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여러 품종(삼광벼, 설갱벼, 큰눈벼, 화선찰벼, 홍진주벼, 흑광벼, 일품벼, 하이아미 및 녹미벼)의 도정부산물인 미강(쌀겨)과 식미에 나쁜 영향을 주어 이용되지 않는 싸라기에 대한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polyphenol, flavonoid, vitamin E, $\gamma$-oryzanol)과 항산화 활성(ABTS 라디컬 소거능, DPPH 라디컬 소거능, 환원력)을 비교 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품종별 미강과 싸라기의 항산화성분을 측정한 결과 유색미인 홍진주벼에서 vitamin E(일품벼)를 제외하고는 항산화 성분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더불어 흑광벼에서도 상당한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싸라기 추출물보다는 미강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의 항산화 성분이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항산화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미강추출물에서 높았으며, 그중 홍진주벼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유색미인 홍진주를 비롯하여 흑광벼의 미강은 기능성식품의 성분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이를 통한 품종별 쌀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y-products including rice bran and half-crashed rice by rice milling.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v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70% 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2009년 새롭게 육성된 계통인 하이아미벼는 기존 품종에 비하여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30% 정도 높은 품종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육성되어진 벼 품종들의 도정 부산물에 다량 함유된 유용 성분 및 생리활성 성분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항산화성 물질을 탐색하고 평가함으로써 새로운 식품의 연구개발로 우수한 고부가가치가 증대된 식품소재를 개발코자 하는 기초 자료로 제공하려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여러 품종(삼광벼, 설갱벼, 큰눈벼, 화선찰벼, 홍진주벼, 흑광벼, 일품벼, 하이아미 및 녹미벼)의 도정부산물인 미강(쌀겨)과 식미에 나쁜 영향을 주어 이용되지 않는 싸라기에 대한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polyphenol, flavonoid, vitamin E, γ-oryzanol)과 항산화 활성(ABTS 라디컬 소거능, DPPH 라디컬 소거능, 환원력) 을 비교․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 of duplicate determinations expressed as mg per 100 g of sampl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러 품종의 쌀 도정부산물인 미강(쌀겨)과 식미에 나쁜 영향을 주어 이용되지 않는 싸라기의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한 실험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여러 품종(삼광벼, 설갱벼, 큰눈벼, 화선찰벼, 홍진주벼, 흑광벼, 일품벼, 하이아미 및 녹미벼)의 도정부산물인 미강(쌀겨)과 식미에 나쁜 영향을 주어 이용되지 않는 싸라기에 대한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polyphenol, flavonoid, vitamin E, γ-oryzanol)과 항산화 활성(ABTS 라디컬 소거능, DPPH 라디컬 소거능, 환원력) 을 비교․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품종별 미강과 싸라기의 항산화성분을 측정한 결과 유색미인 홍진주벼에서 vitamin E(일품벼)를 제외하고는 항산화 성분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더불어 흑광벼에서도 상당한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싸라기 추출물보다는 미강 추출물에서 높은 함량의 항산화 성분이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항산화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미강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그중 홍진주벼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유색미인 홍진주를 비롯하여 흑광벼의 미강은 기능성식품의 성분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며 이를 통한 품종별 쌀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미강의 주성분은? 벼 도정 시 부산물인 미강은 현미의 약 7% 정도이며 벼 품종, 재배환경, 도정 방법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쌀에 포함되어 있는 미강(쌀겨)의 주성분은 수분함량 14%를 기준으로 할 때 조단백질 11~15%, 조지방질 15~20%, 탄수화물 34~52% 정도 함유하고 있다. 미강은 연간 60만 톤 정도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그중 극히 일부만이 미강유로 제조되고 대부분은 산패하기 쉽고 저장이 어려워서 식품으로 소비되기보다는 사료용이나 농산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다(4,5).
미강을 식품으로 소비하기 어려운 이유는? 쌀에 포함되어 있는 미강(쌀겨)의 주성분은 수분함량 14%를 기준으로 할 때 조단백질 11~15%, 조지방질 15~20%, 탄수화물 34~52% 정도 함유하고 있다. 미강은 연간 60만 톤 정도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그중 극히 일부만이 미강유로 제조되고 대부분은 산패하기 쉽고 저장이 어려워서 식품으로 소비되기보다는 사료용이나 농산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다(4,5). 싸라기의 경우 많은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공 이용성이 낮고 쌀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식미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식품이나 소재 개발에 필요한 가공적성과 이용성 구명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 SM, Kim JH, Cho CW, Jeong TJ, Ha JU, Lee SC. 2001.Effect of microwave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ice processed by-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30: 1026-1032. 

