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색깔이 다른 대서와 보라밸리 감자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from Atlantic and Bora Valley Potato Cultivar with Different Color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4, 2010년, pp.542 - 547  

이재순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미경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은영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강명화 (호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색깔이 다른 대서와 보라밸리 감자로부터 전분을 추출하여 수율, amylose, amylopectin 함량비, 팽윤력, 수분결합능 및 X-ray 전분 구조와 같은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두 감자간의 amylose와 amylopectin의 함량 비에는 유의적인 차이(p<0.05)가 나타났고 두 감자 모두에서 amylose 함량이 높아 찰성이라기보다는 매성으로 나타났다. X-ray와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입자를 관찰한 결과 대서와 보라밸리의 모양의 차이와 전분 구조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대서와 보라밸리 전분의 입도분석 결과, $50\;{\mu}m$ 안에 포함되는 전분입자 크기가 대서는 $45.44\pm2.79%$이며, 보라밸리는 $42.37\pm1.03%$의 분포였다. 대서와 보라밸리 전분의 수분결합능력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반면, 팽윤력은 $65^{\circ}C$에서 시작하여 $80^{\circ}C$에서 높은 증가를 보였으며, $90^{\circ}C$에서 보라밸리 전분의 팽윤력보다 대서의 팽윤력이 약 0.3% 정도 높았다. 대서와 보라밸리 전분의 호화도를 측정한 결과 호화 개시온도, 호화절정온도, 호화종결온도에서 대서보다 보라밸리가 높은 온도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from potato cultivars with different colors were investigated. White Atlantic potato had 10% higher starch yield than violet Bora Valley potato. It turned out that the shape and structure of Atlantic and Bora Valley potato starch were the same by mechanical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짙은 자색을 띠는 신품종인 보라밸리와 대서 감자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을 통하여 가공 및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 미세구조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또 하나의 방법으로 DSC 분석을 통한 전분-물-열의 작용을 검증하는 것이다. 즉, 전분분자의 미세구조가 붕괴되기 시작하는 시점을 호화개시 온도로써 나타내며, 전분분자의 미세구조를 붕괴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호화엔탈피로써 표현할 수 있다 (32,3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분이란? 식물에서 탄수화물의 저장형태인 전분(澱粉, starch)은 자연에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물질 중 하나이다. 전분을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는 부위는 뿌리이며 가장 보편적인 공급원은 쌀, 밀, 옥수수 등의 곡류와 칡, 타피오카, 감자, 고구마 등의 근경, 괴경류와 여러 가지 콩 종류들이다(1,2).
1990년에 국내에서 개발된 감자 중 색깔을 띠는 품종은? 최근 기능성이 함유된 색깔이 진한 과일 및 채소가 건강에 좋다고 알려지면서 감자도 색깔을 띠는 품종이 개발되었다 (9,10). 1999년에 국내에서 육종된 ‘자심’ 품종을 선두로 비교적 진한정도가 강한 새로 육성된 보라밸리 품종이 개발되었다. Kwon 등(11)의 보고에 의하면 감자 과육의 보라색 정도가 진할수록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고 ‘자심’ 품종보다는‘보라밸리’ 품종의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감자의 전분보다 옥수수의 전분의 사용이 더 많은 이유는? 3% 이하이다(3). 감자는 주로 포테이토칩, 프렌치프라이 등의 기호식품의 주원료로 사용되고 전분원으로는 저렴하고 구하기 쉬운 옥수수전분의 사용이 더 많다(4). 감자전분의 입자크기는 보통 15~100 μm 정도이며, 입자크기에 따라 성질도 다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Madsen MH, Christensen DH. 1996. Changes in viscosity properties of potato starch during growth. Starch 48:245-249. 

  2. Singh N, Singh J, Kaur L, Singh SN, Singh GB. 2003. Morphological, therm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starches from different botanical sources. Food Chem 81: 219-231. 

  3. 구천서. 1985. 전분당 공업에 관한 단국대학교 부설 식량개발연구소, 서울. p 93. 

  4. Rutenberg MU, Solarek D. 1984. Starch derivatives production and uses. In Starch and Techn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USA. p 324. 

  5. Christensen DH, Madsen MH. 1996. Changes in potato starch quality during growth. Potato Research 39: 43-50. 

  6. Mitch EL. 1984. Potato starch: production and uses. In Starch: Chemistry and technology. Whistler RL, BeMiller JN, Paschall EF, ed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p 479-490. 

  7. Baek MH, Cha DS, Park HJ, Lim ST.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sweet potato starch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755-762. 

  8. Wiesenborn DP, Orr PH, Casper HH, Tacke BK. 1994. Potato starch paste behaviour as related to some physical/chemical properties. J Food Sci 59: 644-648. 

