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반응양식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 The Moderating Role of Response Style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4 no.3, 2013년, pp.113 - 128  

김빛나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박주희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response styles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responses sty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419 high school students (185 boys and 234 girls) in two high schools.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정서적 특징들로 인하여 성인보다 반응양식을 더 분명하게 보인다(Shwartz & Koenig, 1996)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청소년의 반응양식은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인임을 가정해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느끼는 학업 스트레스와 반응양식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반응양식이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증상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높은 수준의 학업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고등학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업 스트레스와 반응양식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반응양식이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변인들 간의 관계가 청소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입시위주의 경쟁적 학습 환경에서 우울증상을 경험하는 청소년들이 우울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적응적인 반응양식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며, 우울증상의 예방이나 치료를 돕는 교육과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와 반응양식(반추, 주의전환)이 우울증 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반응양식이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높은 수준의 학업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고등학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업 스트레스와 반응양식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반응양식이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변인들 간의 관계가 청소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그러나 본 연구결과에서 우울증상에 대한 학업 스트레스의 영향력이 크지 않았음을 고려해 본다면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이 존재함을 가정할 수 있다. 이는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가 크지 않다는 선행 연구결과들 (Cohen & Edwards, 1989; Kwon, 2003)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 즉, 스트레스 후에 나타나는 일시적인 우울감정이나 우울한 기분이 개인의 반응 양식과 상호작용하여 일상적인 생활에서 개인의 심리적 기능을 저하시키고 향후 임상적 우울장애로까지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심각한 우울증상으로 발전할 수 있다(Park & Min, 2012). 따라서 반응양식은 학업스트레스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떠한 시기이며 그 특징은? 청소년기는 학령기와 성인기를 연결하는 과도기로서 그 어느 때보다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으로 큰 폭의 변화를 경험한다(Sullivan, 1953). 급변하는 과도기에 놓인 청소년은 슬픔, 분노, 흥분, 고독감 등의 감정을 단기간 내에 강렬하게 경험하며 심한 내적 불안정 상태에 놓이게 되고 이로 인해 청소년기의 우울증상은 급격하게 증가한다(Hankin et al.
청소년기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크게 어떤 요소에 의해 야기되는가? 청소년기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크게 학업, 또래 관계, 가족관계 등에 의해 야기된다(Frydenberg, 2008). 그 가운데서도 학업 스트레스는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로서 우울증상과 관련된 주요 변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Scharami, Perski, Grossi, & Simonsson-Sarnecki, 2011; Wilks, 2008).
청소년기의 일상적 스트레스 중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는? 청소년기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크게 학업, 또래 관계, 가족관계 등에 의해 야기된다(Frydenberg, 2008). 그 가운데서도 학업 스트레스는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경험하고 있는 스트레스로서 우울증상과 관련된 주요 변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Scharami, Perski, Grossi, & Simonsson-Sarnecki, 2011; Wilks, 2008). 특히 우리나라와 미국, 중국, 일본 등의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와 우울증상에 관한 비교 연구들(염행철 조성연, 2007; 홍광식, 1994; 황여정, 2008; Ang & Huan, 2006; Lee & Larson, 2000)을 살펴보면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은 미국과 중국, 일본 등 그 어떤 나라보다 학업에 투자하는 시간이 많고, 학업 스트레스 수준이 가장 높으며 그로 인한 우울증상도 높게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Abela, J., Audin, C., & Auerbach, R. (2007). Responses to depression in children : Reconceptualizing the relation among response style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5(6), 913-927. 

  2. Abela, J., Brozina, K., & Haigh, E. (2002). An examination of the response styles theory of depression in third-and seventh-grade children : A short-term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0(5), 515-527. 

  3. Abela, J., & Hankin, B. L. (2008). Handbook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4. Abela, J., & Hankin, B. L. (2011). Rumination as a vulnerability factor to depression during the transition from early to middle adolescence : A multi-wave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20(2), 259-271. 

  5. Abela, J., Hankin, B. L., Sheshko, D. M., Fishman, M. B., & Stolow, D. (2012). Multi-wave prospective examination of the stress-reactivity extension of response styles theory of depression in high-risk children and early adolescent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40, 277-287. 

