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여름 남해광역권의 수괴별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the Different Water Masses During Early Summer of Southern Sea of Kor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2 no.1, 2010년, pp.1 - 13  

백승호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신경순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현봉길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장풍국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김현수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황옥명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ssess short-term variation of summer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different water masses, phytoplankton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monitored from 31 stations on and off the southern coasts of Korea, from June 18 to June 20 2009. According to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d clus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대한해협과 제주도 연안을 포함한 남해 광역권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수평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각 정점별 출현종과 현존량을 바탕으로 MDS(Multidimensional Scaling)와 Cluster 분석을 행하였다. 또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CCA(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분석을 행하여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한해협과 제주도 연안을 포함한 남해 광역권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수평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각 정점별 출현종과 현존량을 바탕으로 MDS(Multidimensional Scaling)와 Cluster 분석을 행하였다. 또한 식물플랑크톤의 분포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CCA(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분석을 행하여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온과 염분의 분포(T-S diagram)에 따른 수괴의 특성은 3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각 그룹의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도 수온과 염분의 분포(T-S diagram)에 따른 수괴의 특성을 크게 3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룹 1에서는 대마난류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대한 해협 하단(St. 6-8)정점과 제주도 남동해역(St. 10-12, 17, 18)의 정점으로 구분되었다. 그룹 2에서는 남해연안수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정점으로 상대적으로 저염분수괴 특성을 지닌 연안 정점으로 구분되었다. 마지막으로 그룹 1과 2에서 분리 되지 않는 물리특성을 가진 정점(St. 13과 더불어 St. 28전후의 정점)이 제 3그룹으로 나누어 졌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은 무엇에 따라 변화하는가? 해양생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은 기초생산자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해수의 유동과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라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이 변화한다. 따라서 식물플랑크톤의 출현 종조성과 분포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당 해역의 생산성과 수괴구조를 이해하고 먹이망을 통한 물질(에너지) 전달과정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수괴구조의 변화는 어떤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가? 남해광역해역은 쿠로시오의 지류수인 대마난류수와 황해 난류수, 중국 대륙의 연안수, 남해권역의 연안수와 같은 서로 다른 다양한 수괴들이 접하는 해역으로 복잡한 수괴구조가 형성되며, 각 수괴 사이에는 전선(front)이 형성되어 식물플랑크톤의 집적을 유도한다(Yang and Kim 1990; 박 등 1998; 양 등 1998). 이와같이 수괴구조의 변화는 해양전선(ocean front)의 형성과 소멸을 반복시키고, 전선이 형성되는 위치는 각기 다른 해역의 플랑크톤성 생물의 유입을 동반할 수 있으며 당해역에 분포하는 생물상을 변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Han et al. 1989; 추와 김 1998; 임 등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공영 (1971) 한국남해안 전선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6:25-36 

  2. 김복기 (1982) 한국남해의 수온과 염분의 변동계수. 한국해양학회지 17:74-84 

  3. 김형신, 정민민, 이준백 (2008) 열대 해역 지표종 Ornithocercus속 와편모조의 출현동향으로 본 한반도 온난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3:303-307 

  4. 노재훈, 유신재, 이정아, 김현철, 이재학 (2005) 현미경, Flow Cytometer, HPLC 색소자료 및 원격탐사를 이용한 이어도 관측기지 주변수의 식물플랑크톤 연구. Ocean and Polar Res 27:397-417 

  5. 박종규, 심재형, 이준백 (1998) 한국 동해 남해역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장기간 변동과 의미. Algae 13:123-133 

  6. 박주석, 이삼근 (1990) 한국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괴특성. 한국수산학지 23:208-214 

  7. 백승호, 시모데 신지, 한명수, 키쿠치 토모히코 (2008) 춘계와 하계의 영양염 농도와 그 구성비가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구조에 미치는 영향평가. Algae 23:277-288 

  8. 신재기, 김동섭, 조경제 (2000) 시화호에서 무기영양염과 식물플랑크톤의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3:109-118 

  9.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198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9:172-186 

  10. 양영진, 김상현, 노홍길 (1998) 한국남, 서해 및 동중국해 북부해역에 출현하는 수온전선. 한국수산학회지 31:695-706 

  11. 유광일, 이종화 (1976) 마산만의 환경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년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11:34-38 

  12. 윤양호 (1993) 제주연근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과 기초 생산. 제주대학교. 해양연구보고 17:33-56 

  13. 윤양호, 김동근 (2003) 득량만 남서해역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 공간적 분포특성. 환경생물학회지 21:8-17 

  14. 윤양호, 박종식, 서호영, 황두진 (2003) 동중국해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공간분포와 와편모조류 적조. 환경생물학회지 21:132-141 

  15. 이준백, 고유봉, 좌종헌 (1990) 제주도 해안선 주변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와 동태. 한국조류학회지 5:159-171 

  16. 임월애, 강창근, 김숙양, 이삼근, 김학균, 정익교 (2003) 여름철 남해도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단기 변화. Algae 18:49-58 

