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intention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Methods: Among 55,920 eligible persons for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NCSP) in J city, 1,100 individuals were contacted. Of these, 797 were interviewed using a structured 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가 암 조기 검진 수검률 향상을 위해 정책목표를 어디에 둘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과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국가 암 조기검진 대상자의 수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첫째, 암 검진 수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인 요인과 다른 관련요인을 분석한다. 둘째, 계획된 행동 이론이 암 검진 수검의도를 분석하는 적절한 모형인지를 파악한다.
  • 본 연구는 국가 암 조기 검진 수검률 향상을 위해 정책목표를 어디에 둘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과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국가 암 조기검진 대상자의 수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첫째, 암 검진 수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인 요인과 다른 관련요인을 분석한다.
  • 본 연구는 암 검진의 수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심리학적 요인으로 건강 행태에 대한의도와 행동을 설명하려는 계획된 행동 이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검의도에 대해 최종적으로 선정된 모형에서 계획된 행동 이론의 세 구성요인(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의 설명력은 29.
  • 이에 본 연구에서도 암 검진 수검의도가 실제 수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해의 국가암조기검진에 실제 수검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761명의 대상자 중에서 이름과 연령으로 주민등록번호를 확인할 수 있었던 277명에 대해서만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Ajzen은 계획된 행동이론을 특정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행동 의도임을 가정하고 개발하였다. 실제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의 메타 분석 결과 계획된 행동이론에서 완벽하지는 않지만 의도가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15].
  • 본 연구는 몇 가지 측면에서 한계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가 일반 인구 집단을 대표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연구 목표 모집단(target population)은 경상남도 J시의 건강보험 납부 기준 하위 50%에 해당되는 2006년 국가 암 검진 대상자 약 5만 5000명 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보건기구에서는 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해 어떻게 보고 있는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암의 1/3은 예방 가능하고, 1/3은 조기 진단만 되면 완치가 가능하며, 나머지 1/3의 환자도 적절한 치료를 하면 완화가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3]. 위암의 경우 조기 진단만 되면 90% 이상이 완치되고, 대장암과 자궁경부암은 암 검진으로 전암단계의 병변을 발견하여 치료함으로써 암 발생 자체를 줄일 수 있으며, 유방암도 조기 진단만 되면 유방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며 암을 완치시킬 수 있다 [4].
우리나라는 암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고 나아가 국민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의료 접근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무료로 암 검진을 해주는 국가 암 조기 검진 사업을 실시하고 있는데, 그 세부사항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는 암으로 인한 사망을 줄이고 나아가 국민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의료 접근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무료로 암 검진을 해주는 국가 암 조기 검진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즉, 1999년부터 의료급여 수급자를 대상으로 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을 무료로 검진해 주고 있으며, 2002년에는 검진대상자를 의료 급여 수급자에서 국민건강보험 가입자(이하 건강보험 가입자) 가운데 보험료 부과기준 하위 20%에 해당하는 저소득층까지 검진대상자를 확대하였다. 2003년에는 검진 암 종에 간암을 새롭게 추가하였으며, 검진대상자도 건강보험 가입자 중 보험료 부과기준 하위 20%에서 하위 30%로 확대하였다. 2004년에는 대장암을 추가함으로써 5대 암(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간암, 대장암)에 대한 국가적인 검진 체계를 구축하였고, 암 검진 대상자 역시 2005년부터는 하위 50%까지로 더욱 확대하였다 [4].
200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평균 암 사망률은 인구 10만명 당 몇 명 꼴인가? 2006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의 평균 암 사망률은 인구 10만명 당 162.0명으로 단일 사망원인으로는 가장 높았다 [1]. 우리나라의 경우도 인구 10만명 당 암 사망률은 2002년 13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Data, 2008 Statistics and Indicators.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8.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2-2007 Yearbook on Health and Welfare Statistiscs. Daejeon: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7. (Korean) 

  3.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World Cancer Report. Geneva; WHO; 2003. 

  4.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Prevention and screening for cancer. [cited 2009 Jan 30]. Available from: URL: http://www.cancer.go.kr/cms/index.html. (Korean) 

  5. National Cancer Center. 2008 Survey of Cancer Screening Rates in Korea People. Goyang: National Cancer Center; 2008. (Korean) 

  6. USA, National Cancer Institute. Cancer trends progress report - 2007 update. [cited 2009 Jan 30]. Available from: URL: http://cancercontrolplanet.cancer.gov/atlas/progressreport/ alacarte/. 

  7. NHS Cancer Screening Programmes. Cancer screening annual review 2007. [cited 2009 Jan 30]. Available from: URL:http://www.cancerscreening.nhs.uk/. 