  6. Abela, J., Parkinson, C., Stolow, D., & Starrs, C. (2009). A test of the of the hopelessness and response styles theories of depression in middle adolescence.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8, 354-364. 

  7. Ang, R. P., & Huan, V. S. (2006).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 Testing for depression as a mediator using multiple regression. Child Psychiatry Human Development, 37, 133-143. 

  8. Auerbach, R. P., Eberhart, N. K., & Abela, J. (2010).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in Canadian and Chinese adolescent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8, 57-68. 

  9. Choi, J. A. (2009) Relational victimization in class and adolescent depression : Examining the model integrating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factor and coping strategies and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resour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0. Choi, W. K. (2004). A Study on the socio-structural cause of youth suicide. Social Welfare Policy, 18(4), 5-30. 

  11. Cohen, S., & Edwards, J. R. (1989). Advances in the investigation of psychological stress. New York : John Wiley & Sons. 

  12. Copeland, E. P., & Hess, R. S. (1995). Differences in young adolescents' coping strategies based on gender and ethnicity.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5, 203-219. 

  13. DeLongis, A., Folkman, S., & Lazarus, R. S. (1988). The impact of daily stress on health and mood : Psychological and social resources as mediato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3), 486-495. 

  14. Driscoll, K. A., Lopez, C. M., & Kistner, J. A. (2009). A diathesis-stress test of response styles in childre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8(8), 1050-1070. 

  15. Fergusson, D. M., & Woodward, L. J. (2002). Mental heath, educational and social role outcomes of adolescents with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9, 225-231. 

  16. Franko, D. L., Striegel-moore, R. H., Brown, K. M., Barton, B. A., McMahon, R. P., Chreiber, G. B., et al. (2004).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life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black and white adolescent girl. Psychological Medicine, 34, 1319-1330. 

  17. Frydenberg, E. (2008). Adolescent coping : Advances i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 Routledge. 

  18. Grant, K. E., & Compas, B. E. (2003). Stressors and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 Moving from markers to mechanisms of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29(3), 447-466. 

  19. Government Youth Comission (2007). Youth report. Seoul : Government Youth Comission. 

  20. Hankin, B. L., Abramson, L. Y., Moffitt, T. E., McGee, R., Silva, P. A., & Angell, K. E. (1998). Development of depression from pre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 Emerging gender differences in a 10-year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7, 128-140. 

  21. Hankin, B. L., Mermelstein, R., & Roesch, L. (2007). Sex differences in adolescent depression : Stress exposure and reactivity models. Child Development, 78, 279-295. 

  22. Hazel, N. A., Hammen, C., Brennan, P. A., & Najman, J. (2008). Early childhood adversity and adolescent depression : The mediating role of continued stress. Psychological Medicine, 38, 581-589. 

  23. Hong, Y. S. (2005).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adolescent suicidal behaviors and the buffering effect of problem-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0, 7-33. 

  24. Hwang, Y. J. (2008). The determinants of perceived academic stress as experienced by high school students. Studies of Korea Youth, 19(3), 85-114. 

  25. Im, E. M. (2009). The changes of youths' stress and depression and the long-term effects of stress on the depression. Adolescent Studies, 16(3), 99-121. 

  26. Im, J., & Kim, E. J. (2012). The influence of adolescence's actual-ideal self discrepancies on depression : Mediating effects of the shame and ruminative response style. Adolescent Studies, 19(1), 279-306. 

  27. Ingram, R. E., Miranda, J., & Segal, Z. V. (1998). Cognitive vulnerability to depression.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28. Jeon, K. G., Choi, S. J., & Yang, B. C. (2001).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6(1), 59-77. 

  29. Jeon, S. Y. (2009).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their sense of hopelessness : The effects of moderator on children's emotional processing style as manifested in a depressed mood.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7(6), 55-64. 

  30. Kagan, A. (1975). Epidemiology, disease and emotion : Their parameters and measurement. New York : Raven Press. 

  31. Kim, M. O. (2010). Influence of learning stress,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attitude on school performance among middle school boy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2. Kim, S. J. (2002).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tressors from school on problem behavior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stress coping strateg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3. Kim, S. L. (2011). A reconceptualization of the response styles theory in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34. Korea Youth Counselling Institute (2012). Youth report. Seoul : Korea Youth Counselling Institute. 

  35. Kwon, H. I. (2012). An empirical review of depression Pre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Association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12(1), 21-41. 

