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기 효소분해물 열수추출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Water Extracts from Enzyme Hydrolysate of Astragalus membranaceu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3, 2010년, pp.406 - 413  

권상철 ((주)참선진종합식품) ,  최구희 (충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종현 (충주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경행 (충주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기 추출액의 수율 및 생리적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황기에 효소를 첨가하여 시간별로 가수분해 시킨 후 가열처리하고 여과시킨 추출액에 대하여 이화학적,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평가를 측정하였다. 효소처리 황기 추출액의 $^{\circ}Brix$의 변화는 대조군보다 ClariSEB 및 Fungamyl 처리 시 증가하였으며 pH 및 산도는 효소처리에 의하여 약간 낮은 pH와 높은 산도를 보였다. 색상변화에서는 ClariSEB 및 Fungamyl 처리 시 lightness가 증가하였으며 redness와 yellowness는 감소하였다. 환원당, flavonoidpolyphenol 화합물 함량은 효소처리에 의하여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ascorbic acid는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황기 추출액의 지질과 산화 억제능은 효소처리 시 억제능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DPPH 항산화 활성, ABTS 항산화 활성 및 금속이 온 제거능에서는 ClariSEB 및 Fungamyl 처리 시 증가하였으나 환원력은 대조군과 유사하였다. 또한 황기 추출액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으로 효소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효소처리 시 기호도 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nhance the yield and bioactivity of hot-water extract from herbal medicine, Astragalus membranaceus was hydrolyzed with carbohydrases, such as ClariSEB and Fungamyl. After hot-water extracts were prepared from each hydrolysate (HW-C/F), physicochemical property,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황기를 식품소재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로 황기를 첨가한 청국장(12) 또는 황기가루를 첨가하여 식빵을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5) 정도로 황기를 이용하여 식품소재 및 가공하기 위한 연구는 미미한 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GAP(Good Agricultural Practice) 기준에 맞게 재배된 제천산 황기를 이용하여 황기가 지니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을 함유한 음료 개발 및 추출물의 수율 향상을 위한 기초 연구로써 황기 추출 시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효소를 처리한 효소분해물로부터 열수추출액을 조제하여 이화학적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황기를 식품소재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된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국민들의 소득수준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섭취하는 식품의 기능이 영양적 및 기호적 기능뿐만 아니라 노화방지, 만성질환 및 성인병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생리적 기능성을 가진 식품을 선호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학계 및 산업계에서는 기능성식품 및 기능성식품 소재 가공기술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1-3).
황기란? 황기(Astragali Radix;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의 초본식물로 2~5년생의 뿌리를 캐서 겉껍질을 벗기고 건조하여 약용으로 사용되는 식물 (4,5)로 주로 한국, 중국 등 아시아지역뿐만 아니라 러시아, 불가리아 등 유럽까지 분포하여 다양한 용도의 민간 치료용 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6). 황기는 주로 식품보다는 한방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데 지산, 이뇨, 강장, 혈압강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약리실험에서도 이뇨작용, 강장작용, 혈압강하작용, 혈당강하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종양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등(7)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이 확인되고 있으며 황기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로는 isoflavone 배당체중의 하나인 formononetin과 triterpenoide glycoside 및 β-sitosterol, stimast-4-en-6β-ol-3-one 등의 물질(8-10)과 saponin류로서 astragaloside류 및 당이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다(11).
황기는 어떤 효능이 있는가? 황기(Astragali Radix;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의 초본식물로 2~5년생의 뿌리를 캐서 겉껍질을 벗기고 건조하여 약용으로 사용되는 식물 (4,5)로 주로 한국, 중국 등 아시아지역뿐만 아니라 러시아, 불가리아 등 유럽까지 분포하여 다양한 용도의 민간 치료용 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6). 황기는 주로 식품보다는 한방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데 지산, 이뇨, 강장, 혈압강하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며 약리실험에서도 이뇨작용, 강장작용, 혈압강하작용, 혈당강하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종양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등(7)의 다양한 생리적 기능성이 확인되고 있으며 황기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로는 isoflavone 배당체중의 하나인 formononetin과 triterpenoide glycoside 및 β-sitosterol, stimast-4-en-6β-ol-3-one 등의 물질(8-10)과 saponin류로서 astragaloside류 및 당이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won YS, Jeon IS, Hwang JH, Lim DM, Kang YS, Chung 

  2. Miquel J, Quintaniha AT, Weber II. 1989. Handbook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CRC Press, Boca Raton, USA. Vol 1, p 223. 

  3. Kwon SC, Jo C, Lee KH. 2009. Gamma irradiation for sanitation of vegetable fresh juice containing non-thermal 

  4. Kim JS, Kim CS. 1997. A study on the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II). Kor J 

  5. Min SH, Lee BR. 2008.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on yeast bread baking quality. Korean J Food 

  6. Yin Y, Heo SI, Jung MJ, Wang MH. 2009.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ffects of various sections of Astragalus 

  7. 대한한의과대학 교재편찬위원회. 2005. 본초학. 연림사, 서울. 

  8. Cui B, Jnoue J, Takeshita T, Kinjo J, Nohara T. 1992. Triterpene glycoside from the seeds of Astrgalus sinicus L. Chem Pharm Bull 40: 3330-3333. 

  9. Kitagawa I, Wang HK, Saito M, Takagi A, Yoshikawa H. 1983. Astrgalosides I, II and IV, acetyastragaloside I and isoastragalosides I and II. Chem Pharm Bull 31: 698-708. 

  10. Ionkova I, Alfermann W. 1990. Transformation of Astragalus species by Agrobactrium rhizogenes and their saponin production. Planta Med 56: 634-635. 

  11. Guo JK. 1996. International collation of traditional and folk medicine. Kumura T, ed. World Scientific Publisher, Singapore. p 1-16. 

  12. Choi HS, Joo SJ, Yoon HS, Kim KS, Song IG, Min KB. 2007. Quality characteristic of Hwangki (Astragalus membranaceus) Chungkuk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4: 356-363. 

  13.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4. Park YK, Kim SH, Choi SH, Han JG, Chung HG. 2008. 

  15. Moreno MN, Isla MIN,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16.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 Washington, DC, USA. 

  17. Kikuzak H, Nakatani N. 1993. Antioxidant effect of some ginger constituents. J Food Sci 58: 1407-1410. 

  18. Blois MS. 1958. Antioxidant activity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 Robert R, Nicoletta P, Anna P, Ananth P, Min Y, Catherine RE.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0. 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21. Yena GC, Duhb PD, Tsaia L.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Food Chem 79: 307-313. 

  22. Park NY, Jeong YJ. 2006. Quality properties of oak mushroom (Lentinus edodes) based on extraction conditions and enzyme treat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73-1279. 

  23. Kim MJ, Lim KR, Jung TK, Yoon KS. 2007. Anti-aging effe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J Soc Cosmet Korea 33: 33-40. 

  24. Kim YC, Cho CW, Rhee YK, Yoo KM, Rho JH.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ginseng extracts prepared by enzyme and heat treat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