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화과 Chrysanthemum속 식물 3종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Three Chrysanthemum Spec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4, 2010년, pp.631 - 636  

우정향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신소림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80% 에탄올을 용매로 환류냉각 추출한 마가렛, 국화 및 낙동구절초의 꽃과 잎줄기(shoot)의 페놀성 물질 함량,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및 linoleic acid에 대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은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특히 국화 잎줄기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Fe^{2+}$ chelating 효과는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으며, 국화 꽃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Linoleic acid에 대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마가렛과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나, BHT보다 억제활성이 낮았다. 연구의 결과, 국화 잎줄기 추출물은 페놀성 물질 함량 및 radical 소거활성이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제로 개발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금속이온 chelating 및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은 다소 낮으므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산화스트레스를 방지하기 위한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할 때는 국화 잎줄기 추출물과 다른 항산화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a natural antioxidant from three Chrysanthemum species, flower and shoot extracts of Chrysanthemum frutescens, Chrysanthemum morifolium and Chrysanthemum zawadskii ssp. naktongense were obtained and their phenolic compound contents, scavenging effects on DPPH and ABTS radicals, ferrous 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화과 Chrysanthemum속의 마가렛, 국화 및 낙동구절초의 꽃과 잎줄기 추출물의 항산화물질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여 식물의 부위에 따른 항산화효과를 비교하고, 천연 항산화 소재로 개발 가치가 높은 식물과 부위를 선발하여 향후 국화과 식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능성 식물소재로 활용도가 낮았던 잎줄기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부산물로 버려지는 잎줄기의 활용도를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국화과 Chrysanthemum속의 마가렛, 국화 및 낙동구절초의 꽃과 잎줄기 추출물의 항산화물질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여 식물의 부위에 따른 항산화효과를 비교하고, 천연 항산화 소재로 개발 가치가 높은 식물과 부위를 선발하여 향후 국화과 식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능성 식물소재로 활용도가 낮았던 잎줄기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부산물로 버려지는 잎줄기의 활용도를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Concentration of the material which is required to reduction 50% of ferrous 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화과 Chrysanthemum 속의 마가렛, 국화 및 낙동 구절초의 꽃과 잎줄기 추출물의 항산화물질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분석하여 식물의 부위에 따른 항산화효과를 비교한 결과는?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80% 에탄올을 용매로 환류냉각 추출한 마가렛, 국화 및 낙동구절초의 꽃과 잎줄기(shoot)의 페놀성 물질 함량,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및 linoleic acid에 대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은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특히 국화 잎줄기 추출물의 ABTS radical 소거능은 천연 항산화제인 ascorbic acid와 합성 항산화제인 BHT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Fe2+ chelating 효과는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낮았으며, 국화 꽃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Linoleic acid에 대한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마가렛과 국화 잎줄기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나, BHT보다 억제활성이 낮았다. 연구의 결과, 국화 잎줄기 추출물은 페놀성 물질 함량 및 radical 소거활성이 우수하여 천연 항산화제로 개발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금속이온 chelating 및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은 다소 낮으므로, 다발적으로 발생하는 산화스트레스를 방지하기 위한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할 때는 국화 잎줄기 추출물과 다른 항산화제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Chrysanthemum속 식물은 어디에 사용되는가? 그중 Chrysanthemum속 식물들은 약 30여종이 있으며, 아시아 및 북부 유럽에 자생한다. Chrysanthemum속 식물들은 관상 가치가 높아 실내외 조경에 자주 사용하며, 약리적 효과가 우수하여 동서양에서 식·약용식물로 두루 사용되어 왔다. Chrysanthemum속 식물의 대표적 약리효과로는 항에이즈 (1,2), 항균(3) 및 항진균(4) 등의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Chrysanthemum속 식물의 우수한 항산화효과도 보고되고 있다.
Chrysanthemum속 식물의 대표적 약리효과는? Chrysanthemum속 식물들은 관상 가치가 높아 실내외 조경에 자주 사용하며, 약리적 효과가 우수하여 동서양에서 식·약용식물로 두루 사용되어 왔다. Chrysanthemum속 식물의 대표적 약리효과로는 항에이즈 (1,2), 항균(3) 및 항진균(4) 등의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Chrysanthemum속 식물의 우수한 항산화효과도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ollins RA, Ng TB, Fong WP, Wan CC, Yeung HW. 1997.A comparison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inhibition by partially purified aqueous extracts of Chinese medicinal herbs. Life Sci 60: 345-351. 

