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인의 최적화된 웹 접근성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Design of User Interface for Optiomal Web Access of the Visually Impaired 원문보기

電子工學會論文誌.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CI, 컴퓨터, v.47 no.1=no.331, 2010년, pp.58 - 64  

이준석 (전남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 ,  이광옥 (조선대학교 컴퓨터 통계학과) ,  김경수 (전남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 ,  배상현 (조선대학교 컴퓨터 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인터넷이 급속도록 확산되면서 사회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생활에 있어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신체적인 제약을 갖고 있는 장애인들과 같이 웹에 접근하기 어려운 사용자들이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웹 접근성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대해 체계적인 조사 및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이 갖고 있는 웹 접근의 어려움에 대해 효율적인 제공을 위한 접근 횟수를 단축시키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se days, the Internet networks have rapidly expanded and used in various fields and been recognized as essential in our daily life. However, there are users who have difficulties in access to web sites like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refore, our country as well as developed countries 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접근 방법을 제공하고자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접근 횟수를 단축시킴으로써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 본 논문에서는 웹 접근성을 기반으로 한 환경의 변화에 대비해 보다 효율적으로 시각장애인들이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이퍼링크로 설정된 개체에 대해 접근 횟수를 줄임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빠른 시간 내에 제공하도록 하였다.
  • 본 장에서는 시각장애인들이 웹 사이트에서 하이퍼링크로 설정된 개체의 효율적인 접근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다.
  • 본 장에서는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해 시각장애인들의 접근 속도를 향상하기 위해 최적화된 접근 방법을 기술한다.

가설 설정

  • 넷째, 콘텐츠는 논리적인 순서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송승훈, 박두순, 홍민,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 11권, 제 2호, p. 45-46, 2008년 3월 

  2. 이성일, "장애인의 저보 체계 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전자공학회지, 제 32권, 제 3호, p. 252-253, 2005년 3월 

  3. 한국 인터넷 진흥원, "2008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결과", 2008. 6. 

  4. http://www.humanrights.go.kr/04_sub/body01.jsp ?PROCESS_ID&NT_ID9&flagVIEW&SEQ_ID 595785&page1] 

  5. 김상철, 전문진, 이상환, 박광현, 변증남,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장애인 및 노령 인구를 위한 보조 소프트웨어의 개발", 전자공학회 논문지, 44권 SC 편, 제 4호, pp. 8-9, 2007년 7월 

  6. Zeng, X.(2004). Evaluation and enhancement of web content accessibi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hilosophy 

  7. 박성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및 구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 2006. 2. 

  8. 행정안전부 정보문화과, "웹 접근성 현황 및 정책 방향", 2009. 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