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엽식물 잎의 첨가가 김치의 발효 및 관능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clerophyllous Plant Leaves Addition on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4, 2010년, pp.580 - 586  

박동일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  최아름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  우혜진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  이성갑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  채희정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추출물 및 세절물을 김치에 첨가하여, 김치의 발효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먼저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 및 유산균 증식 저해 활성을 조사하였다. 감잎 추출물이 뽕잎 추출물과 댓잎 추출물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았고, 유산균의 생육을 더 크게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잎, 뽕잎 및 댓잎의 세절물을 김치에 첨가하여 담근 14일후의 관능평가 결과, 감잎 세절물 0.3%를 첨가한 김치에서 색, 풍미,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 감잎 세절물과 감잎 추출물 0.3%를 첨가하여 제조한 김치의 담근 당일과 담근 14일 후의 pH와 산도의 변화량$({\Delta}pH,\;{\Delta}TA)$을 계산한 결과, 감잎 세절물에서 유의적으로 적은 변화량을 보였다(p<0.05). 또한, 담근 14일 후의 감잎 세절물 0.3% 첨가한 김치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전자공여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김치 제조 시 감잎 세절물 0.3%의 첨가가 김치의 숙성 중 pH, 총산도의 변화, DPPH 전자공여능, 총 폴리페놀 함량 및 관능평가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persimmon, mulberry and bamboo leaves addition on the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were investigated. Total polyphenol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lactic acid bacteria growth inhibition of EtOH extract from persimmon leaves were significantly 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감잎, 뽕잎, 댓잎과 같은 경엽식물(莖葉植物) 잎의 생리활성을 검토하였고 이들을 첨가한 김치의 관능적 특성 및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기능성 첨가물 중 감잎(Diospyroskaki thunberg, persimmon leaves)은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생리활성 성분인 catechin, amino acid, gallic acid, caffeine 등을 함유하여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등의 성인병과 박테리아 독소의 해독, 면역기능의 부활, 중금속 제거, 활성산소 소거능, 항균작용 및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9-2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에 첨가되는 기능성 첨가물 중 감잎, 뽕잎, 댓잎의 효과는? 본 연구에서는 감잎, 뽕잎, 댓잎과 같은 경엽식물(莖葉植物) 잎의 생리활성을 검토하였고 이들을 첨가한 김치의 관능적 특성 및 발효특성을 조사하였다. 기능성 첨가물 중 감잎 (Diospyroskaki thunberg, persimmon leaves)은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고 생리활성 성분인 catechin, amino acid, gallic acid, caffeine 등을 함유하여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등의 성인병과 박테리아 독소의 해독, 면역기능의 부활, 중금속 제거, 활성산소 소거능, 항균작용 및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9-21). 댓잎(P oaceae bambusoidae, bamboo leaves)은 lupenone, lupeol, glutinol, glutinone, chlorophyll 등의 약리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그중 chlorophyll의 함량이 가장 높다. 댓잎은 지질대사 개선, 항균작용, 항암작용, 항산화효과, 동맥경화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2-24). 또한 뽕잎(Morus alba L., mulberry leaves)은 뽕나무의 잎으로 칼슘(Ca), 칼륨(K)과 철(Fe)의 함량이 높으며, 뽕잎의 기능성 성분인 rutin, γ-aminobutyric acid(GABA), moracenin, maracin, morusin은 각각 모세 혈관 강화, 스트레스 억제, 혈압 강하, 항균작용, 항종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밖에 항알레르기, 탈모억제, 동맥경화예방, 비만억제 등의 효과가 확인되었다(25).
김치란? 김치는 밥과 더불어 한국인의 식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음식으로 배추, 무 등의 여러 가지 채소류를 소금에 절인 다음 여러 가지 부재료를 혼합하여 발효시켜 만든 우리나라의 전통발효식품이다(1,2). 김치는 사용되는 부재료나 담그는 방법에 따라 약 100여 종이 있으며(3), 기본적으로 첨가되는 부재료로서 파, 생강, 마늘, 젓갈을 사용하고(4), 그 밖에 미나리, 갓, 굴, 쪽파, 실고추, 통깨, 대추, 밤, 청각, 잣, 새우, 오징어, 현미, 감초 등을 이용한다(5).
김치에 사용되는 부재료는? 김치는 밥과 더불어 한국인의 식생활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음식으로 배추, 무 등의 여러 가지 채소류를 소금에 절인 다음 여러 가지 부재료를 혼합하여 발효시켜 만든 우리나라의 전통발효식품이다(1,2). 김치는 사용되는 부재료나 담그는 방법에 따라 약 100여 종이 있으며(3), 기본적으로 첨가되는 부재료로서 파, 생강, 마늘, 젓갈을 사용하고(4), 그 밖에 미나리, 갓, 굴, 쪽파, 실고추, 통깨, 대추, 밤, 청각, 잣, 새우, 오징어, 현미, 감초 등을 이용한다(5). 김치에는 비타민류와 아미노산, 무기질, 섬유소 및 젖산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유기산 및 미생물의 대사산물이 함유되어 있고 암 예방효과, 항산화작용, 면역증강, 정장작용, 콜레스테롤저하, 항동맥경화 등 다양한 효과를 갖고 있음이 입증되어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선정된 바 있다 (6-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Bang BH, Seo JS, Jeong EJ. 2008.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r 21: 51-55. 

