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에 따른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Design Characteristics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 on Luxury Fashion Brands -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4 no.2, 2010년, pp.252 - 265  

김지영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고은주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luxury fashion brands have a strong brand identity and the product design characteristics of a brand are critical factors that influence brand identity. The design of products influence brand identity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hoice by consumers in which brand to purchase. This study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럭셔리 패션 브랜드가 고유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면서도 유행을 앞서가는 브랜드로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상품의 디자인 특성이 매우 중요하며 브랜드는 타겟 소비자들을 위한 적절한 상품을 디자인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럭셔리 브랜드의 상품 디자인을 혁신적인 속성과 전통적 인속성 에 따라 분류해 보고 이와 같은 특징 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친환경 화장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김효진, 이혜주(2009)의 연구에서도 브랜드 태도를 형성하는 브랜드 선호도의 요인들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침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럭셔리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가 구매의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특성이 럭셔리 브랜드의 태도 형성뿐만 아니라 구매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 보고 상품 디자인 특성이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에 있어 조절변수로서 소비자 특성을 측정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특성은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의생활 특성 변인으로 분류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으로 연령, 패션 상품 소비를 위한 지출비 , 가계수입을, 의생활 특성 변인으로 유행관여도를 측정하였다.
  • 디자인 아이덴티티가 명확한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경우 소비자들에게 인식된 브랜드의 디자인적 특성에 따라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가지게 될 것이며 이는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 및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또한 소비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징과 의생활 특성에 따라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이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것으로 기대되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를 디자인 특성에 따라 분류해 보고브랜드의 특성과 상품 카테고리에 따라 이들이 소비자 태도 형성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럭셔리 브랜드를 양립하는 혁신과 전통적 특성에 따라 분류해 봄으로써 기존의 연구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이 소비자 평가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볼 수 있다.
  • 연구문제 4. 럭셔리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에 따른 구매의 도가 상품 카테고리별로 상이한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 2. 럭셔리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다.
  • 연구문제 3. 럭셔리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 형성에 영향을 미칠 때, 소비자의 특성이 이에 영향을미치는지 알아본다.
  • 본 연구는 럭셔리 소비자의 구매행동을 밝히고, 럭셔리 브랜드를 디자인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디자인의 혁신적 특성과 전통적 특성이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에 있어 소비자 특성이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으며, 선호하는 디자인 특징이 카테고리별로 상이한가를 탐색적으로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론과 이에 관련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 다시 말해 럭셔리 브랜드 상품의 구매이유를 브랜드 속성의 차원에서 밝혀볼 수 있으며 럭셔리 소비자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가 기존의 소비자들을 유지해 나감과 동시에 새로운 소비자층을 확보하기 위한 상품 디자인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며 또한 럭셔리 소비자들의 구매 행동을 밝힘으로써 소비자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업이 적절한 타겟 고객을 선정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구사하는데 바탕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본 연구에서는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상품 디자인 속성을 혁신적 특성과 전통적 특성에 따라 평가해 보기 위한 적절한 대상 브랜드를 선정하기 위해 Y대 의류학 전공자 20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 설문지에는 사전조사대상 브랜드 8개의디자인 특성을 혁신적 특성과 전통적 특성으로 분류하여 측정 하기 위한 6가지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본조사를 위한 측정 브랜드 5개를 선정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 특성과 상품 카테고리에 따라 럭셔리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해 보는데 있음에 따라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H1 럭셔리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은 브랜드 태도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브랜드 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럭셔리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은 구매의도 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것이다.
  • H4 소비자 특성(유행관여도, 연령, 패션 지출비, 가계수입)에 따라 럭셔리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이 브랜드 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것이다.
  • H5 소비자 특성(유행관여도, 연령, 패션지출비, 가계수입)에 따라 럭셔리 브랜드의 브랜드 태도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것이다.
  • H6 소비자 특성(유행관여도, 연령, 패션지출비, 가계수입)에 따라 럭셔리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고은주. (2009).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서울: 예경. 

