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가 노인을 위한 집단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Cognitive Enhancement Group Training Program for Community-dwelling Elde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5, 2010년, pp.724 - 735  

한영란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  송미숙 (아주대학교 간호학과) ,  임지영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a cognitive enhancement group training program of 10 sessions was provided for communitydwelling elders and th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ere tested. Method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보건소에서 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할 담당간호사가 집단인 지기능향상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문 강사교육 및 훈련을 15시간의 교육과정으로 구성하여 이들에게 제공하였다. 교육은 2008년 7월 30-31일의 1박 2일 워크숍으로 진행하였 으며, 분당구 보건소에서 인지기능재활훈련 프로그램을 담당 하고 있는 책임자로서 본 연구의 공동연구자인 간호학과 교수 1인, 분당구 보건소에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담당자 5인이 세부 주제를 맡아 교육하였다.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에서 취약계층의 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집단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을 적용 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된 것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유사실험 설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 중 노인을 위한 중재프 로그램의 하나로 지방 중소도시 취약계층 재가 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집단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노인의 인지 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은 한 간호사가 한 지역(동 또는 읍)을 담당하는 지역담당제로 운영되며 간호사당 연 400가구를 등록하여 관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2개 시와 1개 군 보건소에 속해 있는 간호사 6명(한 보건소당 2 명)이 담당하는 지역에서 등록된 가구 중 해당기준에 맞는 노인 에게 본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이에 동의한 노인을 각 동(또는 읍)마다 15명 내외를 선발하였으며 한 동은 실험군으로 또다른 동은 대조군으로 배치하였다. 즉 한 보건소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을 다른 동(또는 읍)에서 선정하였다.
  • 본 프로그 램은 노인들에게 집단 활동을 통해 대인 간 상호작용에 관심을 갖도록 하고 계획된 세부 활동을 통해 인지기능을 유지·향상 시키기 위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 2008; Park, Kwon, Seo, Lim, & Song, 2009 ; Rapp, Brenes, & Marsh, 2002), 집단 프로그램은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이용하는 전략으로 독거노인에게서 부족한 대인관계 및 사회활동을 촉진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중재수단이 된다고 보고되고 있다(Jeong, 2007). 인지기능은 나이, 성별뿐 아니라 교육수준을포함한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는 여러 연구결과에 의거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도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차이를 볼 수 있다고 판단된다(Lee et al., 200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적 배경이 다른 지방 중소도시 취약계층의 일반재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집단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적용한 후 인지기능뿐 아니라 인지기능과 유의한 관련성이있는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적용 및 효과분석은 초 고령사회로의 진입을 대비하는 이 시점에서 취약계층 노인의 건강한 노년기를 보장하기 위한 한 중재방안으로 의미가 있다.

가설 설정

  • 제1가설: 집단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과 대조 군의 인지기능 정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2가설: 집단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과 대조 군의 우울 정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3가설: 집단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군과 대조 군의 삶의 질 정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매사업의 궁극적 목표는 무엇인가? 최근 보건소 치매지원센터에서는 치매 조기발견 및 치료, 재활, 진행 단계별 적정 관리 등을 목표로 일부 주민을 대상으로 사업을 하고있으나 정밀검사를 위한 병원 간 연계가 부족하고 더 나아가 치매가 확진되었다 하여도 지원책은 더욱 미미한 실정이다(Shin,2008). 또한 치매사업의 궁극적 목표는 임상적 진단이 가능한 시점 이전에 인지기능의 장애를 진단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함으로써 더 이상의 저하를 막거나 늦추는 것이다(Korean Dementia Association, 2006). 따라서 노인에게 인지기능의 하강속도를 늦출 수 있는 치매예방 중재방안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집단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은 어떤 의의를 가지고 있는가? 아울러 본 집단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은 주로 집안 내에 머물러 있는 노인을 경로당, 노인회관 등과 같이 사회적 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이끌어내어 함께 소집단으로 활동하도록 고안한 점이 강점이다. 이는 노인 개개인에게 인지적 자극과 시각, 촉각을 이용한 감각 자극을 제공할 뿐 아니라 동시에 신체적 활동과 함께 협동, 경쟁과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킴 으로써 기존의 재가 방문간호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대인별 프로그램의 제공이라는 한계를 넘어 대인간 상호작용을 이끌어 내었다는 점에서 재가 방문간호 프로그램의 외연을 확장하 였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집단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의 강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중재경향은 이미 OECD국가들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질병관리보다 건강증진, 건강보호 및 질병예방을 위한 활동을 채택하는 추세를 보인다는 연구결과(Song & Song, 2009)와 일치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집단인지기능향상 프로그램은 주로 집안 내에 머물러 있는 노인을 경로당, 노인회관 등과 같이 사회적 활동이 가능한 공간으로 이끌어내어 함께 소집단으로 활동하도록 고안한 점이 강점이다. 이는 노인 개개인에게 인지적 자극과 시각, 촉각을 이용한 감각 자극을 제공할 뿐 아니라 동시에 신체적 활동과 함께 협동, 경쟁과 같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킴 으로써 기존의 재가 방문간호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대인별 프로그램의 제공이라는 한계를 넘어 대인간 상호작용을 이끌어 내었다는 점에서 재가 방문간호 프로그램의 외연을 확장하 였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in, Y. R., Lee, I. S., & Chang, H. S. (2004). Analysis of the effects and nursing intervention of home health care in public health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5, 353-363. 

