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미의 도정분획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Methanolic Extracts from Milling Fractions of Black R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7, 2008년, pp.815 - 819  

공수현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용민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선미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흑미 두 품종(흑진주벼와 흑광벼)의 도정 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항산화 활성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흑미의 항산화 성분으로 polyphenolic, flavonoid, anthocyanin과 ${\gamma}$-oryzanol, tocopherol 및 tocotrienol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DPPH와 ABTS radical 제거능을 측정하였다. 각 도정 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에서 rice bran 층에서 약 $15.3{\sim}15.5%$의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endosperm 메탄올 추출물에서 약 $0.9{\sim}1.1%$의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실험결과 rice bran의 추출물에서 endosperm, whole grain의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항산화 성분이 분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항산화 성분이 다량 분포하는 rice bran 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력을 측정할 수 있었다. 품종 간에는 흑진주벼의 rice bran층의 항산화 성분이 흑광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흑미의 rice bran은 기능성식품의 성분으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lored rice, particularly black rice, has been well characterized to possess antioxidant properties. Rice bran, a by-product of the rice milling process, contains high levels of several phytochemicals which have antioxidant activities as well as health-beneficial properties. The purposes of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두 품종(흑진주벼와 흑광벼)의 흑미 도정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물질을 분석하고 항산화력을 측정하여 이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흑미 두 품종(흑진주벼와 흑광벼)의 도정 분획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흑미의 항산화 성분으로 polyphenolic, flavonoid, anthocyanin과 γ-oryzanol, tocopherol 및 tocotrienol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은 DPPH와 ABTS radical 제거능을 측정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 of duplicate determinations expressed as mg per 100 g of sampl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흑미에는 어떤 기능성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는가? 뿐만 아니라 이전 연구에 의하면 흑미는 비교적 강한 free radical 제거능 및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4) 천연 항산화제의 중요한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흑미에는 polyphenolics, flavonoids, anthocycanins, vitamins, γ-oryzanol 등 기능성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리활성 성분들은 체내에서 항산화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 특히 이러한 항산화 화합물들은 singlet oxygen, superoxide anion radical, hydorgen peroxide, hydroxyl radicals을 포함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고 보고되어 있다(5-7).
흑미의 겨층에는 다른 곡류에 비하여 무슨 성분이 풍부한가? 산화적 스트레스는 신진대사와 관련된 질병과 연관되어 있고 이를 예방하는 생리활성물질들은 쌀의 외피를 구성하는 겨층과 배아부분에 집중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in vitro 상태에서 높은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및 항돌연변이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었다(8,9). 또한 흑미의 겨층에는 다른 곡류에 비하여 flavonoid, anthocyanin과 같은 색소성분이 풍부하며 이들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10). 그 중 흑미의 겨층에 존재하는 색소물질로 다양한 생리활성이 알려진 anthocyanin의 주된 구성물질인 peonidin 3-glucoside와 cyanidin 3-glucose의 항염증, 항전이작용이 연구되었다(11).
흑미에 함유된 체내에서 항산화 기능을 나타내는 성분들은 어떤 기능을 하는가? 흑미에는 polyphenolics, flavonoids, anthocycanins, vitamins, γ-oryzanol 등 기능성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리활성 성분들은 체내에서 항산화 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 특히 이러한 항산화 화합물들은 singlet oxygen, superoxide anion radical, hydorgen peroxide, hydroxyl radicals을 포함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고 보고되어 있다(5-7). 산화적 스트레스는 신진대사와 관련된 질병과 연관되어 있고 이를 예방하는 생리활성물질들은 쌀의 외피를 구성하는 겨층과 배아부분에 집중되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in vitro 상태에서 높은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및 항돌연변이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었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lampett WS, Nguyen VN. 2002. The development and use of integrated crop management for rice production. Proceedings of the 20th session of the International Rice Commission. FAO, Bangkok, Thailand. p 135-144 

  2. Seo SJ, Choi Y, Lee SM, Kong S, Lee J.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 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3. Rhee CO, Song SJ, Lee YS.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ooking black rice. Korea J Food Sci Technol 32: 1015-1021 

  4. Ling WH, Wang LL, Ma J. 2002. Supplementation of the black rice outer fraction to rabbits decrease atherosclerotic plaque formation and increase antioxidant status. J Nutr 132: 20-26 

