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가만족척도(LSS-short form)의 타당도 검증과 적용
Cross-cultural Validation Test and Application of LSS-short For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11, 2010년, pp.435 - 445  

김미량 (서울대학교) ,  이연주 (한림대학교) ,  황선환 (서울시립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Beard와 Ragheb[9]에 의해 개발되고 국내에서는 이종길[7]이 사용한 여가만족척도의 번안적절성에 그에 따른 타당도를 검증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먼저 여가만족척도의 문항과 각 요인의 조작적 정의를 번안 및 역번안을 수행하고 여가학 전문가들이 내용을 검토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설문조사하여 총 515명(대학생 290명, 일반인 225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과 AMOS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여가만족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에 국내에서 사용되던 여가만족척도의 요인의 명칭(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신체적, 심미적, 긴장이완)과 문항을 수정하고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자료분석 결과 6개요인, 24개 문항으로 구성된 여가만족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만족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심리적요인과 긴장이완요인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재 번역되고 타당도가 검증된 여가만족 척도는 향후 국내연구에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Leisure Satisfaction Scale(LSS) and confirm the relations between the L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LSS developed by Beard and Ragheb[9] has been used for about 20 years without the examination of the validity since it was ut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제까지 번안의 적절성과 그에 따른 타당도 검증을 하지 않고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여가만족척도의 타당도를 확보하고 적용성을 검토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여가만족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여가만족척도는 Beard와 Ragheb[9]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된 이후 국내에서는 이종길[7]의 연구를 시작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번안된 여가만족척도의 타당성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학생 300명과 일반인 300명을 유의표집(purposive sampling)하였는데 표집 된 600명 중 설문의 응답이 50%이상 누락되거나 역문항의 답변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등의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515명이었다.
  • 그 후에도 박래영과 김백윤[30]은 댄스스포츠 참여 노인여성의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여가만족척도의 적용을 위하여 삶의 질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가만족이란 무엇인가? 여가만족은 여가활동의 선택과 참가의 결과로 개인이 형성하거나 획득하는 긍정적인 인식 또는 감정을 의미한다[9]. 즉 일반적인 여가경험이나 상황에 대하여 현재 즐거워하거나 만족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이러한 여가의 만족스러운 감정은 개인의 의식적, 무의식적 욕구가 충족됨으로써 발생한다.
여가만족의 계량적인 측정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여가만족의 계량적인 측정이 중요한 이유는 여가만족에 관한 이론 및 지식이 이에 기여하는 활동과 행동 및 서비스를 밝혀줌으로써 궁극적으로 인간으로 하여금 만족을 성취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나아가 연구의 측면에서는 여가만족과 기타 관련 변인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삶의 전체적인 체계에 적응하는 과학적인 방법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여가만족척도의 번안적절성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 것은 무엇인가? 타당도 검증을 위해 설문조사하여 총 515명(대학생 290명, 일반인 225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과 AMOS 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여 여가만족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기존에 국내에서 사용되던 여가만족척도의 요인의 명칭(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신체적, 심미적, 긴장이완)과 문항을 수정하고 조작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주)데이터솔루션, 2002. 

  2. 김병준, “체육학 연구에서 질문지 번역과 타당도제고를 위한 절차”,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3-26, 2003. 

  3. 김영재, “한국형 여가만족척도 개발과 타당화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제43권, 제1호, pp.291-299, 2004. 

  4. 김영재, “한국형 여가만족척도의 다집단(Multi-Group)분석과 잠재평균”, 한국체육학회지, 제48권, 제5호, pp.55-264, 2009. 

  5. 엄한주, 스포츠 심리학 연구법, 보경문화사, 1995. 

  6. 오수학, 김병준, “심리측정도구의 타당도에 관한 새로운 개념과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3권, 제3호, pp.111-126, 2002. 

  7. 이종길,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2. 

  8. 정덕조, 권용일, 이연주, “청소년의 여가활동 참가가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2권, 제4호, pp.145-154, 2008. 

  9. J. G. Beard and M. G. Ragheb, "Measuring leisure satisfac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2, pp.20-33, 1980. 

  10. K. A. Bollen, "Sample Size and Bentler and Bonett's Nonnormed Fit Index," Psychometrika, Vol.51, pp.375-387, 1986. 

  11. K. A. Bollen,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Wiley Series in Probability and Mathematical Statistics, Wiley, 1989. 

  12. C. Brightbill, Man and leisure: a philosophy of recreation, Prentice-Hall, 1961. 

  13. C. A. Bucher, Foundations of physical education, Mosby Co., 1972. 

  14. J. Dumazedier, Sociology of leisure, Elsevier, 1974. 

  15. R. B. Kline, Principle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Guilford Press, 2005. 

  16. R. Kraus, Recreation and leisure in modern society, Appleton-Century-Crofts, 1971. 

  17. A. Maslow, Toward a psychology of being, D. Van Nostrand, 1962. 

  18. J. Neulinger, The psychology of leisure:research approaches to the study of leisure, Charles C. Thomas, 1975. 

  19. I. H. Park, Issues and concurrent solutions in SEM(CFA),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f North American Society for Sport Management, Regin: Canada, 2005. 

  20. G. Patrick, The Psychology of relaxation, Houghton-Mifflin, 1916. 

  21. A. Rutledge, Anatomy of a park: the essentials of recreation are planning and design, McGraw-Hill Book Company, 1971. 

  22. R. E. Schumacker and R. G. Lomax, A beginner's guide to structural equationmodeling, LEA, 1996. 

  23. B. G. Tabachnick and L. S. Fidell,Using Multivariate Analysis, Harper & Row, 2001. 

  24. W. Walshe, Leisure with personality, Epperson et al., Using Multivariate Analysis, Harper & Row, 1977. 

  25. R. H. Myers, Classical and modern regression with applications, PWS-Kent Publishing Company, 1990. 

  26. E. Diener, R. A. Emmos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pp.71-76, 1985. 

  27. 구재선, “성격, 효능감, 생활경험과 주관적 행복:토착 심리학적 접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28. M. K. Ragheb and C. A. Griffith, "The contribu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14, pp.295-306, 1982. 

  29. 임번장, 정영린,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34권, 제3호, pp.56-69, 1995. 

  30. 박래영, 김백윤, “노인여성의 댄스스포츠 참여동기, 여가만족 및 삶의 질과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23권, 제4호, pp.133-146,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