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슬관절 활액 양 측정에서의 신체검사와 단순 방사선 검사, 초음파의 상관성 Correlation of the Ultrasonography with the Physical Examinations and Simple Radiography in Measurement of Amount of Effusion of the Knee Joint원문보기
목적: 슬관절 초음파가 활액 양의 측정에서 신체 검사 및 단순 방사선 검사 소견과 비교하여 얼마나 유용한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의 활액 증가가 의심되는 60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61.3세, 여자 38명, 남자 22명 이였고, 비만하지 않은 사람이 24명, 비만한 사람이 36명 이였다. 신체 검사는 stroke test와 슬개골 부구 검사를 시행하였고, 방사선 소견은 측면 상에서 활액 양을 관찰하여 3단계로 분류하였으며, 초음파로 이를 확인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stroke test는 39예에서 양성, 슬개골 부구 검사는 20예에서 양성을 보였고, 방사선 측면 검사는 1단계 47예, 2단계 7예, 3단계 3예로 관찰되었다. 초음파 검사는 평균 $7.67{\pm}2.90mm$의 활액 양이 관찰되었다. stroke test와 슬개골 부구 검사, 측면 방사선 검사 모두 초음파 검사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r=.405, .259, .714). 성별은 신체 검사에서는 상관관계의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고 측면 방사선 검사에서는 여성에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789). 비만한 사람보다 비만하지 않은 사람이 세 검사 모두에서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신체 검사는 비만하지 않은 사람에서는 비교적 유용하였으나 비만한 사람에서는 부정확하였으며, 방사선 검사 상에서도 활액 정도 파악이 어려웠으나 초음파 상으로는 활액의 두께를 동적으로 측정하여 과학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슬관절 활액 양의 측정에서는 초음파가 신체 검사나 방사선 소견에 비해 객관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유용하였다.
목적: 슬관절 초음파가 활액 양의 측정에서 신체 검사 및 단순 방사선 검사 소견과 비교하여 얼마나 유용한가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슬관절의 활액 증가가 의심되는 60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는 61.3세, 여자 38명, 남자 22명 이였고, 비만하지 않은 사람이 24명, 비만한 사람이 36명 이였다. 신체 검사는 stroke test와 슬개골 부구 검사를 시행하였고, 방사선 소견은 측면 상에서 활액 양을 관찰하여 3단계로 분류하였으며, 초음파로 이를 확인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stroke test는 39예에서 양성, 슬개골 부구 검사는 20예에서 양성을 보였고, 방사선 측면 검사는 1단계 47예, 2단계 7예, 3단계 3예로 관찰되었다. 초음파 검사는 평균 $7.67{\pm}2.90mm$의 활액 양이 관찰되었다. stroke test와 슬개골 부구 검사, 측면 방사선 검사 모두 초음파 검사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다(r=.405, .259, .714). 성별은 신체 검사에서는 상관관계의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고 측면 방사선 검사에서는 여성에서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r=.789). 비만한 사람보다 비만하지 않은 사람이 세 검사 모두에서 더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신체 검사는 비만하지 않은 사람에서는 비교적 유용하였으나 비만한 사람에서는 부정확하였으며, 방사선 검사 상에서도 활액 정도 파악이 어려웠으나 초음파 상으로는 활액의 두께를 동적으로 측정하여 과학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 슬관절 활액 양의 측정에서는 초음파가 신체 검사나 방사선 소견에 비해 객관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유용하였다.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useful ultrasonography is in measuring amount of effusion within the knee joint in comparison with physical examination and simple rad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total 60 cases which were suspicious for joint effusion. Average age ...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useful ultrasonography is in measuring amount of effusion within the knee joint in comparison with physical examination and simple rad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total 60 cases which were suspicious for joint effusion. Average age was 61.3 years. The group was consisted of 22 males and 38 females, and 24 obese people and 36 non-obese people. Stroke test and patella floating test were done as physical examination. Amount of joint effusion was classified into 3 groups in simple lateral radiographic view and ultrasonography was used for recheck-up. Results: 39 cases were found positive in stroke test, and patella floating was shown in 20 cases. In simple lateral radiographic view, 47 cases of grade I, 7 cases of grade II and 3 cases of grade III were checked. Average $7.67{\pm}2.90mm$ amount of effusion was checked by ultrasonography. Amount of fluid in stroke test, patella floating test and simple lateral radiographic view showed close correlation with ultrasonography. Gender did not seem to affect physical examination, but strong correlation was found in female in simple radiography. Obese group showed closer relationship with all 3 exams compared with non-obese group. Physical examination was relatively effective with nonobese group, but not with obese group. And it was not easy to measure the amount of fluid with simple radiographic view, but we could obtain objective data from ultrasonography by measuring the amount of effusion dynamically.