  2. Lee MK, Rhee KK, Jang DJ. 2007. A survey of research papers on Korean kimchi and R&D trends. Korean J FoodCulture 22: 104-114. 

  3. Jo JS, Hwang SY. 1998. Standardization of kimchi and related products (2). Korean J Dietary Culture 3: 301-307. 

  4. Ku KH, Sunwoo JY, Park WS. 2005. Effects of ingredients on th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267-276. 

  5. Park SH, Lee JH. 2006. Consumer acceptanc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of subsidiary ingredi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370-378. 

  6. Kang KS, Park KY, Cho EJ, Rhee SH. 1999. In vitro anticancer effect of Chinese cabbage kimchi frac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326-1331. 

  7. Cheigh HS, Hwang JH. 2000.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kimchi. Food Ind Nutr 5: 52-56. 

  8. Kim MJ, Kwon MJ, Song YO, Lee EK, Youn HJ, Song YS.1997. The effect of kimchi on hematological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in vivo and in vitr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208-1214. 

  9. Lee KE, Choi UH, Ji GE. 1996. Effect of kimchi intake on the composition of human large intestinal bacteria. KoreanJ Food Sci Technol 28: 981-986. 

  10. Lee JJ, Jeong YK. 1999. Cholesterol-lowering effect and anticancer activity of kimchi and kimchi ingredients. Korean J Life Sci 9: 743-752. 

  11. Park BH, Cho HS, Oh BY. 2002. Phy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treated with chitosan during fermentation.Korean J Human Ecol 5: 85-93. 

  12. Kwon MJ, Chun JH, Song YS, Song YO. 1999. Daily kimchi consumption and its hypolipidemic effect in middle-aged m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144-1150. 

  13. Park CS, Kim ML. 2006. Functional properties of Angelica gigas Nakai leave (AGL) extra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malangi kimchi added AGL. Koeran J Food Cookery Sci 23: 728-735. 

  14. Paik JE. 2007. Effect of potato on the storage of kimchi.Korean J Food Nutr 20: 421-426. 

  15. Rhee SK, Kim DS, Oh SW. 1997. The effect of cocoon silk fibroin hydrolyzate (CSFH) on shelf-life extension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Agric Chem Biotechnol 40: 541-545. 

  16. Lee SH, Choi JS, Park KN, Im YS, Choi WJ. 2002. Effect of Prunus mume Sie. extract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preservation of kimchi.Korean J Food Preserv 9: 292-297. 

  17. Chang KS, Kim MJ, Kim SD. 1995. Effect of ginseng on the preservability and quality of Chinese cabbage kimchi.J Korean Soc Food Nutr 24: 313-322. 

