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주체가 교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학습자의 주도성을 촉진시키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자유로운 웹 기반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주목을 받아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 교육에 있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웹 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 시에는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강의를 계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강의 콘텐츠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동영상 강의, 슬라이드 강의 및 e-text 강의 3가지로 나누어 서비스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학습자와 조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온라인 멘토링이 가능하도록 학생과 조교를 1:1로 매칭하였다. 구현 시에는 관리자, 학생, 조교 모듈로 각각 나누어 구현하였으며, 실제 교육 활동에 적용하였다. 교육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 만족도와 실력 향상 효과 및 온라인 교육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도 부분에서는 전체 67.2% 이상이 만족함을 보였으며, 교육 후 실력 향상 효과 면에서는 전체 86.9% 이상이 학습자가 본 시스템을 통한 교육 후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여 본 논문에서 구현한 학습 시스템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교육의 주체가 교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학습자의 주도성을 촉진시키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자유로운 웹 기반의 자기주도적 학습이 주목을 받아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 교육에 있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웹 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 시에는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자신의 강의를 계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강의 콘텐츠 서비스에 중점을 두고 동영상 강의, 슬라이드 강의 및 e-text 강의 3가지로 나누어 서비스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학습자와 조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온라인 멘토링이 가능하도록 학생과 조교를 1:1로 매칭하였다. 구현 시에는 관리자, 학생, 조교 모듈로 각각 나누어 구현하였으며, 실제 교육 활동에 적용하였다. 교육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 만족도와 실력 향상 효과 및 온라인 교육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만족도 부분에서는 전체 67.2% 이상이 만족함을 보였으며, 교육 후 실력 향상 효과 면에서는 전체 86.9% 이상이 학습자가 본 시스템을 통한 교육 후 실력이 향상되었다고 응답하여 본 논문에서 구현한 학습 시스템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As the subjects of education has been changed from the instructors to learners, a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which can accelerate the initiative of learners and can be free from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has been received attention. In this paper, the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s...
As the subjects of education has been changed from the instructors to learners, a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which can accelerate the initiative of learners and can be free from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has been received attention. In this paper, the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was designed. For the design, to make the learners build their own lecture plan, the service was designed to provide three kinds of lectures of video clip, slide lecture, and e-text lecture that were focused on various lecture contents. In addition, a learner and an assistant was man to man matched to enable the on-line mentoring for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assistants. Implementation was carried out by three sets of module - Manager, Learner and Assistant - that were applied to the real educational activities. The survey on satisfaction for the education, efficiency of ability improvement, and educational intelligibility for the attendants on the education showed more than 67.2% of satisfaction in satisfaction for the education. Furthermore, more than 86.9% of attendants replied that their ability were improved after the education of this system. The educational system realized in this paper shows effectiveness for the self-directed learning.
As the subjects of education has been changed from the instructors to learners, a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which can accelerate the initiative of learners and can be free from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has been received attention. In this paper, the web-based self-directed learning system was designed. For the design, to make the learners build their own lecture plan, the service was designed to provide three kinds of lectures of video clip, slide lecture, and e-text lecture that were focused on various lecture contents. In addition, a learner and an assistant was man to man matched to enable the on-line mentoring for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and assistants. Implementation was carried out by three sets of module - Manager, Learner and Assistant - that were applied to the real educational activities. The survey on satisfaction for the education, efficiency of ability improvement, and educational intelligibility for the attendants on the education showed more than 67.2% of satisfaction in satisfaction for the education. Furthermore, more than 86.9% of attendants replied that their ability were improved after the education of this system. The educational system realized in this paper shows effectiveness for the self-directed learning.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교 수준에서 IT 교육, 특별히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에 있어 웹 기반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특히 웹 기반수업 시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콘텐츠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구현된 시스템을 통해 실제로 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후 교육 만족도를 조사하여 본 논문에서 설계한 웹 기반의 자기주도적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구현된 시스템의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콘텐츠 지원과 수준별 실습과제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자기주도적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관리자 모듈, 학생 모듈 및 조교 모듈별로 구현하였다. 각 모듈별 교수-학습 전략은 Zimmerman과 Martinez-Pons[기가 제시한 자기주도적 학습 전략을 반영하였으며, 위의 표 2와 같이 학습 전략 범주를 목표설정과 계획, 조직화와 변형, 정보검색, 기록과 심사, 자기보상과 처벌 및 사회적 도움으로 삼았다.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IT 교육에 있어, 학습자의 역할 비중을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콘텐츠 제공에 중점을 둔 멀티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웹 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을 통해 고둥학생들을 대상으로 C++ Programming 과목을 자기주도적 학습 과정으로 개설하여 13주 동안 진행하고, 교육 결과에 대한 만족도평가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On Demand) 서버에 저장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실시간 동영상 강의는 제공하지 않는 것을 가정하고 설계하였다. 한 과목의 강좌는 각 주제별로 동영상 강의가 나누어지며, 다시 하나의 주제는 세부 주제별로 강의가 이루어져 있다.