  5. Slavin JL, Martini MC, Jacobs DR, Marqart L. 1999. Plausible mechanisms for the protectiveness of whole grains. Am J Clin Nutr 70: 459S-463S 

  6. Choi Y, Jeong HS, Lee J.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from some grains consumed in Korea. Food Chem 103: 130-138 

  7. Hu C, Zawistowski J, Ling W, Kitts DD. 2003. Black rice (Oryza sativa L. indica) pigmented fraction suppresses both reactive oxygen species and nitric oxide in chemical and biological model systems. J Agric Food Chem 51: 5271-5277 

  8. Kahlon TS, Saunders RM, Sayre RN, Chow FI, Chiu MM, Betschart AA. 1992.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rice bran and rice bran oil fractions in hypercholesterolemic hamsters. Cereal Chem 69: 485-489 

  9. Nam SH, Choi SP, Kang MY. 2005. Antioxidative, antimutagenic,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rice bran extracts in chemical and cell assays. J Agric Food Chem 53: 816-822 

  10. Chung YA, Lee JK. 2003. Antioxidative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extracted from black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948-951 

  11. Chen PN, Kuo WH, Chiang CL, Chiou HL, Hsieh YS, Chu SC. 2006. Black rice anthocyanins inhibit cancer cells invasion via repressions of MMPs and u-PA expression. Chem Biol Interact 163: 218-229 

  12.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3.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y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4. Turker N, Erdogdu F. 2006. Effects of pH and temperature of extraction medium on effective diffusion coefficient of anthocyanin pigments of black carrot (Daucus carota var. L.). J Food Eng 76: 579-583 

  15. Lee SM, Lee J. 2006.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s of vegetable oils, margarines, butters, and peanut butters consumed in Korean diet. Food Sci Biotechnol 15: 183-188 

  16. Lilitchan S, Tangprawat C, Aryusuk K, Krisnangkura S, Chokmoh S, Krisnangkura K. 2008. Partial extraction method for the rapid analysis of total lipids and $\gamma$ -oryzanol contents in rice bran. Food Chem 106: 752-759 

  1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 Biol Med 26: 1231-1237 

  18. Kim DO, Lee KW, Lee HJ, Lee CY. 2002.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VCEAC) of phenolic phytochemicals. J Agric Food Chem 50: 3713-3717 

  19. Oki T, Masuda M, Kobayashi M, Nishiba Y, Furuta S, Suda I, Sato T. 2002. Polymeric procyanidins as radical-scavenging components in red-hulled rice. J Agric Food Chem 50: 7524-7529 

  20.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in Plant Sci 2: 152-159 

  21. Zhou Z, Robards K, Helliwell S, Blanchard C. 2004. The distribution of phenolic acids in rice. Food Chem 87: 401-406 

  22. Jovanovic S, Steenken S, Simic M, Hara Y. 1998. Antioxidant properties of flavonoids: Reduction potentials and electron-transfer reactions of flavonoid radicals. In Flavonoids in health and disease. Rice-Evans C, Packer L, eds. Dekker, New York. p 137-161 

  23. Elisia I, Hu C, Popovich DG, Kitts DD. 2007. Antioxidant assessment of an anthocyanin-enriched blackberry extract. Food Chem 101: 1052-1058 

  24. Lee SM, Lee HB, Lee J. 2006. Comparison of extraction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vitamin E in some g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48-253 

  25. Rong N, Asuman LM, Nicolosi RJ. 1997. Oryzanol decreases cholesterol absorption and aortic fatty streaks in hamsters. Lipides 32: 303-309 

  26. Xu Z, Hua N, Godber JS. 2001. Antioxidant activity of tocopherols, tocotrienols, and $\gamma$ -oryzanol components from rice bran against cholesterol oxidation accelerated by 2,2'-azobis(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 J Agric Food Chem 49: 2077-2081 

  27. Iqbal S, Bhanger MI, Anwar F. 2005. Antioxidant properties and components of some commercially available varieties of rice bran in pakistan. Food Chem 93: 265-272 

  28. Oki T, Masuda M, Kobayashi M, Nishiba Y. 2002. Polymeric procyanidins as radical-scavenging components in red-hulled rice. J Agric Food Chem 50: 7524-7529 

  29. Villano D, Fernandez-Pachon MS, Moya ML, Troncoso AM, Garcia-Parrilla MC. 2007.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polyphenolic compounds towards DPPH free radical. Talanta 71: 230-2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