 평생 검진 수검 유무와 횟수뿐만 아니라 규칙적인 검진 행위의 지속성울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룰 검진 권고안 이행 수검를로 제시하였다. 검진 권고안 이행 수검를 역시 자궁경부암은 583%, 유방암은 425%로 기존의 연구둘 보다 수검를이 높았다.
  • 기존에 실시되었던 연구둘의 조사 대상, 조사 방법울 보완하여, 대표성 있는 우리나라 암 검진 수검를울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인에게 권고할 수 있는 검진 권고안 이행 수검 유무룰 조사함으로써 규칙적인 검진 이행 유무룰 살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8년 우리나라 전 국민울 대표할 수 있는 암검진 수검를 현황 및 규칙적인 검진 행위의 지속성울 살펴보기 위하여 2001년 국립암센터와 관련학회(대한위암학회, 대한간학회, 대한 대장항문학회, 한국유방암학회 )에서 함께 만든 우리나라 5대암 검진권고안 이행 수검룰울 파악하고자 한다. (Table 1).
  • 기존에 실시되었던 연구둘의 조사 대상, 조사 방법울 보완하여, 대표성 있는 우리나라 암 검진 수검를울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인에게 권고할 수 있는 검진 권고안 이행 수검 유무룰 조사함으로써 규칙적인 검진 이행 유무룰 살펴보고자 하였다. 암종별로 차이는 있으나 응답자둘의 평생암 검진 수검를은 253~76.
  • 본 연구는 우리나라국민의 암검진 수검를과 수검에 영향울 주는 요인울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3년 인구 주택 총 조사의 인구룰 기준으로 성별, 연령별, 지역별로 층화하여, 모집단(우리나라 전체 인구)에 비 례하여 추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 수검 를은 응답자의 해당 암 종에 대한 평생 수검를과 규칙적인 검진행위의 지속성울 살펴보기 위한 검진 권고안 이행 수검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평생 수검를에 영향울 주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면 기존의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연령은 암 검진 수검에 있어 중요한요인이다.
  • 이 연구는 전국 규모의 표본 추출울 통해 우리나라 국민의 위 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검진를과 암 검진에 영향울 미치는 요인울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실시되었던 연구둘의 조사 대상, 조사 방법울 보완하여, 대표성 있는 우리나라 암 검진 수검를울 제시하고자 하였다.
  • (Table 1). 이와 더불어 암 검진 수검에 영향울주는 요인 둘울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National Cancer Center. Cancer Information. 2004 (Korean) 

  2. Chamberlain J., Moss S. Evaluation of cancer screening. Springer 1996. 87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Study on the Expansion of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me. 2004 (Korean)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2 (Korean) 

  5. Cho IS, Park YS. A study on regular cancer screening behavior among middle-aged women. Korean Soc Nurs Sci 2003; 34(1): 141-149 (Korean) 

  6. Song MS, Chun KH, Song HJ.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practice of women in Suwon city. Korean J Health Policy & Admin 1999; 9: 139-155 (Korean) 

  7. Lee KS, Chang SH, Lee WJ. Cancer screening rate and related factors in rural area. Korean J Prev Med 2000; 33(3) : 364-372 (Korean) 

  8. Kim YB, Ro WN, Lee WC, Park YM, Meng KH. The influence factors on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behavior of women in a city. J Korean Soc Health Edu & Promotion 2000; 17(1): 155-170 (Korean) 

  9. Jirojwong S., MacLennan R., Health beliefs, perceived self-efficacy, and breast selfexamination among Thai migrants in Brisbane. J Adv Nurs 2003; 41(3): 241-249 

  10. Lagerlund M., Hedin A., Sparen P., Thurfjell E., Lambe M. Attitudes, beliefs, and knowledge as predictors of nonattendance in a Swedish population-based mammography screening program. Prev Med 2000; 31: 417-428 

  11. Black M., Stein K. Loveland-Cherry C. Older women and mammography screeningbehavior : Do possible selves contribute? Health Educ & Behav 2001; 29(2): 200-216 

  12. Taylor VM, Schwartz S, Jackson JC, Kuniyuki A, Fischer M, Yasui Y, Tu SP, Thompson B. Cervical cancer screening among Cambodian- American women,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1999; 8: 541-546 

  13. Wardle J, McCaffery K, Nadel M, Atkin W, Socioeconomic difference in cancer screening participation: comparing cognitive and psychosocial explanations. Soc Sci Med 2004; 59: 249-261 

  14. Kim HJ.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practice rate among Seoul and Kunggydo women. graduate school of occupational health [dissertation]. Korea : Catholic Univ; 1997 (Korean) 

  15. National Health Service. NHS Cancer Screening Programme Annual Review 2003. 2004 

  16. Australian Institute of Health and Welfare.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in Australia 2001-02, Cancer series 2004, no. 27 

  17. www.kenkounippon21.gr.jp 

  18. National Cancer Institute. Cancer Progress Report. 2003 

  19. Hoffman-Goetz, L., Breen, N. Meissner, H. The impact of social class on the use of cancer screening within three racial/ethnic groups in the United States. Ethnicity Dis 1998; 8; 43-51 

  20. Zackrisson S., Andersson I., Manjer J., Janzon L., Non-attendance in breast cancer screening is associated with unfavorable socio-economic circumstances and advanced carcinoma. Int J Cancer 2004; 108: 754-760 

  21. Donato, F., Bollani, A., Spiazzi, R., Soldo, M., Pasquale, L., Manarca, S., Lucini, L., Nardi, G. Factors associated with non-participation of women in a breast cancer screening programme in a town in northern Ital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91; 45: 59-64 

  22. Ciatto, S., Cecchini, S., Isu, A. Maggi, A. Cammelli, S. Determinants of non-attendance to mammographic screening. Analysis of a population sample of the screening program in the district of Florence. Tumori 1992; 78: 22-25 

  23. McNoe B, Richardson AK, Elwood JM. Factors affecting participation in mammography screening. N Z Med J 1996; 109(1030): 359-61 

  24. Cockburn, J., Sutherland, M., Cappiello, M., Heaven, M. Predictors of attendance at a relocatable mammography service for rural women. Aust. N Z J Public Health 1997; 21: 739-742 

  25. Andersen M.R., Smith R., Meidchke H., Bowen D., Urban N., Breast cancer worry and mammography use by women with and without a family history in a population-based sample.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03; 12: 314-320 

  26. Conry, C., Main, D., Miller, R., Iverson, D., Calonge, B., Factors influencing mammogram ordering at the time of the office visit. J Fam Pract 1993; 37: 356-360 

  27. Maxwell, C. J., Bancej , C. M., Snider, J., Predictors of mammography use among Canadian women aged 50-69: Findings from 1996-1997 National Population Health Survey. CMAJ 2001; 164: 329-334 

  28. Valdez, A., Banerjee, K., Ackerson, L., Fernandez, M., Otero-Sabogal, R., Somkin, C.P. Correlates of breast cancer screening among low income, low-education Latinas. Prev Med 2001; 33: 495-502 

  29. Frazier, E.L., Jiles, R.B., Mayberry, R., Use of screening mammography and clinical breast examinations among black, Hispanic and white women. Prev Med 1996; 25 : 118-125 

  30. Sutton, S., Bickler, G., Sancho-Aldridge, J., Saidi, G. Prospective study of predictors of attendance for breast screening in inner London. J Epidemiol Comm Health 1994; 48: 65-73 

  31.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Handbook of Cancer Prevention. vol. 7 : Breast Cancer Screening. IARC Press 2002. 72-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