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투약간호 중심의 환자안전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Patient Safety Program and Safety Culture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6 no.4, 2010년, pp.455 - 465  

김영미 (서울대학교병원 간호과) ,  김세영 (을지대학교 간호대학) ,  김민영 (제주지역 암센터) ,  김주희 (서울대학교병원) ,  이숙경 (서울대학교병원) ,  장미경 (서울대학교병원 QA전담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Patient Safety Program on the safety culture of nursing department. Methods: Patient Safety Program focused on medication safety was launched by QI team and patient safety committee. Patient Safety Program was composed of the establishment of improved report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직까지 국내에서 환자안전을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성과를 측정한 연구가 미비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간호조직 전체가 참여한 장기간의 환자 안전 프로그램의 성과로서 간호조직의 안전문화 인식도 향상을 평가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환자안전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과 구체적인 활동 내용을 상세하게 소개함으로써 향후 간호조직의 환자안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일반적으로 조직문화는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생각, 행동방식, 신념체계로서, 구성원들에게 의사결정의 기준을 제공하고 구성원들을 동기부여 하도록 기능하며, 조직문화는 학습되고 항상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병원의 조직원 전체가 환자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노력하도록 유도하는 안전문화의 향상이 궁극적으로 환자안전의 증진에 영향을 준다는 환자안전 전문가들의 견해(Kohn et al., 1999)를 바탕으로 간호조직원 전체가 참여하는 환자안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환자안전 프로그램의 성과로서 간호조직의 안전문화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대학병원의 간호조직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환자안전 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고, 환자안전 프로그램이 간호조직의 안전문화 증진에 기여함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아직까지 국내에서 환자안전을 증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성과를 측정한 연구가 미비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초로 간호조직 전체가 참여한 장기간의 환자 안전 프로그램의 성과로서 간호조직의 안전문화 인식도 향상을 평가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환자안전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과 구체적인 활동 내용을 상세하게 소개함으로써 향후 간호조직의 환자안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조직에서 환자안전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투약간호 업무를 개선하고 투약오류를 예방하는 활동을 위한 환자안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아직까지 간호조직 차원의 환자안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그 성과를 평가한 연구는 없었다. 특히 투약오류는 외국에서 적신호 사건 중 가장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국내에서도 간호사들에게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간호조직에서 환자안전을 증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투약간호 업무를 개선하고 투약오류를 예방하는 활동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투약간호 업무를 중심으로 한 환자안전 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고, 그 성과를 평가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사들이 생각하는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인가? 국내에서 병원의 환자안전 사고 중 부적절한 간호활동으로 인한 사고가 전체의 50%를 차지하였으며, 사고의 내용은 주로 낙상, 투약사고, 감염, 장비나 시설물관련 사고 등으로 나타났다(Park, 2008). 특히 간호사들이 생각하는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투약오류(69.5%)였으며, 투약오류의 원인은 간호사의 부주의, 실수, 지식과 경험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Ahn, 2006).
간호사들의 저지르는 투약오류의 원인은 무엇인가? 특히 간호사들이 생각하는 환자안전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투약오류(69.5%)였으며, 투약오류의 원인은 간호사의 부주의, 실수, 지식과 경험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Ahn, 2006). 투약간호업무는 간호업무에서 3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며 (Pepper, 1995), 환자에게 투여되는 대부분의 약이 간호사에 의해 직접 투여되기 때문에(Curtin, 1997), 법적인 측면에서도 투약오류를 예방하는 것은 간호사의 환자안전 증진활동에서 가장 우선시되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bbott, P. A. (2003). Research in patient safety/error reduction: A nursing perspective. Session presented at post-conference for 8th International Congress in Nursing Informatics, Rio De Janeiro, Brazil. 

  2. Ahn, S. H. (2006).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J Korean Acad Nurs Admin, 12(3), 373-384. 

  3. AHRQ. (2004). Patient safety network. glossary. Retrieved November 30, from http://www.psnet.ahrq.gov/glossary.aspx 

  4. Choi, J. H., Lee, K. M., & Lee, M. A. (2010).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J Korean Acad Fundam Nurs, 17(1), 64-72. 

