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투약오류예방 시스템 구축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행위계획
Development of a Medication Error Prevention System and Its Influence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Initiative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7 no.1, 2015년, pp.1 - 10  

김명수 (부경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희 (부산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atient safety culture (PSC) and patient safety initiatives (PSI) according to IT-based medication errors prevention system which is constructed in this study,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ystem construction, perception to the usage, P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병원의 병상 수로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한 이유는 병상 수에 따라 적정관리실 소속의 간호사의 수가 달라지고, 수행되는 질관리프로그램이 많을 것으로 여겨져 병상 수에 따른 연구결과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 여겨졌기 때문이다. 또한, 한 의료기관에 설문지를 배부할 때에는 15부에서 20부를 배부하여 최소한 세 부서 이상이 포함될 수 있도록 하여 같은 병원 내에서도 있을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이들을 다양하게 포함시키고자 하였다. 대상자에게는 설문 진행시에 연구의 내용과 목적, 연구자료분석의 익명성, 사생활 보장 및 연구참여 중도포기 가능성 등을 설명하여 연구참여에 대한 서면동의를 받았으며, 자료수집은 2011년 7월 20일부터 8월 10일까지 이루어졌다.
  • 본 연구는 전산화를 활용한 투약오류예방 시스템 구축에 따라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을 위한 행위계획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구축되지 않은 기관에는 시스템의 구축을 장려하고 구축된 기관에는 원활한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연구이다. 우선 대상자들의 직무 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행위계획의 차이를 파악한 결과, 500~700병상 미만의 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은 500병상 미만 혹은 700~1,000병상 미만의 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에 비해 환자안전문화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 본 연구는 투약오류예방 시스템 구축과 시스템 구축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 및 활용인식을 파악하고, 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행위계획의 차이를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전자 약전과 환자안전보고 시스템은 83.
  • 본 연구는 투약오류예방 시스템 구축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정도와 활용인식을 파악하고, 시스템의 구축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행위계획의 차이를 파악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하지만 환자안전과 긴밀한 관계가 있는 투약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주로 투약오류예방 시스템의 개별평가, 구축실태와 활용 인식에 관한 것이[3] 대부분으로 투약오류예방 시스템 구축이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행위계획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투약오류예방 시스템의 구축실태를 알아보고 투약오류예방 시스템의 구축과 병원조직의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행위계획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시스템 구축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은 각 시스템 별로 ‘귀하의 병원에는 네 가지 시스템(전자약전, 환자안전보고시스템, 약물계산 시스템, 바코드 시스템)이 구축되어 활용되고 있습니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안전행위계획이란 무엇인가? ‘환자안전행위계획’이란 환자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해 의료인들이 행하는 안전을 위한 수칙 혹은 계획된 행위를 말하며[14], 투약오류예방을 위한 행위계획의 예로 투약조정행위가 있는데 이는 처방과 투약력을 비교하여 투약적용 시 환자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계획된 투약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이다. 소아병원에서 지속적인 환자안전행위계획으로 인해 투약으로 인한 위험발생이 감소하였고[14], 투약오류 감소의 결정적 요인은 전산화된 시스템이나 단일 오류예방행위가 아닌 조직전반의 안전을 위한 계획행위라는 결론을 도출하기도 하여[15] 안전행위를 위한 계획 혹은 행위도 같은 맥락에서 환자안전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요소로 알려져 왔다.
시스템의 구축만으로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행위계획에서 차이가 났다는 사실의 해석은 어떠한가? 시스템의 구축만으로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행위계획에서 차이가 났다는 것은 해석에 있어 주의를 요한다. 환자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조직풍토는 구성원들의 안전을 위한 행위를 증진시켜 오류감소를 직, 간접적으로 유도하며[21], 환자안전조직풍토는 환자안전문화의 일부로 조직문화보다는 훨씬 가변적이어서 그 양상의 변화관찰이 용이하지만 환자안전문화는 변하기 힘든 변수이므로 시스템 구축이 환자안전문화의 긍정적 변화를 유도하였다 보기에는 약간의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다만, 각 시스템을 구축하였을 경우 이들의 활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떠한 전략이나 행위를 기획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약간호 시 부적절한 약물용량을 선택했거나 약물에 대한 불충분한 지식을 가진 간호사의 경우 투약오류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므로[27]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약물계산 시스템을 구축하고 약물계산오류를 예방하기 위해서 약물의 지식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거나[28] 간호사의 투약계산능력을 검증하여 일정수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환자안전행위계획이 될 수 있겠다.
전산화된 환자안전보고 시스템의 장점은 무엇인가? 즉, 책으로 발간하는 대신 인터넷 상에 전자문서 형식으로 작성하여 질병과 관련된 각종 약품 등에 대해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어 투약과정에서의 오류가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전산화된 환자안전보고 시스템은 임상에서 발생한 의료 오류에 대해 보고하게 하여 차후의 오류발생을 감소시키도록 해주는 공식적인 보고체계로 웹을 이용한 보고를 통해 발생한 환자안전문제에 즉각적으로 개입할 수 있으며, 조직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사용하기 간편하다는 장점으로[6] 인해 환자안전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국외 보고에 의하면 투약오류 중 정확한 용량과 관련된 오류가 21%를 차지했고[7], 응급실에서는 잘못된 주입속도(infusion rates)와과용량으로 잘못 투약한 경우가 각각 3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EK, Lee SY, Eom MR. DICS Behavior pattern and medication errors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1):28-38. 

  2. Ahn SH.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6;12(3):373-84. 

  3. Kim MS. Medication error management climate and perception for system use according to construction of medication error prevention syste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4):568-78. 