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more objective data was obtained with ultrasonography in comparison with physical examinations and simple radiography in the aspect of measuring amount of joint fluid.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useful ultrasonography is in measuring amount of effusion within the knee joint in comparison with physical examination and simple rad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We evaluated total 60 cases which were suspicious for joint effusion. Average age was 61.3 years. The group was consisted of 22 males and 38 females, and 24 obese people and 36 non-obese people. Stroke test and patella floating test were done as physical examination. Amount of joint effusion was classified into 3 groups in simple lateral radiographic view and ultrasonography was used for recheck-up. Results: 39 cases were found positive in stroke test, and patella floating was shown in 20 cases. In simple lateral radiographic view, 47 cases of grade I, 7 cases of grade II and 3 cases of grade III were checked. Average $7.67{\pm}2.90mm$ amount of effusion was checked by ultrasonography. Amount of fluid in stroke test, patella floating test and simple lateral radiographic view showed close correlation with ultrasonography. Gender did not seem to affect physical examination, but strong correlation was found in female in simple radiography. Obese group showed closer relationship with all 3 exams compared with non-obese group. Physical examination was relatively effective with nonobese group, but not with obese group. And it was not easy to measure the amount of fluid with simple radiographic view, but we could obtain objective data from ultrasonography by measuring the amount of effusion dynamically.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more objective data was obtained with ultrasonography in comparison with physical examinations and simple radiography in the aspect of measuring amount of joint flui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러한 활액의 증가 상태인 삼출(effusion)의 정도는 다양한 신체 검사와 단순 방사선 검사, 초음파 검사, 자기 공명 영상 검사 등의 여러 방사선 검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정확도는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초음 파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삼아, 많이 시행되고 있는 신체 검사와 단순 방사선 검사간의 상관성을 파악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Purpose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useful ultrasonography is in measuring amount of effusion within the knee joint in comparison with physical examination and simple radiography.
The group was consisted of 22 males and 38 females, and 24 obese people and 36 non-obese people. Stroke test and patella floating test were done as physical examination. Amount of joint effusion was classified into 3 groups in simple lateral radiographic view and ultrasonography was used for recheck-up.
신체 검사는 1명의 정형외과 의사에 의해 stroke test와 슬개골 부구(patellar floating) 검사를 시행 하였으며 각각의 검사에 대하여 양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는 기립 측면 사진을 이용하여 슬개상 주머니(suprapatellar pouch)의 활액 양 을 관찰하여 3단계로 분류하였다(Fig.
2단계는 활액의 저투과 음영 이 증가되어 슬개상 지방대가 작아지고 대퇴골 전 지방대가 납작해지는 경우이며, 3단계는 활액의 음 영이 더욱 증가되어 각각의 지방대가 잘 구분이 가 지 않는 경우이다. 초음파 검사는 1명의 정형외과 의사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바로 누운 상태에서 슬관 절 슬개상 주머니의 내측 또는 외측부에 탐촉자를 대고 탐촉자를 잡지 않은 손으로 외측 또는 내측 도 랑(gutter)를 눌러준 후 활액을 관찰하고 슬개상 주 머니의 전후 최장 직경을 측정하였다(Fig. 2).
신체 검사 및 방사선 검사 판독, 초음파 검사는 모두 동일 한 1명의 정형외과 의사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순서 는 방사선 검사 판독 후 신체 검사를 시행하고 마지 막으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여 슬개상 주머니(suprapatellar pouch)의 활액 양 을 관찰하여 3단계로 분류하였다(Fig. 1). 1단계는 슬개상 지방대와 대퇴골 전 지방대 사이에 방사선 저투과 음영의 활액이 관찰되나 각각의 지방대가 잘 구분이 되는 경우이다.
