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on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health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8 no.5 = no.107, 2010년, pp.225 - 234  

김연희 (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유미숙 (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psychological health among of adolescents. This data used in this study used data was derived from the wave 2-4(2004-2006) of Korean Youth Panel Study (KYPS). The resul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살펴본 후 사회적 관계 즉, 부모와의 관계와 또래와의 관계가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살펴보았다.
  • 조절효과의 분석은 어떤 효과가 ‘언제’ 혹은 ‘누구’에게 발생하는가를 밝히고자하는 목적이 있을 경우 적합한 방법이므로 종속변인에 대한 독렵변인의 효과를 완충시키는 변인으로 독립변인과 종속변수 간 관계가 조절변인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게 된다(MacKinnon & Leucken, 2008). 본 연구는 학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변인을 상정하여 조절변인에 따라 그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여 청소년의 정신건강 기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와 가족 및 또래지지의 일종인 사회적 관계(부모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를 조절변인으로 상정하였다.
  • 사회적 관계는 청소년의 생활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와 가정에서의 관계 즉, 부모·또래와의 관계를 조절변인으로 하여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완충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 학년의 변화에 따라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즉 사회적 지지를 받고 있는 청소년들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달하고 그렇지 못한 청소년들은 부정적인 방향으로 발달한다고 가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사회적 지지의 대표적인 유형 중 정서적 지지에 초점을 맞춘 사회적 관계를 부모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사회적 관계 강화를 통해 건강한 청소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이 중 사회적 지지의 대표적인 유형 중 정서적 지지에 초점을 맞춘 사회적 관계를 부모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사회적 관계 강화를 통해 건강한 청소년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교육적 상황에 맞춰 청소년기의 중요한 스트레스원인 학업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부모의 높은 교육열과 대학입시에 대한 부담으로 한국 청소년들의 학업관련 스트레스는 학년이 증가할수록 더해지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청소년연구원이 우리나라 청소년에게 많이 나타나는 정신증적 문제로 무엇을 들었는가? 한국청소년연구원(1992)이 우리나라 청소년에게 많이 나타나는 정신증적 문제로 강박장애를 들면서 이는 학업성취에 대한 부담감과 실수에 대한 불안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밝히고 있다. 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수준이(정의숙, 김갑숙, 2008) 입시위주의 교육과 교육현장에서의 학업경쟁의 영향으로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해치는 주요 원인으로 등장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청소년기의 학업스트레스는 극단적일 경우 어떤 심각한 결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가? 국가청소년위원회(2007)에 따르면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의 경험이 1998년 57%에서 2006년 67%로 10%의 증가율을 보여 청소년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청소년기의 학업스트레스는 극단적일 경우 우울증, 자살 등과 같은 심각한 결과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선행연구에서 학업스트레스와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고 있다.
청소년들이 가정, 학교생활 및 진로 등과 같은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어 온 이유는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아동에서 성인으로 성장하는 과도기적 단계로 아동기나 성인기보다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변화가 큰 시기이다. 이 시기의 청소년은 고유한 인간으로서 자아정체감을 확립해 나가는 동시에 혼란과 방황을 경험하기도 한다(이인정, 최해경, 2000). 따라서 이러한 청소년들은 가정․학교생활 및 진로 등과 같은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어 왔다(권오숙, 문성호, 2007; 최명구, 신은경, 2003; 한건환 외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강승호.정은주(1999).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학업성적 및 정신건강간의 관계연구. 교육심리연구, 13(4), 20-32. 

  2. 강은실.송양숙.조향숙.강성년(2004). 청소년의 자살시도, 우울, 영적 안녕과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13(2), 190-199. 

  3. 고재홍.윤경란(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자아탄력성의 완충효과. 한국청소년연구, 18(2), 185-212. 

  4. 고정자(2005). 부모의 감독정도와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3(2), 1-17. 

  5. 국가청소년위원회(2007). 청소년백서. 국가청소년위원회. 

  6. 권오숙.문성호(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 및 자기통제력과 충동구매 경향성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4(1), 31-46. 

  7. 김기환.전명희(2000). 청소년의 자살의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9, 127-152. 

  8. 김성경(2008). 고등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15(1), 381-406. 

  9. 김인숙.이경님(2004). 중학생의 부모에 대한 애착, 친구지지와 행동문제. 한국가정과학회지, 7(2), 97-113. 

  10. 김현순(2005). 청소년의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정서.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뉴시스(2009). 고교생 4명 중 1명 "시험 스트레스로 자살 충동". 2009. 7. 30. 

  12. 모상현.김미영(2009).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재적 변인탐색과 보호요인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14(2), 1-19. 

  13. 문경숙(2006).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친구에 대한 애착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27(5), 143-157. 

  14. 문경숙(2008).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자기통제 및 감정조절의 역할. 아동학회지, 29(5), 285-299. 

  15. 문영주.좌현숙(2008).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있어 정서적 조절 능력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38, 353-379. 

  16. 박정녀.최해림(2005).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자동적 사고 및 공격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249-264. 

  17. 보건복지부(2006). 국민건강영양조사. 보건복지부. 