  4. Oh CA, Yoon HS.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medication errors in nurses with tess than one year job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7;14(1):6-17. 

  5. Ehsani SR, Cheraghi MA, Nejati A, Salari A, Esmaeilpoor AH, Nejad EM. Medication errors of nurse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ournal of Medical Ethics and History of Medicine. [electronic resource]. 2013;6:11. 

  6. Keistinen T, Kinnunen M. Increased patient safety with an Internet-based reporting system. World Hospitals and Health Services: The official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Hospital Federation. 2008;44(2):37-9. 

  7. Pierson S, Hansen R, Greene S, Williams C, Akers R, Jonsson M, et al. Preventing medication errors in long-term care: Results and evaluation of a large scale web-based error reporting system.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7;16(4): 297-302. http://dx.doi.org/10.1136/qshc.2007.022483 

  8. Jones SW. Reduc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errors in nursing practice. Nursing Standard. 2009;23(50):40-6. 

  9. Dimberg I, Grzymala-Lubanski B, Hagerfelth A, Rosenqvist M, Svensson P, Sjalander A. Computerized assistance for war farin dosage-effects on treatment quality. Europ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12;23(8):742-4. http://dx.doi.org/10.1016/j.ejim.2012.07.011 

  10. DeYoung JL, Vanderkooi ME, Barletta JF. Effect of bar-codeassisted medication administration on medication error rates in an adult medical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2009;66(12):1110-5. http://dx.doi.org/10.2146/ajhp080355 

  11. Poon EG, Keohane CA, Yoon CS, Ditmore M, Bane A, Levtzion-Korach O, et al. Effect of bar-code technology on the safety of medication administration.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0;362(18):1698-707. http://dx.doi.org/10.1056/NEJMsa0907115 

  12. Lee YM. Safety accident occurrence to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1):117-24. 

  13. Reason J. Beyond the organizational accident: The need for "error wisdom" on the frontline.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4;13:28-33. http://dx.doi.org/10.1136/qshc.2003.009548 

  14. Leonard MS, Cimino M, Shaha S, McDougal S, Pilliod J, Brodsky L. Risk reduction for adverse drug events through sequential implementation of patient safety initiatives in a children's hospital. Pediatrics. 2006;118(4):e1124-9. 

  15. Anderson JG, Ramanujam R, Hensel D, Anderson MM, Sirio CA. The need for organizational change in patient safety initia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2006;75(12):809-17. http://dx.doi.org/10.1016/j.ijmedinf.2006.05.043 

  16. Kim YM, Kim SY, Kim MY, Kim JH, Lee SK, Jang MK. Patient safety program and safety cultu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0;16(4): 455-65. 

  17. Nam MH, Lim JH.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nurse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2013;11(1):349-59. 

  18. Tabachnick BG, Fidell LS.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Boston: Needham heights; 2001. p117. 

  19. Sexton JB, Thomas EJ, Helmreich RL. Error, stress and teamwork in medicine and aviation: Cross-sectional surveys. British Medical Journal. 2000;320(7237):745-9. 

  20. McFadden KL, Henagan SC, Gowen CR. The patient safety cha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effect on patient safety culture, initiatives, and outcomes.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2009;27:390-404. http://dx.doi.org/10.1016/j.jom.2009.01.001 

  21. Stock GN, McFadden KL, Gowen CR. Organizational culture,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the reduction of hospital error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2007;106:368-92. http://dx.doi.org/10.1016/j.ijpe.2006.07.005 

  22. Raftopoulos V, Pavlakis A. Safety climate in 5 intensive care units: a nationwide hospital survey using the Greek-Cypriot version of the safety attitudes questionnaire. Journal of Critical Care. 2013;28(1):51-61. http://dx.doi.org/10.1016/j.jcrc.2012.04.013 

  23. Seo JW. U-Health, the blue ocean of medicine & healthcare. Paper presented at: Induction of safety and convenient electric chart. In B. C. Jang (Chair); 2008 May; Seoul. 

  24. Tsai SL, Sun YC, Taur FM. Comparing the working time between bar-code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and traditional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An observa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2010;79 (10):681-9. http://dx.doi.org/10.1016/j.ijmedinf.2010.07.002 

  25. Mekhjian HS, Bentley TD, Ahmand A, Marsh G. Development of a web based event reporting system in an academic environmen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2004;11(1):11-8. http://dx.doi.org/10.1197/jamia.M1349 

  26. Kim MS, Kim JS, Jung IS, Kim YH, Kim HJ. The effectiveness of error reporting promoting program on the nursing error incidence rate in Korean operating roo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2):185-91. 

  27. Winterstein AG, Johns TE, Rosenberg EI, Hatton RC, Gonzalez-Rothi R, Kanjanarat P. Nature and causes of clinically significant medication errors in a tertiary care hospital. American Journal of Health-System Pharmacy. 2004;61(18):1908-16. 

  28. Lu MC, Yu S, Chen IJ, Wang KW, Wu HF, Tang FI. Nurses' knowledge of high-alert medication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urse Education Today. 2013;33(1):24-30. http://dx.doi.org/10.1016/j.nedt.2011.11.018 

  29. Muething SE, Goudie A, Schoettker PJ, Donnelly LF, Goodfriend MA, Bracke TM, et al. Quality improvement initiative to reduce serious safety events and improve patient safety culture. Pediatrics. 2012;130(2):e423-31. http://dx.doi.org/10.1542/peds.2011-3566. 

  30. Nakajima K, Kurata Y, Takeda H. A web-based incident reporting system and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ve projects for patient safety in a Japanese hospital.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2005;14(2):123-9. http://dx.doi.org/10.1136/qshc.2003.0086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