신체 검사 및 방사선 검사 판독, 초음파 검사는 모두 동일 한 1명의 정형외과 의사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순서 는 방사선 검사 판독 후 신체 검사를 시행하고 마지 막으로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다여 슬개상 주머니(suprapatellar pouch)의 활액 양 을 관찰하여 3단계로 분류하였다(Fig. 1).
대상 데이터
3 years. The group was consisted of 22 males and 38 females, and 24 obese people and 36 non-obese people. Stroke test and patella floating test were done as physical examination.
슬관절 통증을 주소로 본원 외래에 내원한 환자 중 신체 검사나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슬관절의 활 액 증가 소견이 있는 60예의 슬관절을 대상으로 하 였다. 평균 나이는 61.
3세(56~75세)이고, 여자가 38명, 남자가 22명 이였다. 대상 중 BMI(체질량지 수, body mass index)가 25 이하인 비만하지 않은 사람이 24명, BMI가 25 이상인 비만한 사람이 36 명 이였다.
데이터처리
신체 검사의 양성 여부와 단순방사선 검사의 단계분류 결과를 초음파 검사에서 슬개상 주머니의 전후 직경 거리와의 상관 관계를 SAS 통계 프로그램 (Version 9.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의 Pearson 상관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more objective data was obtained with ultrasonography in comparison with physical examinations and simple radiography in the aspect of measuring amount of joint fluid.
stroke test는 39예에서 양성, 21예에서는 음성 을 보였고, 슬개골 부구 검사는 20예에서 양성, 40 예에서는 음성을 보였다. 단순 방사선 측면 검사는 0단계 3예, 1단계 47예, 2단계 7예, 3단계 3예로 관찰되었다.
00 mm)의 활액 양이 관찰되었다. stroke test와 슬개골 부구 검사, 단순 방사선 측면 검사 모두 초음파 검사와 양의 상관관계에 있었으나 (상관계수 r=.405, .259, .714), 신체 검사는 상관 성이 높지 않았고 단순 방사선 측면 검사는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성별에 따라 각각을 비교한 결과, 신체 검사에서는 성별에 따른 초음파 와의 상관성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으나, 단 순 방사선 측면 검사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큰 상관관계를 보였다(r=.
714), 신체 검사는 상관 성이 높지 않았고 단순 방사선 측면 검사는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성별에 따라 각각을 비교한 결과, 신체 검사에서는 성별에 따른 초음파 와의 상관성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으나, 단 순 방사선 측면 검사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큰 상관관계를 보였다(r=.789, Table 1).
비만도에 따라 비교한 결과는 비만한 사람보다 비만하지 않은 사람이 신체 검사와 단순 방사선 측면 검사 모두에 서 더 큰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 1). 신체 검사 는 초음파 검사와 상관성이 작으며 성별에 차이는 없었으나 비만하지 않은 사람에서는 비교적 큰 상관 성을 보였으며, 단순 방사선 측면 검사에서는 비교 적 큰 상관성을 보이며 여성과 비만하지 않은 사람 에서 보다 큰 상관성을 보였다.
비만도에 따라 비교한 결과는 비만한 사람보다 비만하지 않은 사람이 신체 검사와 단순 방사선 측면 검사 모두에 서 더 큰 상관관계를 보였다(Table 1). 신체 검사 는 초음파 검사와 상관성이 작으며 성별에 차이는 없었으나 비만하지 않은 사람에서는 비교적 큰 상관 성을 보였으며, 단순 방사선 측면 검사에서는 비교 적 큰 상관성을 보이며 여성과 비만하지 않은 사람 에서 보다 큰 상관성을 보였다.
자기 공명 영상 검사를 통한 활액의 양의 측정에 있어 실제 4 ml의 액체는 슬개상 주머니 부 위를 팽창시켜 정중 시상 단면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에서 슬개상 주머니가 4 mm로 측정이 되고, 20 ml 의 액체는 정중 시상 단면 자기 공명 영상 검사에서 12 mm의 슬개상 주머니가 측정이 되며 이는 단순 방사선 측면 사진에서 지방대 간의 거리가 각각 7 mm, 12 mm에 해당하며 자기 공명 영상 검사 결과 를 기준으로 단순 방사선 측면 검사의 삼출의 진단 은 7 mm를 삼출의 기준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 76%, 특이도 83%, 정확도 81%라고 보고 되기도 하였다8,9).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단순 방사선 측면 검사는 초음파 검사와 강한 상관 관계에 있었으며 단순 방사선 검사는 삼출 정도 여부 파악에 용이하 다. 그러나, 실제 지방대 간의 거리 측정이 용이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4단계 분류법을 사용하였으며, 지방대 간의 거리가 위에 기술된 것처럼 삼출액의 양에 단순 비례하지 않은 특징이 있으며, 정확한 정 보를 얻기 위해서는 중력의 효과를 줄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의 기립위 촬영이 아닌 바로 누운 자세에서 의 추가적인 촬영이 필요하다.