  9. Lin Q, Weber E, Currie V, Yada R. 200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tarches during potato growth. Carbohydr Polym 51: 213-221. 

  10. Lisinska G, Leszcynski W. 1989. Potato science and technology.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UK. p 16-43. 

  11. Kwon OY, Kim HJ, Oh SH, Lee JH, Kim HC, Yoon WK, Kim HM, Park CS, Kim MR. 2006. Nutrient composition of domestic potato cultiva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740-746. 

  12. Rhim JW, Kim SJ. 1999. Characteristics and stability of anthocyanidin pigment extracted from purple-fleshed potato.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48-355. 

  13. Jeon TW, Cho YS, Lee SH, Cho SM, Cho HM, Chang KS, Park HJ. 2005.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ie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igments extracts extracted from Korean purple-fleshed potato.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47-254. 

  14. Rodriguez-Saona LE, Giusti MM, Wrolastad RE. 1998. Anthocyanidin pigment composition of red-fleshed potatoes. Food Technol 63: 458-465. 

  15. Choi HD, Lee HC, Kim SS, Kim YS, Lim HT, Ryu GH. 2008. Nutrient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ew cosmetic potato cultivar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82-388. 

  16. Lee JS, Park SJ, Kim JS, Choi MK, Lim HT, Kang MH.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tlantic and Bora valley potatoes. Korean J Food Nutr 22: 92-96. 

  17. Williams PC, Kuzine FD, Hylnka I. 1970. A rapid colorimetric procedure for estimating the amylose content of starches and flours. Cereal Chem 47: 411-419. 

  18. Schoch TJ. 1964. Swelling power and solubility of granules starches. In Methods in Carbohydrate Chemistry. Academic Press, New York, USA. p 106-108. 

  19. Leach HW, McCowen LD, Schoch TJ. 1959. Structure of the starch granule. I. swelling and solubility patterns of various starches. Cereal Chem 36: 534-544. 

  20. Medcalf DG, Gilles KA. 1965. Wheat starches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Cereal Chem 42: 558-568. 

  21. Owusu-Ansah J, van de Voort FR, Stanley DW. 1982. Determination of starch gelatinization by X-ray diffractometry. Cereal Chem 59: 167-171. 

  22. SAS. 2000. User's Guide. SAS institute, Cary, NC, USA. 

  23. Kim HS, Ahn SY. 1994.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legume, cereal and potato starches. Korean J Soc Food Sci 10:80-85. 

  24. Lee HY, Kum JS. 1999. The effect of the varieties and particle size on the properties of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542-1548. 

  25. Rasenack N, Muller BW. 2004. Micron-size drug particles;common and novel micronization technique. Pharm Dev Technol 9: 1-13. 

  26. Lee JE, Jun JY, Kang WS, Lim JD, Kim DE, Lee KY, Ko SH. 2008. Effect of particle size on the solubility and dispersibility of endosperm, bran, and husk powders of rice. Food Sci Biotechnol 17: 833-838. 

  27. Sandhya RMR, Bhattacharya KR. 1995. Microscopy of rice starch granules during cooking. Starch 47: 334-337. 

  28. Sandhya RMR, Bhattacharya KR. 1989. Rheology of rice flour pastes: effects of variety,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and time of cooking. J Text Studies 20: 127-137. 

  29. Tester RF, Morrison WR. 1990. Swelling and gelatinization of cereal starches. I. Effects of amylopectin, amylose, and lipids. Cereal Chem 67: 551-557. 

  30. Kim HS, Kang OJ, Yoon KS. 198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xy rice starches prepared from three different cultivars. Korean J Agric Chem Soc 2: 211-216. 

  31. Beleina A, Varriano-Marston E, Hoseney RC. 1980. Characteristics of starch from pearl millets. Cereal Chem 57: 300-303. 

  32. Hizukuri S. 1985.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the chain-length of amylopectin and the crystalline-structure of starch granules. Carbohydr Res 141: 295-306. 

  33. Hongsheng L, Long Y, Fengwei X, Ling C. 2006. Gelatinization of cornstarch with different amylose/amylopectin content. Carbohydr Polym 65: 357-363. 

  34. Donovan JW. 1979. Phase transitions of the starch water system. Biopolymers 18: 263-267. 

  35. Choi CR, Rhim JW, Park YK.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urple-fleshed sweet potato star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5. 

  36. Zobel HF. 1964. X-ray analysis of starch granules. In Methods in carbohydrate chemistry. Academic Press, New York, USA. Vol 4, p 109-113. 

  37. Imberty A, Pere S. 1988. A revisit to the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B-type starch. Biopolymers 27: 1205-12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