  2. 고은주, 김은영, 박경애, 박은주, 성희원, 이미영, 이승희, 이윤정. (2009). 패션마케팅 현재와 미래. 서울: 박영사. 

  3. 고은주, 오선민. (2009). 럭셔리 브랜드의 고객자산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7), 1025-1037. 

  4. 김경훈, 고은주, Graham Hooley, Nick Lee, 이동해, 정홍섭, 전병주, 문학일. (2008). 상표자산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국제비교연구. 마케팅과학연구, 18(4), 245-276. 

  5. 김은영. (2003). 여대생의 해외 유명 브랜드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정구, 안용현. (2000). 브랜드 개성의 FCB 모델에 따른 역할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11(4), 65-85. 

  7. 김효진, 이혜주. (2009). 웰빙 사회의 소비자 가치 지향, 지각된 가치, 브랜드 선호도가 친환경 화장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15(1), 327-341. 

  8. 박현희, 전중옥, 곽원일. (2007). 패션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과 VMD 적합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12(1), 55-70. 

  9. 박혜원, 임숙자. (1992). 유행관여에 따른 여성 기성복 상표이미지 포지셔닝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6(4), 393-403. 

  10. 보스하르트, 다비트. (1997). 소비의 미래. 박종대 옮김 (2001). 서울: 생각의 나무. 

  11. 슈발리에 미셸, 바짤로보 제럴드. (2007). 럭셔리 브랜드 경영. 손주연 옮김 (2007). 서울: 미래의 창. 

  12. 이두희. (2002). 광고론. 서울: 박영사. 

  13. 이승희, 이랑, 정소연. (2003).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구매행동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11), 1241-1251. 

  14. 이원정, 이경희. (2008). 컬렉션에서 보여진 해외 유명 브랜드의 Bag 디자인 특성. 한국의류학회지, 32(10), 1487-1496. 

  15. 장은영. (1997). 국내 및 수입 유명 의류에 대한 소비자 선호요인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1), 182-193. 

  16. 전경숙, 박혜정. (2005). 패션 성향과 소비자 독특성 욕구가 명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9(2), 231-241. 

  17. 전경숙, 박혜정. (2005). 자민족중심주의, 패션선도력의 관계 및 명품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9(11), 1498-1506. 

  18. 전수영. (2005). 버버리 패션 명품 소비자의 동조성과 개성에 관한 연구. 복식, 55(3), 136-149. 

  19. 정혜영. (2000). 여대생들의 유명 브랜드 의류에 대한 태도 및 구입의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8(1), 1-14. 

  20. 최선형. (2001). 패션 명품에 대한 태도 연구. 복식문화연구, 9(6), 842-854. 

  21. 최선형. (2003). 지각된 제품 특성과 과시적 소비 성향이 패션 명품 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2), 209-218. 

  22. 홍금희, 이은영. (1992). 의복 만족모형의 경로연구: 상표 수준과 소비자 관여의 기대선행변수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6(4), 535-548. 

  23. 홍희숙, 류성민, 문철우. (2007). 의류 브랜드 커뮤니티의 이용욕구 충족과 커뮤니티 몰입의 관계: 의류 브랜드 이미지의 조절효과. 마케팅과학연구, 17(4), 51-89. 

  24. 황선진, 송기은, 이윤경. (2003). 조정변수로서 소비자의 유행관여, 상표친숙성, 부정적 정보가 의류 상표 확장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1), 9-17. 

  25. Howard, A. D. (1994). A detachment-limited model of drainage basin evolu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30, 2261-2285. 

  26. Mackenzie, S. B., & Lutz, R. J. (1989). An empirical examination of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in the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53(2), 48-65. 

  27. Park, H. J., Rabolt, N. J., & Kyung, S. (2008). Purchasing global luxury brands among young Korean consumer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12(2), 244-259. 

  28. Wiedmann, K. P., Hennigs, N., & Siebels, A. (2009). Value-based segmentation of luxury consumption behavior. Psychology & Marketing, 26(7), 625-6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