초 음파 검사는 검사자의 기술에 많이 좌우되는 검사로 본 연구에서는 1명의 검사자에 의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검사에 대한 치우침(observer bias)을 줄 이려 한 반면, 검사자간의 신뢰성(intraobserver reliability) 등을 조사하지 못하였으며 추후 슬관절 활액 양 측정에 관한 초음파 검사의 검사자간의 신뢰 성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결 론 슬관절 활액 양의 측정에서는 신체 검사는 쉽게 시행할 수 있으나 정확성이 떨어지며 비만한 사람의 경우에는 그 정확성이 더욱 낮아지고, 단순 방사선 측면 검사는 특히 여성이나 비만하지 않은 사람에서 정확성이 높아 유용하고, 초음파 검사는 신체 검사나 방사선 소견에 비해 객관적 수치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유용하였다.
후속연구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단순 방사선 측면 검사는 초음파 검사와 강한 상관 관계에 있었으며 단순 방사선 검사는 삼출 정도 여부 파악에 용이하 다. 그러나, 실제 지방대 간의 거리 측정이 용이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4단계 분류법을 사용하였으며, 지방대 간의 거리가 위에 기술된 것처럼 삼출액의 양에 단순 비례하지 않은 특징이 있으며, 정확한 정 보를 얻기 위해서는 중력의 효과를 줄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의 기립위 촬영이 아닌 바로 누운 자세에서 의 추가적인 촬영이 필요하다. 초음파 검사의 경우 슬관절 활액이 병적으로 많이 있다고 하려면 슬개상 주머니의 활액의 전후직경이 2~4 mm 이상이어야 한다10,11).
이러한 삼출의 정도의 수치화는 추시 시에 수치의 변화를 통해 질환의 진 행 정도나 약물 및 운동 치료 등에 대한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으로도 유용하다. 활액의 양에 대한 신체 검사와 단순 방사선 검사, 초음파 검사의 비교를 위해서는, 실제 관절 내의 활액 양의 기준을 보다 객관화된 자기 공명 영상 검사나 관절 내 직접 주입 검사 등으로 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기준을 도출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결과 를 기준으로 하였다는 점이 제한점으로 여겨진다. 초 음파 검사는 검사자의 기술에 많이 좌우되는 검사로 본 연구에서는 1명의 검사자에 의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검사에 대한 치우침(observer bias)을 줄 이려 한 반면, 검사자간의 신뢰성(intraobserver reliability) 등을 조사하지 못하였으며 추후 슬관절 활액 양 측정에 관한 초음파 검사의 검사자간의 신뢰 성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활액의 양에 대한 신체 검사와 단순 방사선 검사, 초음파 검사의 비교를 위해서는, 실제 관절 내의 활액 양의 기준을 보다 객관화된 자기 공명 영상 검사나 관절 내 직접 주입 검사 등으로 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기준을 도출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 결과 를 기준으로 하였다는 점이 제한점으로 여겨진다. 초 음파 검사는 검사자의 기술에 많이 좌우되는 검사로 본 연구에서는 1명의 검사자에 의해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검사에 대한 치우침(observer bias)을 줄 이려 한 반면, 검사자간의 신뢰성(intraobserver reliability) 등을 조사하지 못하였으며 추후 슬관절 활액 양 측정에 관한 초음파 검사의 검사자간의 신뢰 성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결 론 슬관절 활액 양의 측정에서는 신체 검사는 쉽게 시행할 수 있으나 정확성이 떨어지며 비만한 사람의 경우에는 그 정확성이 더욱 낮아지고, 단순 방사선 측면 검사는 특히 여성이나 비만하지 않은 사람에서 정확성이 높아 유용하고, 초음파 검사는 신체 검사나 방사선 소견에 비해 객관적 수치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유용하였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