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초기반 샐러드 드레싱용 다시마 식초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Preparation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ea Tangle Vinegar for Utilization as Vinegar-Based Salad Dress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3 no.3, 2017년, pp.300 - 306  

한아름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정희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epare sea tangle vinegar and test its applicability as a vinegar-based functional salad dressing in term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Methods: Sea tangle vinegar was prepared by mixing sea tangle with sugar and vinegar and fermenting the mixture at room temperatu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식초기반 기능성 샐러드 드레싱’ 개발의 일환으로 다시마를 기능성 식품소재로 선정하였다. 다시마를 착즙한 후 조미했던 기존의 공정과 달리, 삼투작 용에 기반을 둔 과일청 제조 공정을 초산 발효·숙성 과정에 접목하여 샐러드 드레싱용 기능성 식초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시마에 설탕과 식초를 가하고 3개월간 발효 숙성시켜 다시마 식초를 제조한 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평가함으로써, ‘다시마 식초’가 기능성이 부가된 ‘식초기반 샐러드 드레싱’으로 개발될 수있을지를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시마의 특징은 무엇인가? 다시마(Laminaria japonica)는 다시마과에 속하는 갈조류로 알긴산(alginic acid)과 푸코이단(fucoidan) 등 음전하를 보유한 식이섬유를 상당량 함유하고 있다. 이들 식이 섬유는 (i)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하고 유산균을 증식시켜 정장작용하는 식이섬유의 일반적 기능성 뿐 아니라, 전하를 띄는 독특한 구조적 특성으로 (ii)양이온 중금속과 강하게 이온결합하여 체내 중금속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Hidaka H 등 1986, Yoon S 등 2014) (iii)종양세포 표면을 음전하로 하전시켜 항암작용을 유도하는 것(Yamamoto I 등 1981)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마에 함유된 알긴산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다시마(Laminaria japonica)는 다시마과에 속하는 갈조류로 알긴산(alginic acid)과 푸코이단(fucoidan) 등 음전하를 보유한 식이섬유를 상당량 함유하고 있다. 이들 식이 섬유는 (i)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하고 유산균을 증식시켜 정장작용하는 식이섬유의 일반적 기능성 뿐 아니라, 전하를 띄는 독특한 구조적 특성으로 (ii)양이온 중금속과 강하게 이온결합하여 체내 중금속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Hidaka H 등 1986, Yoon S 등 2014) (iii)종양세포 표면을 음전하로 하전시켜 항암작용을 유도하는 것(Yamamoto I 등 1981)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황을 함유한 푸코이단은 헤파린(heparin)과의 구조적 유사성으로 항혈액응고 작용이 보고되기도 하였다(Koo JG 등 2001).
푸코이단은 신체에서 어떤 작용이 보고되는가? 이들 식이 섬유는 (i)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하고 유산균을 증식시켜 정장작용하는 식이섬유의 일반적 기능성 뿐 아니라, 전하를 띄는 독특한 구조적 특성으로 (ii)양이온 중금속과 강하게 이온결합하여 체내 중금속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Hidaka H 등 1986, Yoon S 등 2014) (iii)종양세포 표면을 음전하로 하전시켜 항암작용을 유도하는 것(Yamamoto I 등 1981)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황을 함유한 푸코이단은 헤파린(heparin)과의 구조적 유사성으로 항혈액응고 작용이 보고되기도 하였다(Koo JG 등 2001). 이에 따라 다시마의 생리활성기능을 가공식품에 부가하기 위해, 국내 에서는 제과·제빵 영역에서부터(Han KH 등 2002, Cho HS 등 2006) 김치, 된장 등 발효식품의 영역까지(Ku HS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788. 

  2. Burdurlu HS, Karadeniz F. 2003. Effect of storage on nonenzymatic browning of apple juice concentrates. Food Chem 80(1):91-97. 

  3. Cho H, Yang YH, Lee KJ, Cho YS, Chun HK, Song KB, Kim M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fat salad dressing with spirulina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2(4):329-335. 

  4.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ult 21(5):541-549. 

  5. Han KH, Choi MS, Ahn CK, Youn MJ, Song TH. 2002. Soboru bread enriched with dietary fibers extracted from kombu. Korean J Soc Food Cook Sci 18(6):619-624. 

  6. Hidaka H, Eida T, Takizawa T, Takizawa T, Tokunaga T, Tashiro Y. 1986.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s on intestinal flora and human health. Bifidobact Microflora 5(1):37-50. 

  7. Jin YH, Kwon HS, Bae SJ. 2016. Analysis o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vinegar-based sauce: Focus on IPA skills. J Korean Soc Food Cult 31(5):465-472. 

  8. Jung HA, Kim AN, Ahn EM, Park SH, Kim MJ, Yoo YJ, Lee YR. 2011. Study development of salad dressing with added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Korean J Food Nutr 24(4):520-527. 

