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붕독 처리가 어미소의 번식효율과 송아지의 증체, 질병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neybee (Apis mellifera L.) venom on the reproductive efficiency of dams and the growth performance, disease occurrence of Hanwoo calves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33 no.3, 2010년, pp.287 - 292  

한상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광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여주홍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오백영 (이천시 농업기술센터) ,  김순태 (경상북도 가축위생시험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ffects of bee venom (Apis mellifera L.) on the calving, reproductive efficiency of Hanwoo dams and the growth performance and disease occurrence of calves. Eighty seven experimental dams were allocated into two groups, bee venom treated (n=53, BV) and non-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는 민간에서 봉침요법으로 사용되어온 봉독을 분만 전 어미소의 교소혈에 주사한 후 후산과 번식효율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분만 소요 시간에 있어 봉독을 처리한 시험구에서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단축되었음이 확인되었다(P <0.
  • 이 연구는 국내에서 사양되는 서양종 꿀벌에 전기충격법을 적용하여 채취 분리정제한 봉독을 분만 전 한우에 처리한 후 어미소의 후산정체, 분만 및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과 송아지의 체중과 질병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 이 연구는 분만 전 봉독 투여가 어미소의 분만과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및 신생송아지의 체중과 질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 축은 경기도 이천지역 4곳의 한우 사육농장에서 사육 중인 한우 87두를 공시하여 무처리 대조구 34두, 분만 전 교소혈에 10mg의 봉독을 처리한 봉독 처 리구 53 두를 배치하여 2개의 시험구를 두었다.
  • 그러나 아무리 유전적으로 우수한 능력의 송아지라 하더 라도 자가면역 능력을 형성하기 이전에는 출생 후 초유 섭취를 통해 어미소로부터 받는 수동 면역항체의 획득 수준에 따라 송아지의 건강과 성장 변화는 달라질 수 있다(McGuirk와 Collins, 2004; Rauprich 등, 2000). 이 연구에서는 무처 리구와 봉독 처리 구 어미소로부터 출생한 신생송아지의 질병발생 현황을 관찰하였다. 포유기에 주로 발생하는 질병은 호흡기질병과 설사로서, 본 연구의 결과는 분만전에 어미 소에 봉독을 처리했을 경우 송아지의 질병 발생률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였다.
  • 한우 사육농가는 번식 효율을 높여 수익을 극대화 하려고 하는데 이는 한우가 가지고 있는 유전능력을 100%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 목표이다. 한우의 번식효율은 미경산우의 첫 분만 월령과 경산우의 분만간격 등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한우는 분만 후 건강한 경우 40일 이내에 자궁의 회복과 난소 기능의 정상 복귀로 발정이 재귀한다고 알려져 있다(권 등, 200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권응기, 박병기, 조영무, 한만희, 최창용, 이명식. 2007. 한우 송아지 이유시기가 증체, 사료섭취량, 질병발생 및 어미소의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9(2): 239-244. 

  2. 김문호. 1992. 봉독요법과 봉침요법. 한국교육기획. 서울: 67- 141. 

  3. 백광수, 박성재, 박수봉, 이왕식, 김현섭, 정경용, 기광석, 서국현, 전병순, 안병석, 김태일. 2006. 후산정체 젖소에 있어서 Lipopolysaccharide의 처리가 자궁 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정난이식학회지. 21(3): 233-239 

  4. 최석화, 조성구, 강성수, 최향순, 박석천. 1999a. 생봉(Apis mellifera)을 이용한 모돈의 무유증 치료효과. 한국양봉학회지 14(2):119-126. 

  5. 최석화, 조성구, 최향순, 강성수, 권영방. 1999b. 생봉독을 이용한 세균성 설사 자돈의 치료효과. 한국임상수의학회지 16(1):150-154. 

  6. 한상미, 이광길, 여주홍, 우순옥, 권해용. 2007. 봉독 간이정제법. 특허 제 10-0758814호 

  7. Abbadie C, Besson JM. 1994. Chronic treatments with aspirin or acetaminophen reduce both the development of polyarthritis and Fos-like immunoreactivity in rat lumbar spinal cord. Pain 57(1):45-54. 

  8. Azawi OI. 2008. Postpartum uterine infection in cattle. Anim Reprod Sci 105(3-4): 187-208. 

  9. Bajcsy AC, Szenci O, van der Weijden GC, Doornenbal A, Maassen F, Bartyik J, Taverne MA. 2006. The effect of a single oxytocin or carbetocin treatment on uterine contractility in early postpartum dairy cows. Theriogenology 65(2): 400-414. 