  36. Kwon, S. W. (2011). Cognitive distortions as a moder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7. Lee, E. H., Choi, T. S., & Seo, M. J. (2000). Effects of stress related to school, self-esteem, parent-children communication and parents' internal support of adolescent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12(2), 69-84. 

  38. Lee, E. S. (2007). Construction of a structural model about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lienation,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es Association, 37(4), 576-585. 

  39. Lee, G. E. (2011). The effect of self-discrepancies upon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The moderating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and positive thinking patter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0. Lee, K. S., & Kim, J. H. (2000). The effects of study stress coping training program on the reduction of study stres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5(1), 43-59. 

  41. Lee, K. Y., Choi, S. C., & Kong, J. S. (2011). The effects of parents-children dysfunctional communication and academic stress on adolescents' suicide ide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gender differences. Adolescent Studies, 18(5), 83-107. 

  42. Lee, M., & Larson, R. (2000). The Korean examination hell : Long hours of studying, distr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2), 249-271. 

  43. Lee, M. S. (1995). Adolescents' academic stress coping strategy. Seoul :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44. Lee, Y. J. (2006). Validation study of response to stress questionnaire(RSQ).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Bucheon, Korea. 

  45. Moon, Y. J., & Jwa, H. S. (2008).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psychological health in adolescents :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regul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38, 353-379. 

  46. Na, Y. A. (2002). Differential effect or ruminativedistractive response styles on depressive m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47.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10). 2010 Korean adolescents health behavior survey. Seoul :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48. Nolen-Hoeksema, S. (1991). Response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4), 569-582. 

  49. Nolen-Hoeksema, S., & Morrow, J. (1991). A prospective study of the depression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fter a natural disaster : The 1989 Loma Prieta earthquak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115-121. 

  50. Oh, M. H., & Cheon, S. M. (1994). Analysis of academic stressors and symptoms of juveniles and effects of mediation training on academic stress reduction.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15, 63-96. 

  51. Park, W. M., & Min, K. J. (2012). Depression. Seoul : Sigmapress. 

  52. Piko, B. (2001). Gender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adolescents' ways of coping. The Psychological Record, 51, 223-235. 

  53. Roberts, J. E., Gilboa, E., & Gotilb, L. H. (1998). Ruminative response style and vulnerability to episodes of dysphoria : Gender, neuroticism, and episode durat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2(4), 401-423. 

  54. Roelofs, J., Rood, L., Meesters, C., Dorsthost, V., Bogels, S., Alloy L. B., et al. (2009). The influence of rumination and distraction on depressed and anxious mood : A prospective examination of the response styles theor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Europea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18(10), 635-642. 

  55. Sarin, S., Abela. R., & Auerbach, R. P. (2005). The response styles theory of depression : A test of specificity and causal mediation. Cognitive and Emotion, 19(5), 751-761. 

  56. Schraml, K., Perski, A., Grossi, G., & Simonsson-Sarnecki, M. (2011). Stress symptoms among adolescents : The role of subjective psychosocial conditions, life style, and self-esteem. Adolescence, 34, 987-996. 

  57. Schwartz, A. J., & Koenig, L. J. (1996). Response styles and negative affect among adolescen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0(1), 13-36. 

  58. Shih, J. H., Eberhart, N., Hammen, C., & Brennan, P. A. (2006). Differential exposure and reactivity to interpersonal stress predict sex differences in adolescent depress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5, 103-115. 

  59. Song, S. (2000). Effects of SES, psychological environments, stress coping method on high school student's stress in Choen-buk.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18(3), 171-187. 

  60. Strauss, J., Munday, T., McNall, K., & Wong, M. (1997). Response style theory revisited : Gender differences and stereotypes in rumination and distraction. Sex Roles, 36(11), 771-792. 

  61. Sullivan, H. 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ew York : The Norton Library. 

  62. Wilks, S. E. (2008). Resilience amid academic stress : The moderating impact of social support among social work students. Advances in Social Work, 9(2), 1-20. 

  63. Yangcheon-gu(2011). Yangcheon statistical year book. Seoul : Yangcheon-gu Office. 

  64. Ystgaard, M. (1997).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late adolescence. Social Psychiatry and Epidemiology, 32(5), 277-2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