  9. Jung HA, Kim AN.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oak mushroom salad dressing. J East Asian Soc Diet Life 21(5):669-676. 

  10. Jung SJ, Kim NY, Jang MS. 2008. Formulation optimization of salad dressing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4):497-504. 

  11. Kim DH. 1999.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vinegar from fi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53-60. 

  12. Kim YJ. 2009. Comparison of health practices between singleand multiple-member households by gender in Korean adults. J Korean Acad Public Health Nurs 23(2):219-231. 

  13. Koo JG, Choi YS, Kwak JK. 2001. Blood-anticoagulant activity of fucoidans from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Laminaria religiosa, Hizikia fusiforme and Sargassum fulvellum in Korea. J Korean Fish Soc 34(5):515-520. 

  14.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MOBILE_04&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B1&path%252FnsportalStats%252Fnsporta lStats_0102Body.jsp. Accessed March 3, 2017. 

  15. Ku HS, Noh JS, Kim HJ, Cheigh HS, Song YO. 2007. Antioxidant effects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2):1497-1502. 

  16. Kwock CK, Jang JK. 2008. The promotion strategies of wellbeing food industry - Focusing on fresh-cut produce industry. Food Ind Nutr 13(1):17-27. 

  17. Lee DS, Ryu IH, Lee GS, Shin YS, Jeon SH. 1999. Optimization in the preparation of aloe vinegar by Acetobacter sp. and inhibitory effect against lipase activity.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2):105-110. 

  18. Lee YC, Son JY, Kim KT, Kim SS. 1994.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isolated from barley leaves. Korean J Food Nutr 7(4):332-337. 

  19. Lee YJ, Rye HS. Chun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prepared with mulberry fruit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6(5):537-544. 

  20. Manzocco L, Calligaris S, Mastrocola D, Nicoli MC, Lerici CR. 2000. Review of non-enzymatic browning and antioxidant capacity in processed foods. Trends Food Sci Technol 11(9):340-346. 

  2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Food code. MFDS, Cheongju, Korea. pp 5-22-1. 

  22. Mizuno M, Nishitani Y, Tanoue T, Matoba Y, Ojima T, Hashimoto T, Kanazawa K. 2009. Quantification and localization of fucoidan in Laminaria japonica using a novel antibody. Biosci Biotechnol Biochem 73(2):335-338. 

  23. Oh SI, Sung JM, Lee KJ. 201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barley soybean paste (Doenjang) containing kelp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12):1843-1851. 

  24. Rural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2006. Food composition table. 7th ed. RRDI, Suwon, Korea. pp 176-329. 

  25. Schwartz SJ, von Elbe JH, Giusti MM. 2008. Colorants. pp 571-638. In: Food chemistry. Damodaran S, Parkin KL, Fennema OR (ed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26. Shafiei-Sabet S, Hamad WY, Hatzikiriakos SG. 2012. Rheology of nanocrystalline cellulose aqueous suspensions. Langmuir 28(49):17124-17133. 

  27. Sikora M, Badrie N, Deisingh AK, Kowalski S. 2008. Sauces and dressings: A review of properties and applications. Crit Rev Food Sci Nutr 48(1):50-77. 

  28. Sikorski ZE, Pokorny J, Damodaran S. 2008. Physical and chemical interactions of components in food systems. pp 849-883. In: Food chemistry. Damodaran S, Parkin KL, Fennema OR (ed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29. Singleton VL, Orthofer R,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 Enzymol 299:152-178. 

  30. Skoog DA, West DM, Holler FJ, Crouch SR. 2000. Analytical chemistry: An introduction. Sanders College Publishing, Philadelphia, PA, USA. pp 259-316. 

  31. Vinolo MAR, Rodrigues HG, Nachbar RT, Curi R. 2011. Regulation of inflammation by short chain fatty acids. Nutrients 3(10):858-876. 

  32. Yamamoto I, Nagumo T, Takahashi M, Fujihara M, Suzuki Y, Iizima N. 1981. Antitumor effect of seaweeds III. Antitumor effect of an extract from Sargassum kjellmanianum. Jpn J Exp Med 51(3):187-189. 

  33. Yan XJ, Li XC, Zhou CX, Fan X. 1996. Preventive of fish oil rancidity by phlorotannins from Sargassum kjellmanianum. J Appl Phycol 8(3):201-203. 

  34. Yeo HY, Lee HY, Lee JY, Kang SM. 2014. Vinegar diet effects on the fatigue release after full body meridian massage. Kor J Aesthet Cosmetol 12(2):177-189. 

  35. Yoon S, Gawck HK, Kim YG, Kim HG, Park MS, Yeom GJ, Oh HS, Lee MJ, Lee JH, Ji GE. 2014. Functional foods. 2nd ed. Life Science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46-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