  10. Borruto F, Treisser A, Comparetto C. 2009. Utilization of carbetocin for prevention of postpartum hemorrhage after cesarean sectio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rch Gynecol Obstet 280(5): 707-712. 

  11. Crowe MA. 2008. Resumption of ovarian cyclicity in postpartum beef and dairy cows. Reprod Domest Anim 43(5): 20-28. 

  12. Curcio-Vonlanthen V, Schneider CH, Frutig K, Blaser K, Kalbacher H. 1997. Molecular parameters in melittin immunogenicity. J Pept Sci 3(4): 267-276. 

  13. Fennell JF, Shipman WH, Cole LJ. 1967. Antibacterial action of a bee venom fraction (melittin) against a pen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nd other microorganisms. USNRDL-TR-67-101. Res Dev Tech Rep 5:1-13. 

  14. Habermann E, Reiz KG. 1965. On the biochemistry of bee venom peptides, melittin and apamin. Biochem Z 343(2):192-203. 

  15. Han SM, Lee KG, Yeo JH, Hwang SJ, Chenoweth PJ, Pak SC. 2009a. Effects of bee venom treatment on growth performance of young pigs. Am J Chin Med 37(2): 833- 842. 

  16. Han SM, Lee KG, Yeo JH, Hwang SJ, Chenoweth PJ, Pak SC. 2009b. Somatic cell count in milk of bee venom treated dairy cows with mastitis. J ApiProduct ApiMed Sci 1(4): 104-109. 

  17. Hussain AM, Daniel RC, O'Boyle D. 1990. Postpartum uterine flora following normal and abnormal puerperium in cows. Theriogenology 34(2): 291-302. 

  18. McGuirk SM, Collins M. 2004. Managing the production, storage, and delivery of colostrum. Vet Clin North Am Food Anim Pract 20(3): 593-603. 

  19. Kwon YB, Yoon SY, Kim HW, Roh DH, Kang SY, Ryu YH, Choi SM, Han HJ, Lee HJ, Kim KW, Beitz AJ, Lee JH. 2006. Substantial role of locus coeruleus-noradrenergic activation and capsaicin-insensitive primary afferent fibers in bee venom's anti-inflammatory effect. Neurosci Res 55(2): 197-203. 

  20. Lin JH, Rogers PAM. 1980. Acupuncture effects on the body's defense systems: Veterinary Review. Vet Bull 50: 633-640. 

  21. Lin YC. 1987. Observation of therapeutic effects of acupuncture treatment in 170 cases of infantile diarrhea. J Tradit Chin Med 7(3): 203-204. 

  22. Moon DO, Park SY, Lee KJ, Heo MS, Kim KC, Kim MO, Lee JD, Choi YH, Kim GY. 2007. Bee venom and melittin reduce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lipopolysaccharide- stimulated BV2 microglia. Int Immunopharmacol 7(8): 1092-1101. 

  23. Okano A, Tomizuka T. 1987. Ultrasonic observation of postpartum uterine involution in the cow. Theriogenology 27(2): 369-376. 

  24. Rauprich AB, Hammon HM, Blum JW. 2000. Influence of feeding different amounts of first colostrum on metabolic, endocrine, and health status and on growth performance in neonatal calves. J Anim Sci 78(4): 896- 908. 

  25. Rudenko SV, Nipot EE. 1996. Modulation of melittin-induced hemolysis of erythrocytes. Biokhimiia 61(12): 2116- 2124. 

  26. Sheldon IM, Lewis GS, LeBlanc S, Gilbert RO. 2006. Defining postpartum uterine disease in cattle. Theriogenology 65(8): 1516-1530. 

  27. Shkenderov S. Gencheva G. 1976. Effect of bee venom components on immuno- competent cell proliferation at a primary humoral immune response. Dokl Bulg Acad Nauk 29: 1685-1687. 

  28. Vick JA, Shipman WH. 1972. Effects of whole bee venom and its fractions (apamin and melittin) on plasma cortisol levels in the dog. Toxicon 10(4):377-380. 

  29. Whittier WD, Kasimanickam RK, Currin JF, Schramm HH, Vlcek M. 2010. Effect of timing of second prostaglandin F (2 alpha) administration in a 5-day, progesterone- based CO-Synch protocol on AI pregnancy rates in beef cows. Theriogenology 74(6): 1002-1009. 

  30. Yoon SY, Roh DH, Kwon YB, Kim HW, Seo HS, Han HJ, Lee HJ, Beitz AJ, Lee JH. 2009. Acupoint stimulation with diluted bee venom (apipuncture) potentiates the analgesic effect of intrathecal clonidine in the rodent formalin test and in a neuropathic pain model. J Pain 10(3): 253-2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