  18. Lee SK, Choi DJ, Kim JG. 2003. The effect of chitosan addition on soybean lea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0: 517-521. 

  19. Kim HJ, Kim MK. 2003. Anticancer effect of persimmon leaf extract on Korean gastric cancer cell. Korean J Nutr 32: 133-146. 

  20. Roh YK, Park SH, Jang SH, Sung JJ. 2000. Analysis of components and leaves yield by cultivar for persimmon leaf tea. Korean J Food Postharvest Sci Technol 7: 99-102. 

  21. Park SK, Kang SG, Chung HJ. 1994. Effect of essential oil in astringent persimmon leaves on kimchi fermentation.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2: 217-221. 

  22. Baek JW, Chung SH, Moon GS. 2002.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bamboo culms and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73-1078. 

  23. Shin MK, Han SH. 2002. Effects of methanol extract from bamboo (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and high cholesterol diet. Korean J Dietary Culture 17: 30-36. 

  24. Ju IO, Jung GT, Ryu J, Choi JS, Choi TG. 2005.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mboo (Phyllostachys bambusoides Starf) extracts prepared withdifferent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42-548. 

  25. Lee WC, Kim AJ, Kim SY. 2003. The study on the functional materials and effects of mulberry leaf. Food Sci Ind 36: 2-14. 

  26. Chung DK, Yu R. 1995. Antimicrobial activity of bamboo leaves extract on microorganisms related to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035-1038. 

  27. Shin SM, La SH, Choi MK. 2007.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mulberry leaf powder. Korean J Food Nutr 20: 53-62. 

  28. Jung KM, Kang GH, Kwon MK, Song IK, Cho DH, Chou TD. 2004.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of persimmon leaves. Korean J Food Preserv 11: 175-181. 

  29. Choi AR, Park DI, Yoo GJ, Kim SY, Jang JB, Chae HJ. 2009. Effect of soaking of sub-ingredients on odor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Nutr 38: 1564-1570. 

  30. Heo JC, Park JY, An SM, Lee JA, Yun CY, Shin HM, Kwon TK, Lee SH. 2006. Anti-oxidant and anti-tumor activities of crude extracts by Gastrodia elata blum. Korean J Food Preserv 13: 83-87. 

  31. Cho CH, Yoo GJ, Son MH, Park KH, Lim BL, Kim DC, Chae HJ. 2008. Resveratrol extraction from grape fruit stem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51: 11-16. 

  32. Kim DY. 2001. Research on elaboration and revision of KS standards and assessment criteria of certification for processed foods and traditional food standards in 200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Chungnam, Korea. 

  33. Moon SH, Park KY. 2000. Antioxidative effect of persimmon leaves. Korean J Food Nutr 13: 53-58. 

  34. Oh HM, Kim MK. 2001. Effect of dried leaf powders,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simmon and green tea leave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12-month-old rats. Korean J Nutr 34: 285-298. 

  35. Ahn SI, Heuing BJ, Son JY. 2007.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some phenolic compounds.Korean J Food Cookery Sci 23: 19-24. 

  36. Kim MH, Kim MC, Park JS, Kim JW, Lee JO. 2001.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water-soluble extracts of plants used as tea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12-18. 

  37. Park BH, Back KY, Lee SI, Kim SD. 2008. Quality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tea. Korean J Food Preserv 21: 461-468. 

  38. Kim SI, Sim KH, Ju SY, Han YS. 2009. A study of antioxidative and hypoglycemic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under variable extract conditions. Korean J Food Nutr 22: 41-47. 

  39. Kang SY, Joo HM. 2005. Effect of kimchi ingredients on the growth of pathogenic and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838-843. 

  40. Lim YS, Park KN, Bae MJ, Lee SH. 2001. Antimicrobial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 on lactic acid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1158-1163. 

  41. Choi AR, Park DI, Son MH, Kim SY, Jang JB, Chae HJ.2010. The effects of deodorizing plants on the odor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in press). 

  42. Kim KM, Kim SD. 2003.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treated with different method of green tea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0: 354-3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