  5. Curtin, L. L. (1997). When negligence becomes homicide. Nurs Manage, 28(7), 7-8. 

  6. Duncombe, D. (2006, September). DFCI patient safety journey. Paper presented at the Lecture for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tudy Group by the Institute for Nursing Healthcare Leadership, Boston, MA. 

  7. Edgar, T. A., Lee, K. S., & Cousins, D. D. (1994). Experience with a national medication error reporting program. Am J Hosp Pharm, 51(10), 1335-1338. 

  8. Joint Commission Resources. (2005). Root cause analysis in health care: Tools and techniques (3rd ed.), Oakbrook Terrace, IL: Author. 

  9. Jeong, J., Seo, Y. J., & Nam, E. W. (2006).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nursing divisions of two university hospitals. Korean J Hosp Manag, 11(1), 91-109. 

  10. Kizer, K. W. (1999). Large system changer and a culture of safety. In: Enhancing Patient Safety and Reducing Errors in Health Care. Chicago. National Patient Safety Foundation. 

  11. Kim, E. K., Kang, M., & Kim, H. J. (2007). Experience and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of employees in hospitals. J Korean Acad Nurs Admin, 13(3), 321-334. 

  12. Kim, J. E., Kang, M. A., An, K. E., & Sung, Y. H. (2007).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Clin Nurs Res, 13(3), 169-179. 

  13. Kim, Y. L. (2009).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4. Kohn, L. T., Corrigan, J. M., & Donaldson, M. S. (Eds.). (1999).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5. Leape, L. L., Brennan, T. A., Laird, N. Lawthers A. G., Localio A. R., Barnes B. A., Hebert L., Newhouse J. P., Weiler P. C., & Hiatt H. (1991). The nature of adverse events in hospitalized patient. N Engl J Med, 324(6), 377-384. 

  16. Noh, Y. N. (2008). Analysis of perception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ospital workfor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Page, A. E. K. (2004). Keeping patients safe: Transforming the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stitute of Medicine, Washington, D. 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8. Park, S. J. (2008).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9. Patient safety and Quality Improvement Act (2005). Retrieved June 10, 2009, from http://www.ahrq.gov/qual/psoact.htm 

  20. Pepper, G. (1995). Errors in drug administration by nurses. Am J Health Syst Pharm, 52(4), 390-395. 

  21. Pronovost, P. J., Weast, B., Holzmuller, C. G., Rosestein, B. J., Kidwell, R. P., Haller, K. B., Feroli, E. R., Sexton, J. B., & Rubin, H. R. (2003). Evaluation of the culture of safety: survey of clinicians and managers in an academic medical center. Qual Saf Health Care, 12(6), 405-410. 

  22. Secatore, J. (2006, September). Safety and quality: The big picture. Paper presented at the Lecture for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Study Group by the Institute for Nursing Healthcare Leadership, Boston, MA. 

  23. Spath, P. L. (2000). Patient safety improvement guidebook. Forest Grove, OR: Brown-Spath & Associates. Retrieved November 11, 2001, from http://www.brownspath.com/catalog.htm 

  24. Weingart, S. N., Farbstein K., Davis, R. B., & Phillips R. S. (2004). Using a Multihospital Survey to Examine the Safety Culture. Jt Comm J Qual Saf, 30(3), 125-132. 

  25. Weingart, S. N., & Page, D. (2004). Implications for practice: challenges for healthcare leaders in fostering patient safety. Qual Saf Health Care, 13(Suppl II): ii52-ii56. 

  26. Woolever, D. R. (2005). The impact of a patient safety program on medical error reporting. Henriksen K, Battles JB, Marks ES, et al., editors. Advances in Patient Safety: From Research to Implementation (Volume 1: Research Findings) (pp, 307-316). Rockville (MD):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U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