  18. 신민섭.박광배.오경자.김중술(1990). 고등학생의 자살성향에 관한 연구: 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9(1), 1-19. 

  19. 신현균(2002). 청소년의 학습 부담감,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 불능증 및 지각된 부모양육행동과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1), 171-187. 

  20. 안혜원.이재연(2009).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에 대한 부모애착 및 부모감독의 중재효과. 아동학회지, 30(1), 77-88. 

  21. 어유경(2005). 취약한 가족 환경이 청소년의 우울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개인적 특성의 보호기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염행철.조성연(200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생태학적 변인과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9(2), 1-21. 

  23. 오미향.천성문(1994).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 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인간이해, 5, 63-96. 

  24. 원호택, 이민규(1987). 고등학교 재학생들의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6, 22-32. 

  25. 윤혜미.남영옥(2007). 청소년의 위험행동 관련요인: 심리정서적 특성의 매개경로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3, 127-153. 

  26. 이경님(2004). 초기청소년의 애착이 자아존중감과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연구 논문집, 12, 43-54. 

  27. 이경숙.김정호(2000).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이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5(1), 43-59. 

  28. 이경진.조성호(2004). 청소년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667-685. 

  29. 이경희(1995).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이미리(1994). 고3 청소년의 시험스트레스에 대한 대처전략과 우울증 수준과의 관계. 대한가정관리학회지, 105, 89-98. 

  31. 이은희.최태산.서미정(2000). 남녀 청소년들의 우울에 미치는 학교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의 내재적 지원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69-84. 

  32. 이인정.최해경(200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나남. 

  33. 임은미.정성석(2009).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변화 및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의 장기적 영향. 청소년학연구, 16(3), 99-121. 

  34. 장휘숙(1997). 청소년기의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자기효능감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4(1), 88-106. 

  35. 전영주(2001). 우울증을 매개로 한 청소년의 자살구상에 관한 가족 및 학교환경의 경로분석 모델. 대한가정학회지, 39(1), 1-17. 

  36. 정의숙.김갑숙(2008).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빗속의 사람그림 반응특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71-81. 

  37. 조강래(2007). 고3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원에 따른 학업스트레스 증상과 대처방식: 일반계 고등학생 남녀 비교를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조아미(2005).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학업성취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교육학연구, 43(3), 137-155. 

  39. 최명구.신은영(2003). 청소년의 자아구조와 대인관계 문제와의 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17(4), 1-16. 

  40. 최옥순(2004). 중학생의 개인적 특성, 가정 및 학교 환경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1. 한건환.장휘숙.안권순(2004).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경험, 대처양식 및 문제행동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11(3), 385-402. 

  42. 한태영(2005). 청소년의 학교 장면 스트레스: 성격 및 정서지능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2(2), 177-197. 

  43. 홍영수.전선영(2005).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9(4), 125-149. 

  44. 홍영수(2005).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및 그에 대한 문제해결능력의 완충효과. 한국아동복지학, 20, 7-33. 

  45. Agnew, R., Brezina, T., Wright, J., Cullen, F.(2002). Strain, Personality Traits, And Delinquency: Extending General Strain Theory, Criminology. 40(1), 43-72. 

  46. Baron, R. M., and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47. Bryant, B. K. (1982).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3,413-425. 

  48. Buhrmester, D. (1990). Intimacy of friendship,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adjustment during preadolescence and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1, 1101-1111. 

  49.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50. Geraed, M. & Buehler, C.(2004). Cumulative Environmental Risk and Youth Maladjustment: The Role of Youth Attributes, Child Development, 75(6), 1832-1849. 

  51. Gore, S. & Eckenrode, J.(1994). Context and Process in Reserch on Risk and Resilience. In R. J. Haggerty, L. R. Sherrod, N. Garmezy & M. Rutter, (eds.). Stress, Risk and Resili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Gross, M. W., and Siperstein, G. N. (1997).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in the adjustment of children with learning problems. Exceptional Children, 63(2), 183-203. 

  53. Grotevant, H., and Cooper, C. R. (1998). Individuality and connectedness in adolescent development. In E. E. A. Skoe & A. L. von der Lippe. Pesonality development in adolescence: A cross national and life span perspective, NY: Routledge. 

  54. Hartup, W. (1983). Peer relations. In E. M. Heatherington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4. NY: John Wiley. 

  55. Lee, M., and Larson, R. (2000). The Korean examination hell: Long hours of studying, distr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2), 249-271. 

  56. MacKinnon, D. P. & Leucken, L. J.(2008). How and for Whom? Mediation and Moderation in Health Psychology. Health psychology, 27(2), 99-100. 

  57. O'Donnel, J., Hawkins, J. D., and Abbott, R. D. (1995). Predicting serious delinquency and substance use among aggressive boy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3, 529-537. 

  58. Raja, S. N., McGee, R., and Stanton, W. R. (1992). Perceived attachments to parent and peer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1(4), 56-68. 

  59. Wagner, B. M., Silverman, M. A. C., and Martin, C. E. (2003). Family factors in youth suicidal behaviors.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6(9), 1171-1191. 

  60. Woodward, L. J., and Fergusson, D. M. (1999). Childhood peer relationship problem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in late adolescenc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7(1), 87-108.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