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harlson 동반질환의 ICD-10 알고리즘 예측력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ree Algorithms of the ICD-10 Charlson Comorbidity Index with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예방의학회지, v.43 no.1, 2010년, pp.42 - 49  

김경훈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정책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compare the performance of three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Revision translations of the Charlson comorbidities when predicting in-hospital among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MI). Methods: MI patients ${\geq}20$ years of age with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청구자료를 사용하여 심근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Charlson 동반질환의 ICD-10알고리즘을 비교하고자 한다. 그리고 동반질환 보정에서 제기되는 동반질환 관찰기간, 자료와 진단명의 범위에 따른 결과예측력 비교를 통하여 적절한 동반질환 보정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청구자료를 사용하여 심근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Charlson 동반질환의 ICD-10알고리즘을 비교하고자 한다. 그리고 동반질환 보정에서 제기되는 동반질환 관찰기간, 자료와 진단명의 범위에 따른 결과예측력 비교를 통하여 적절한 동반질환 보정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동반질환을 장기간 관찰한 경우 동반질환을 관찰할 기회는 증가되지만 효율적이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병원내 사망을 예측함에 있어 적절한 동반질환 관찰기간을 제시하기 위해 입원시점을 기준으로 이전 1년, 3년, 5년 동안 동반질환을 관찰하였다. 건강보험청구자료는 의료기관을 방문한 환자의 모든 입원, 외래 진료내역을 포함하고 있고, 환자의 주진단명과 제1부진단명이 기록된 자료 외에 모든 진단명이 기록된 자료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동반질환을 관찰하기 위한 자료의 범위 결정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harlson 동반질환지수란 무엇인가? Charlson 동반질환지수은 동반질환 보정방법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의무기록조사를 통하여 정의된 19개의 질환에 대하여 1~6점까지 일정한 가중치를 부여한 뒤 이 가중치의 합을 보정하는 방법이다. Charlson 동반질환지수는 동반질환과 질환의 중증도를 반영했다는 점에서 질환을 이분형 형태로 사용하는 Elixhauser 동반질환과 구분되며, 다른 동반질환 보정방법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예측력이 증명되었다 [7-9].
Charlson 동반질환지수는 어떠한 점에서 Elixhauser 동반질환과 구분되는가? Charlson 동반질환지수은 동반질환 보정방법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 의무기록조사를 통하여 정의된 19개의 질환에 대하여 1~6점까지 일정한 가중치를 부여한 뒤 이 가중치의 합을 보정하는 방법이다. Charlson 동반질환지수는 동반질환과 질환의 중증도를 반영했다는 점에서 질환을 이분형 형태로 사용하는 Elixhauser 동반질환과 구분되며, 다른 동반질환 보정방법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예측력이 증명되었다 [7-9]. 그러나 Charlson 동반질환은 의무기록 자료를 토대로 개발되어 진단명이 ICD-9-CM(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9th Revision, Clinical Modification) 혹은 ICD-10(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 10th Revision)으로 분류된 행정자료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진단코드의 정의가 필요하다.
동반질환 보정에 있어 제기되는 여러 상황하에서 예측력을 비교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동반질환 보정에 있어 제기되는 여러 상황하에서 예측력을 비교하였지만 몇가지 제한점이 존재한다. 첫째, 건강보험청구자료는 환자의 모든 진료내역이 포함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진료비 심사를 목적으로 구축된 자료이므로 진단명의 부정확성이 문제된다. 건강보험청구 자료를 사용한 기존 연구들 [17-20,22]은 경험적인 접근 방법으로 동반질환을 정의하였으나, 부정확성에 대한 문제는 여전히 존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진단명에 대한 제약을 두지 않고, 청구된 진단명을 그대로 사용하여 동반질환 유병률이 과대추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또한 자료에 청구된 진단명은 시간적 관계를 알 수 없어 동반 질환과 합병증을 정확히 구분할 수 없으나, 조작적으로 입원시점에 청구된 진단명을 제외하여 합병증을 분리하였다. 둘째, 심근경색 환자만을 대상으로 전환 알고리즘과 관찰 기간, 그리고 자료와 진단명의 범위에 따른 병원내 사망의 예측력을 비교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른 질환 혹은 수술환자에 적용하기에는 제한이 따른다. 그러나 심근경색환자를 대상으로 많은 보건의료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결과예측모형은 성별, 연령, 입원경로 그리고 동반질환만을 모형에 포함하였고, 환자의 예후와 관련된 질환의 중증도와 임상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arlson ME, Pompei P, Ales KL, MacKenzie CR. A new method of classifying prognostic comorbidity in longitudinal studi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J Chronic Dis 1987; 40(5): 373-383. 