  8. Bae SS. Health-related behaviors: Theoretical models and research findings. Korean J Prev Med 1993; 26(4): 508-533. (Korean) 

  9. Ajzen I. Construting a TpB questionnaire :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cited 2009 Jan 30]. Available from: URL : http://www.people.umass.edu/aizen/ pdf/tpb.measurement.pdf. 

  10. Fazekas A, Senn CY, Ledgerwood DM. Predictors of intention to use condoms among university women: An application and extens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Can J Behav Sci 2001; 33(2): 103-117. 

  11. Simsekoglu O, Lajunen T. Social psychology of seat belt use: A comparis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health belief model. Transport Res Part F 2008; 11(3): 181-191. 

  12. Cha ES, Doswell WM, Kim KH, Charron-Prochownik D, Patrick TE. Evaluat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explain intention to engage in premarital sex amongst Korean college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Int J Nurs Stud 2007; 44(7): 1147-1157. 

  13. Feng JY, Wu YW. Nurses'intention to report child abuse in Taiwan: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Res Nurs Health 2005; 28(4): 337-347. 

  14. Tolma EL, Reininger BM, Evans A, Ureda J. Examin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construct of selfefficacy to predict mammography intention. Health Educ Behav 2006; 33(2): 233-251. 

  15. Armitage CJ, Conner M. Efficacy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 meta-analytic review. Br J Soc Psychol 2001; 40(Pt 4): 471-499. 

  16. Kwak MS, Park EC, Bang JY, Sung NY, Lee JY, Choi KS. Factors associated with cancer screening participation, Korea. J Prev Med Public Health 2005; 38(4): 473-481. (Korean) 

  17. Hahm MI, Choi KS, Kye SY, Kwak MS, Park EC.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have stomach cancer screening. J Prev Med Public Health 2007; 40(3): 205-212. (Korean) 

  18. Han CH, Park JY, Kam S, Kim SA, Park KS. A model study on medical utilization of workers with nonoccupational diseases: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6; 18(4): 284-297. (Korean) 

  19. Katz MH. Multivariable Analysis. A Practical Guide for Clinicians. 2nd ed.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p. 66. 

  20. Rutter DR. Attendance and reattendance for berast cancer screening: A prospective 3-year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Br J Health Psychol 2000; 5: 1-13. 

  21. Rimer BK, Glanz K. Theory at a Glance: A Guide for Health Promotion Practice. 2nd ed. Bethesda: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5. p. 15- 18. 

  22. Kim GS. Research Methodology of a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using Amos/Lisrel. Seoul: Cheong-Rham Co.; 2006. 

  23. Myers RE, Wolf TA, McKee L, McGrory G, Burgh DY, Nelson G.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undergo annual prostate cancer screening among African American men in Philadelphia. Cancer 1996; 78(3): 471- 479. 

  24. Lee KS, Kim YI, Kim CY, Shin YS.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to predicting cervix cancer screening behavior. Korean J Prev Med 2001; 34(4): 379-388. (Korean) 

  25. Hahm MI, Kang MG, Park CS, Cho WH. Customer's intention to use hospital-based health promotion services. Korean J Prev Med 2003; 36(2): 108-116. (Korean) 

  26. Choi KS, Yang JH, Kye SY, Lee SH, Park EC, Shin HR,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performance of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in korea. Korean J Prev Med 2004; 37(3): 246-252. (Korean) 

  27. Rothengatter T, Manstead ASR. The Role of Subjective Norm in Predicting the Intention to Commit Traffic Violation. Traffic and Transport Psychology, Theory and Application ;1997. p. 389-394. 

  28. Ajzen I. Perceived behavioural control,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 Appl Soc Psychol 2002; 32(4): 665-683. 

  29. Devellis BM, Blalock SJ, Sandler RS. Predicting participation in cancer screening: The role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J Appl Soc Psychol 2006; 20(8): 639- 660. 

  30. Drossaert CHC, Boer H, Seydel ER. Prospectiv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repeat attendance and attendance patterns in breast cancer screening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Psychol Health 2003; 18(5): 551-565. 

  31. Orbell S, Hagger M, Brown V, Tidy J. Comparing two theories of health behavior: A prospective study of noncompletion of treatment following cervical cancer screening. Health Psychol 2006; 25(5): 604-615. 

  32. Cullen KW, Bartholomew LK, Parcel GS, Koehly L. Measuring stage of change for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9- to 12- year-old girls. J Behav Med 1998; 21(3): 241-254. 

  33. Prislin R, Dyer JA, Blakely CH, Johnson CD. Immunization statu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mediating role of beliefs, attiutude, and perceived control. Am J Public Health 1999; 88(12): 1821- 1826. 

  34. Paul S, Carol AG, Richard S. The dimensional structure of th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construct. J Appl Soc Pshychol 1997; 27(5): 418-4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