  2. Halliwell B. 1996.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Annu Rev Nutr 16: 33-49. 

  3. Morrissey PA, O'Brien NM. 1998. Dietary antioxidants in health and disease. Int Dairy J 8: 463-472. 

  4. Lee YH, Moon TW. 1994. Composition, water-holding capacity and effect on starch retrogradation of rice bran dietary fib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88-294. 

  5. Kim YH, Kang CS, Lee YS. 2004. Quantification of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 in rice bran by near infrated reflectance spectroscopy. Korean J Crop Sci 43: 211-215. 

  6. Choi HI, Ye EJ, Kim SJ, Bae MJ, Yee ST, Park EJ, ParkEM. 2006. Anticancer (in vitro) and antiallergy effects ofrice bran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1297-1303. 

  7. Bae SM, Kim JH, Cho CW, Jeong TJ, Yook HS, Byun MW,Lee SC. 2002.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the antioxidantactivity of rice hull, rice bran and barley bran. J KoreanSoc Food Sci Nutr 31: 246-250. 

  8. Qureshi AA, Mo H, Packer L, Peterson DM. 200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novel tocotrienols from rice bran with hypocholesterolemic, antioxidant and antitumor properties.J Agric Food Chem 48: 3130-3140. 

  9. Nam SH, Kang MY. 1997.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coloredrice bran extracts carcinogenicity. Agric ChemBiotechnol 40: 307-312. 

  10. Kahlon TS, Chow FI, Sayre RN, Betschart AA. 1992.Related articles cholesterol-lowering in hamsters fed rice bran at various levels, defatted rice bran and rice bran oil.J Nutr 122: 513-519. 

  11. Osawa T, Narashima R, Kawakishi S, Namaki M, TashiroT. 1985.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rice hull against damage caused by oxygen radicals. Agric Biol Chem 49:3085-3087. 

  12. Lai P, Li KY, Lu S, Chen HH. 2009.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J aponica rice bran. Food Chem 117: 538-544. 

  13. Muramoto G, Kawamura S. 1991. Rice protein and anti-hypertensive peptid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from rice. Nippon Shokuhin Kougyo 34: 18-26. 

  14. Lee KY, Kim JH, Son JR, Lee JS. 2001. Detection and extraction condi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 compounds from bran of Heugjinju rice (Oryza sativa L.).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296-301. 

  15. Choi SP, Kang MY, Nam SH. 2004. Inhibitory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pigmented rice brans on inflammatoryreaction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222-227. 

  16.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7.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8. Lee SM, Lee J. 2006.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s of vegetable oils, margarines, butters, and peanut buttersconsumed in Korean diet. Food Sci Biotechnol 15: 183-188. 

  19. Lilitchan S, Tangprawat C, Aryusuk K, Krisnangkura S,Chokmoh S, Krisnangkura K. 2008. Partial extraction method for the rapid analysis of total lipids and $\gamma$ -oryzanol contents in rice bran. Food Chem 106: 752-759. 

  2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1. Mau JL, Lin II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s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 35: 519-526. 

  22.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0: 3713-3717. 

  23. Scalbert A, Johnson IT, Saltmarsh M. 2005. Polyphenols:antioxidants and beyond. Am J Clin Nutr 81: 215S-217S. 

  24. Sakihama Y, Cohen MF, Grace SC, Yamasaki H. 2002. Plant phenolic antioxidant and prooxidant activities: phenolics-induced oxidative damage mediated by metals in plants.Toxicology 177: 67-80. 

  25. Kong SH, Choi YM, Lee SM, Lee JS. 2008.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15-819. 

  26. Oki T, Masuda M, Kobayashi M, Nishiba Y. 2002. Polymeric procyanidins as radical-scavenging components in red-hulled rice. J Agric Food Chem 50: 7524-7529. 

  27. Woo KS, Jeong EG, Suh SJ, Yang CI, Jeong HS, Kim KJ.2008.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on Suweon-511 and I lpum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23-1230. 

  28. Seo SJ, Choi YM, Lee SM, Kong SH, Lee JS. 2008.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29. Choi Y, Jeo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Food Chem 13: 130-138. 

  30. Lee YR, Woo KS, Kim KJ, Son JR, Jeong HS. 2007.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germinatedspecialty rough rice. Food Sci Biotechnol 16: 765-770. 

  31. Kim EO, Oh JH, Lee KT, Im JG, Kim SS, Suh HS, ChoiSW. 2008.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of the colored rice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15:118-1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