  2. Elixhauser A, Steiner C, Harris DR, Coffey RM. Comorbidity measures for use with administrative data. Med Care 1998; 36(1): 8-27. 

  3. Zhang JX, Iwashyna TJ, Christakis NA. The performance of different lookback periods and sources of information for Charlson comorbidity adjustment in Medicare claims. Med Care 1999; 37(11): 1128-1139. 

  4. Preen DB, Holman CD, Spilsbury K, Semmens JB, Brameld KJ. Length of comorbidity lookback period affected regression model performance of administrative health data. J Clin Epidemiol 2006; 59(9): 940-946. 

  5. Kim KH, Ahn LS. A comparative study on comorbidity measurements with lookback period using health insurance database: Focused on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9; 42(2): 267-273. (Korean) 

  6. Stukenborg GJ, Wagner DP, Connors AF Jr.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f two comorbidity measures, with and without information from prior hospitalization. Med Care 2001; 39(7): 727-739. 

  7. Schneeweiss S, Wang PS, Avorn J, Glynn RJ. Improved comorbidity adjustment for predicting mortality in Medicare populations. Health Serv Res 2003; 38(4): 1103-1120. 

  8. Birim O, Maat AP, Kappetein AP, van Meerbeeck JP, Damhuis RA, Bogers AJ. Validation of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in patients with operated primary nonsmall cell lung cancer. Eur J Cardiothorac Surg 2003; 23(1): 30-34. 

  9. Birim O, Kappetein AP, Bogers AJ. Charlson comorbidity index as a predictor of long-term outcome after surgery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Eur J Cardiothorac Surg 2005; 28(5): 759-762. 

  10. Sundararajan V, Quan H, Halfon P, Fushimi K, Luthi JC, Burnand B, et al. Cross-national comparative performance of three versions of the ICD-10 Charlson index. Med Care 2007; 45(12): 1210-1215. 

  11. Deyo RA, Cherkin DC, Ciol MA. Adapting a clinical comorbidity index for use with ICD-9-CM administrative databases. J Clin Epidemiol 1992; 45(6): 613-619. 

  12. Romano PS, Roos LL, Jollis JG. Adapting a clinical comorbidity index for use with ICD-9-CM administrative data: Differing perspectives. J Clin Epidemiol 1993; 46(10): 1075-1079 

  13. D'Hoore W, Sicotte C, Tilquin C. Risk adjustment in outcome assessment: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Methods Inf Med 1993; 32(5): 382-387. 

  14. Halfon P, Eggli Y, van Melle G, Chevalier J, Wasserfallen JB, Burnand B. Measuring potentially avoidable hospital readmissions. J Clin Epidemiol 2002; 55(6): 573-587. 

  15. Sundararajan V, Henderson T, Perry C, Muggivan A, Quan H, Ghali WA. New ICD-10 version of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predicted in-hospital mortality. J Clin Epidemiol 2004; 57(12): 1288-1294. 

  16. Quan H, Sundararajan V, Halfon P, Fong A, Burnand B, Luthi JC, et al. Coding algorithms for defining comorbidities in ICD-9-CM and ICD-10 administrative data. Med Care 2005; 43(11): 1130-1139. 

  17. Kyung MH, Yoon SJ, Ahn HS, Hwang SM, Seo HJ, Kim KH, et al. Prognostic impact of Charlson comorbidity index obtained from medical records and claims data on 1- year mortality and length of stay in gastric cancer patients. J Prev Med Public Health 2009; 42(2): 117-122. (Korean) 

  18. Choi WH, Yoon SJ, Ahn HS, Kyung MH, Kim KH, Kim KU. The prediction of health care outcome of total hop replacement arthroplasty patients using Charlson comorbidity index. Korean J Hospital Manage 2009; 14(1): 23-35. (Korean) 

  19. Kim NS. The Effect of Adherence to Antidepressant Treatment on Relapse and Recurrence of Depression [dissertation]. Seoul: Seoul University; 2008. (Korean) 

  20. Seo HJ. Prediction of Health Outcome using Charlson Comorbidity Index in Resected lung Cancer Patients: A Comparison of Medical Records Data and Administrative Data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8. (Korean) 

  21. Zhang JX, Iwashyna TJ, Christakis NA. The performance of different lookback periods and sources of information for Charlson comorbidity adjustment in Medicare claims. Med Care 1999; 37(11): 1128-1139. 

  22. Kim JY, Kim HY, Im JH. Development of Risk Adjustment and Prediction Methods for Care Episodes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7.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