  17. 정승원, 권오윤, 이진환 (2008) 2000-2007년 통영바다목장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및 생체량에 따른 우점종의 변동 및 관계. Algae 23:53-61 

  18. 조규대, 최용규 (1988) 대마난류 수형의 계절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1:297-306 

  19. 진평, 공성윤 (1985) 대한해협의 식물플랑크톤의 기초생산력. 한국수산학회지 18:74-83 

  20. 추효상, 김동수 (1998) 한국 남해의 대마난류 변동이 멸치 난, 자어의 연안역 수송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학회지 31:226-244 

  21. Baek SH, Shimode S, Han MS, Kikuchi T (2008a) Population development of the dinoflagellates Ceratium furca and Ceratium fusus in Iwa Harbor, Sagami Bay, 

  22. Baek SH, Shimode S, Han MS, Kikuchi T (2008b) Growth of dinoflagellates, Certium furca and Ceratium fusus in Sagami Bay, Japan: the role of nutrients. Harmful Algae 7:729-739 

  23. Baek SH, Shimode S, Kim HC, Han MS, Kikuchi T (2009) Strong bottom-up effects on phytoplankton community caused by a rainfall during spring and summer in Sagami Bay, Japan. J Mar Syst 75:253-264 

  24. Clarke KR, Warwick RM (2001) Change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2nd ed. PRIMER-E, Plymouth, pp 179 

  25. Cushing DH (1989) A difference in structure between ecosystems in strongly stratified waters and in those that are only weakly stratified. J Plankton Res 11:1-13 

  26. Furuya K, Hayashi M, Yabushita Y, Ishikawa A (2003)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East China Sea in spring and summer as revealed by HPLC-derived pigment signatures. Deep-Sea Res II 50:367-387 

  27. Han MS, Furuya K, Nemoto T (1989) Phytoplankton distribution in frontal region of Tokyo Bay, in November 1985. J Oceanogr Soc Japan 45:301-309 

  28. Han MS, Furuya K, Nemoto T (1992) Species-specific productivity of Skeletonema costatum in the inner part of Tokyo Bay. Mar Ecol Prog Ser 79:267-273 

  29. Han MS, Kim OK, Jeon JK (1994) Changes in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two different hydrological condition of semi-enclosed Chinhae Bay Korea. Bull Plankton Soc Japan 41:43-55 

  30. Hill DRA (1991) A revised circumscription of Crytomonas (Crytophyceae) based on examination of Australian strains. Phycologia 30:170-188 

  31. Johnson PW Sieburth JM (1979) Chroococcoid cyanobacteria in the sea: A ubiquitous and diverse phototrophic biomass. Limnol Oceanogr 24:928-935 

  32. Joint IR, Owens NJP, Pomroy AJ (1986) Seasonal production of phytosynthetic picoplankton and nanoplankton in the Celtic Sea. Mar Ecol Prog Ser 28:251-258 

  33. Kang YJ, Ko TH, Lee JA, Lee JB, Chung IK (1999) The community dynamices of phytoplankton and distribution of dinoflgellate cysts in Tongyoung Bay, Korea. Algae 14:43-54 

  34. Kang YS, Kim HG, Lim WA, Lee CK, Lee SG, Kim SY (2002) An unusual environment and Cochlodinium polykrikodes blooms in 1995 in the Seouth Sea of Korea. J Oceanogr Soc Korea 37:212-223 

  35. Parsons TR, Maita Y, Lalli CM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pp 173 

  36. Riley GA (1942) The relationship of vertical turbulence and spring diatom flowering. J Mar Res 5:67-87 

  37. Seung YH (1992) Water masses and circulations around Korean peninsula. J Oceanogr Soc Korea 27:324-331 

  38. Shim JH, Park YC (1984) Community structure and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in early summer. J Oceanol Soc Korea 19:68-81 

  39. Shon DH, Shin KS, Jang PG, Kim YO, Chang M, Kim WS (2008) Effect of thermal stratification and mixing on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western 

  40. Smayda TJ (1997) Harmful algal blooms: their ecophysiology and general relevance to phytoplankton blooms in the sea. Limnol Oceanog 42:1137-1153 

  41. Smayda TJ, Reynolds CS (2001) Community assembly in marine phytoplankton: application of recent models to harmful dinoflagellate blooms. J Plankton Res 23:447-461 

  42. Turner JT (1984) Zooplankton feeding ecology: contents of fecal pellets of the copepods Eucalanus pilaetus and Paracalanus quasimodo from continental shelf waters of the Gulf of Mexico. Mar Ecol Prog Ser 15:27-46 

  43. Weng HX, Qin YC, Sun XW, Dong HL, Chen XH (2007) Iron and phosphorus effects on the growth of Cryptomonas sp.(Crytophyceae) and their availability in 

  44. Welschmeyer NA, Lohrenzen CJ (1985) Chlorophyll budgets: zooplankton grazing and phytoplankton growth in a temperate fjord and the Central Pacific Gyre. Limnol Oceanogr 30:1-21 

  45. Yang HS, Kim SS (1990) 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peninsula. Bull. Korea Fish Soc 23:417-4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