  2. Hu CQ, Chen K, Shi Q, Kilkuskie RE, Cheng YC, Lee KH.1994. Anti-AIDS agents, 10. Acacetin-7-O-beta-D-galactopyranoside, an anti-HIV principle from Chrysanthemum morifolium and a structure-activity correlation with some related flavonoids. J Nat Prod 57: 42-51. 

  3. Sassi AB, Harzallah-Skhiri F, Bourgougnon N, Aouni M. 200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our Tunisian Chrysanthemum species. Ind J Med Res 127: 183-192. 

  4. Marongiu B, Piras A, Porcedda S, Tuveri E, Laconi S, Deidda D, Maxia A. 2009. Chemical and biological comparisons on supercritical extracts of Tanacetum cinerariifolium (Trevir) Sch. Bip. with three related species of chrysanthemums of Sardinia (Italy). Nat Prod Res 23:190-199. 

  5. Gonzalez A, Estevez-Reyes R, Estevez-Braun A, RaveloAG. 1997. Biological activities of some Argyranthemum species. Phytochemistry 45: 963-967. 

  6. Tseng WK, Chen YS, Kwan CC. 2009. Study of Chrysanthemum zawadskii ssp. naktongense flowers extract on the efficacy of antioxidation, inhibiting the formation of melanin and antimutagenicity. Taiwan J Agric Chem Food Sci 47:47-54. 

  7. Park NY, Lee KD, Jeong YJ, Kwon JH. 1998.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boreale. J KoreanSoc Food Sci Nutr 27: 585-590. 

  8. Yu JS, Hwang IG, Woo KS, Chang YD, Lee CH, Jeong JH,Jeong HS.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indicum L. flower tea according to differentpan-firing ti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97-302. 

  9. Kwon YD, Ko EY, Hong SJ, Park SW. 2008. Comparison of sulforaphane and antioxidant contents according to different parts and maturity of broccoli. Kor J Hort Sci Technol 26: 344-349. 

  10. Velioglu YS, Mazza G, Cao L, Oomah BD.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 4113-4117. 

  11. NFRI. 1990. Manuals of quality characteristic analysis for food quality evaluation (2).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Skuba, Japan. 

  1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3.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4. Yen GC, Duhb PD, Tsaia HL.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rlic acid. Food Chem 79: 307-313. 

  15. Haraguchi H, Hashimoto K, Yagi A. 1992. Antioxidative substances in leaves of Polygonum hydropiper. J Agric Food Chem 40: 1349-1351. 

  16. Liu H, Qiu N, Ding H, Yao R. 2008. Polyphenols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68 Chinese herbals suitable for medical or food uses. Food Res Internat 41: 363-370. 

  17.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18. Kim HJ, Jun BS, Kim SK, Cha JY, Cho YS. 2000.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29: 1127-1132. 

  19. Decker EA, Hultin HO. 1992. Lipid oxidation in muscle foods via redox iron. In Lipid oxidation in food. St. Angelo AJ, ed. ACS Symposium Series 500, Washington, DC, USA.p 1-11. 

  20. Seo SJ, Choi Y, Lee SM, Kong S, Lee J. 2008.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mpounds of some specialtyr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9-135. 

  21. de Kok TMCM, Zwingman I, Moonen EJ, SchildermanPAEL, Rhijnsburger E, Haenen GRMM, Kleinjans JCS. 2003. Analysis of oxidative DNA damage after human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linoleic acid. Food Chem Toxicol41: 351-358. 

  22. Lee SE, Sung JS, Jang LB, Kim GS, Ahn TJ, Han HS, KimJE, Kim YO, Park CB, Cha SW, Ahn YS, Park HK, BangJK, Seong NS. 2008. Investigation on antioxidant activityin plant resources. J Med Crop Sci 16: 35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