  2. Chu, S. K., Yoo, J. H., & Lee, C. Y. (2007). The effects of a cognitive behavior program on cognition,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elderly with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1049-1060.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ion Pub. 

  4. Comijs, H. C., Jonker, C., Beekman, A. T., & Deeg, D. J. (2001).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declin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rson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6, 361-367. 

  5. Han, J. H., Ko, S. K., Kweon, J. H., Jo, I. H., Ahn, S. M., Han, C. S., et al. (2008). Efficacy of a multifactorial cognitive ability enhancement program for MCI (Mild Cognitive Impairment) group.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 805-821. 

  6. Hwang, R. I., Lim, J. Y., & Lee, Y. W. (2009). A comparis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impairment lev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622-631. 

  7. Jeong, W. M. (2007). The effects of group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improvement of cognitive abilities in mild case of dementia.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1, 46-55. 

  8. Jhoo, J. H., Kim, K. W., Lee, D. Y., Youn, J. C., Lee, T. J., Choo, I. H., et al. (2005).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in two different Korean versions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KC and K-MMS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4, 98-104. 

  9. Ji, H. R. (2003). The effects of dementi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ocial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0. Kauppila, T., Pesonen, A., Tarkkila, P., & Rosenberg, P. H. (2007). Cognitive dysfunction and depression may decrease activities in daily life more strongly than pai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adults living with persistent pain. Pain Practice, 7, 241-247. 

  11. Kee, B. S. (1996).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 ver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5, 298-307. 

  12. Kim, D. Y., Kim, I. S., Kim, T. Y., Park, R. J., Park, J. M., Son, K. C., et al. (2004). Dementia prevention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 Seoul: Seohyeonsa. 

  13. Kim, J. H. (2000). Effects of a memory training program using efficacy sources on memory improvement in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1170-1180. 

  14. Kim, J. S., & Jung, J. S. (2005). The effects of a folk play program on cognition, ADL, and problematic behavior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153-1162. 

  15. Ko, S. G., & Kwon, J. H. (2007). Efficacy of a multifactorial memory enhancement program for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 545-572. 

  16. Korean Dementia Association. (2006). Dementia: A clinical approach. Seoul: Academia. 

  17.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02). Mosby's medical, nursing & allied health dictionary, Seoul: Mosby & Hyunmoosa. 

  18. Lee, D. Y., Lee, K. U., Lee, J. H., Kim, K. W., Jhoo, J. H., Youn, J. C., et al. (2002). A normative study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41, 508-525. 

  19. Lee, H. S., Kim, H. S., & Jung, Y. M. (2009).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 12-22. 

  20. Lim, E. S. (2002). Effects of physical abi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low income elders living at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December). 2008 National health statistic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trieved March 2, 2010, from http://knhanes.cdc.go.kr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2008 Customized visiting health service guidebook, 117-118. Retrieved March 2, 2010, from http://www.mw.go.kr/front/sch/search.jsp 

  23. Rapp, S., Brenes, G., & Marsh, A. P. (2002), Memory enhancement training for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preliminary study. Aging &Mental Health, 6, 5-11. 

  24. Park, M. H., Kwon, D. Y., Seo, W. K., Lim, K. S., & Song, M. S. (2009). The effects of cognitive training on community-dwelling elderly Korean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 904-909. 

  25. Schalock, R. L., & Siperstein, G. N. (1996). Quality of lif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Washington DC: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Retardation. 

  26. Shin, K. R., Byeon, Y. S., Kang, Y. H., & Oak, J. (2008). A study on physical symptom,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the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437-444. 

  27. Shin, M. K. (2008).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on frontal lobe cognitive function in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1071-115. 

  28. Song, M. S., & Song, H. J. (2009).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intensive health care program for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 37-50. 

  29. Won, J. S., & Kim, J. H. (2003). Influencing factors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in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 148-154. 

  30. Won, J. S., & Kim, K. H. (2008).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s,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receiving visiting nursing servic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