제안 방법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특히 웹 기반수업 시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콘텐츠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구현된 시스템을 통해 실제로 교육을 실시하고, 교육 후 교육 만족도를 조사하여 본 논문에서 설계한 웹 기반의 자기주도적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조교와 학생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온라인 멘토링 지원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이와 같은 웹 기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시스템 구조를 그림 1에 도식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중점을 두고 설계한 교육 서비스 시스템은 그림 2와 같이, 보다 효과적인 자기주도적 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동영상 강의 서비스와 e-text 강의서비스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그림 4의 동영상 강의 관리에서는 동영상 강의가 저장되어 있는. VOD Lecture Server와 웹 페이지를 연결하였다. 등록한 동영상 및 e-text 걍의정보는 학생과 조교 모듈에 전달된다.
1) 전반적인 교육 만족도, 2) 강의 후 실력 향상 여부, 및 3) 온라인 교육 방식의 인식도를 평가하였다.
구현된 시스템을 통해 고둥학생들을 대상으로 C++ Programming 과목을 자기주도적 학습 과정으로 개설하여 13주 동안 진행하고, 교육 결과에 대한 만족도평가를 실시하였다. 만족도 평가 결과 '매우 만족한다'와 , 만족한다, 의 응답이 전체 67.
대상 데이터
위한 개발 환경은 표 3과 같다. 운영체제는 Sun S이aris를, 데이터베이스는 Oracle을 이용하였다. 웹 프로그래밍 언어는 PHP를 이용하여 구현하였匸h
대상 과목으로는 C++ Programming 언어를 전국의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10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단원별 주제는 표 4와 같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을 통한 교육 만족도 평가를 위해, 실제 왭 기반의 자기추도적 학습에 참여한 전국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0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평가 항목은 1) 전반적인 교육 만족도, 2) 강의 후 실력 향상 여부, 및 3) 온라인 교육 방식의 인식도를 평가하였다.
이론/모형
각 모듈별 교수-학습 전략은 Zimmerman과 Martinez-Pons[기가 제시한 자기주도적 학습 전략을 반영하였으며, 위의 표 2와 같이 학습 전략 범주를 목표설정과 계획, 조직화와 변형, 정보검색, 기록과 심사, 자기보상과 처벌 및 사회적 도움으로 삼았다.
성능/효과
학습 만족도 결과는 표 5와 같이 전체 67.2%가 만족하였고, 불만족은 0%를 나타내어 전반적으로 참가자 100%가 보통 수준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학생들의 온라인 교육 인식 조사 결과 표 7과 같이온라인 교육이 효율적이라는 응답이 전체 443%를 나타내었다.
구현된 시스템을 통해 고둥학생들을 대상으로 C++ Programming 과목을 자기주도적 학습 과정으로 개설하여 13주 동안 진행하고, 교육 결과에 대한 만족도평가를 실시하였다. 만족도 평가 결과 '매우 만족한다'와 , 만족한다, 의 응답이 전체 67.2%를 보였고, 실력 향상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는 보통 이상의 응답이 86.9%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구현한 웹 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9%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구현한 웹 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현장 교육과 온라인 교육을 병행해야 한다는 응답과 현장교육이 좋다는 응답이 각각 29.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서 구현한 웹 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시스템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존의 현장 교육과 온라인 교육을 병행해야 한다는 응답과 현장교육이 좋다는 응답이 각각 29.5%와 21.3%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온라인 교육에서 중요시 되는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조교와 학생 간 1:1매칭 관계를 구현하였으나, 여전히 교사와 학생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3%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온라인 교육에서 중요시 되는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조교와 학생 간 1:1매칭 관계를 구현하였으나, 여전히 교사와 학생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학생의 자기주도적 역할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 시스템에서 관리자 역할 부분을 학습자가 직접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후속연구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온라인 교육에서 중요시 되는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을 위해 조교와 학생 간 1:1매칭 관계를 구현하였으나, 여전히 교사와 학생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방법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에는 학생의 자기주도적 역할을 향상시키기 위해, 현 시스템에서 관리자 역할 부분을 학습자가 직접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7)
M. Knowles, "Self-Directed Learning," Cambridge Adult Education, 1975.
S. Kang, "Internet & Class," KyoYookBook, 2001. (in Korean)
M. Kim, S. Park, "A Study of Relations among Self-Regulated Learning, Learning Styles, and Achievement in the Web-Based Bulletin Board System,"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5(3), pp.177-198, 1999. (in Korean)
S. Ki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Teacher's Web Courseware dor Non-linear Data Structure L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 Thesis, 2004. (in Korean)
E. Le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Courseware for Programming Subject Considering Student's Learning Level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Master Thesis, 2004. (in Korean)
Y. Ko, "Implementation and Effect Analysis of a Web Baed Learning Support System-focus on programming education," Sook Myung University, Master Thesis, 2008. (in Korean)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Development of a structure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3(4), pp.614-628. 198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