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화과 Dendranthema속 식물 3종 8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80% 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Three Dendranthema Species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23 no.1, 2010년, pp.47 - 53  

우정향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신소림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ndranthema속의 산국, 감국 및 울릉국화의 꽃과 잎줄기(Shoot)를 80% 에탄올을 용매로 환류냉각추출하여 페놀성물질 함량,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및 linoleic acid에 대한 지질 과산화 억제활성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물질 함량은 울릉국화에서 가장 높았으며 특히, 울릉국화 꽃에서 함량이 높았다.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 또한 울릉국화 꽃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울릉국화의 잎줄기에서도 소거능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는 산국 꽃에서 가장 높았으며, 울릉국화 꽃에서 가장 낮았다.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은 울릉국화 잎줄기에서 가장 높았으며, 반응 32일 이후에도 41.01%의 높은 억제활성을 보여 합성 항산화제인 BHT보다 지질산패 억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연구의 결과, 울릉국화 꽃 및 잎줄기는 항산화물질함량이 높고 항산화활성이 우수하므로 천연 항산화소재로 적합하였다. 또한 동일한 식물도 부위에 따라 항산화효과가 다른 것을 확인 하였으며, 항산화효과의 종류에 따라 우수한 활성을 보이는 식물종이 각기 다르므로 사용 목적에 따라 식물종을 선택적으로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owers and shoots of three species of Dendranthema boreale, Dendranthema indicum, Dendranthema zawdskii var. lucidum, were extracted with 80% ethanol by reflux, and polyphenol content, scavenging activity on DPPH and ABTS radicals, ferrous ion chelating effects and inhibition effects on lipid pero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인 산국, 감국 및 울릉국화의 꽃과 잎+줄기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radical 소거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분석하여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식물소재 및 부위를 선발하고, 그 동안 꽃에 비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써 활용가치가 낮게 평가되어온 국화과 식물의 잎의 활용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국화과 식물 중 산국과 감국의 효능은? 국화과 식물들은 예로부터 약리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국화과 식물들이 식용 및 약용소재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 사용된 산국[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의 꽃은 중추신경 진정, 혈압 강하, 항바이러스 효과(Choi, 1992; DanBensky와 Andrew, 1986), 감국[Dendranthema indicum (L.) Des Moul.]의 꽃은 해열, 소염, 혈압강하, 두통 치료 등의 효과(Shin과 Shin, 1992) 및 향기성분의 항산화효과(Woo 등, 2008b) 등이 보고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산국 또는 감국의 꽃으로 만든 캔디(Lee 등, 2009a)와 분말차(Lee 등, 2009b)의항산화 활성이 구명되어(Lee 등, 2009) 기능성 보조식품으로써 산국과 감국 꽃의 높은 활용가치를 인정받았다.
활성산소종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은? 대사 중 생성되는 활성산소종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는 세포막과 단백질 분해, DNA 손상 등 체내의 손상을 유도하여 노화와 질병의 원인이 된다(McKee와 McKee, 2002; Lee 등, 2005). 따라서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하여 항산화제 및 항산화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여 체내 산화를 방지하는데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국화과 식물은 어떻게 사용되어왔는가? 국화과 식물들은 예로부터 약리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국화과 식물들이 식용 및 약용소재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 사용된 산국[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1198-1204. 

  2. Branen,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AOCS 52:59-63. 

  3. Cha, J.Y., S.Y. Kim, S.J. Jeong, and Y.S. Cho. 1999. Effects of hesperetin and naringenin on lipid concentration in oratic acid treated mice. Kor. J. Life Sci. 9:389-394.(in Korean) 

  4. Choi, Y.J. 1992. Traditional plant in Korea. Academic Books. Seoul.(in Korean) 

  5. DanBensky, R. and G. Andrew. 1986. Chinese herbal medicine. Estland Press, Seattle. 

  6. Fridovich, I. 1986. Biological effect of the superoxide radical. Arch. Biochem. Biophys. 247:1-11. 

  7. Han, W.S. 2003. Isolation and sstructure elucidation of radical scavengers from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Kor. J. Med. Crop Sci. 11:1-4.(in Korean) 

  8. Haraguchi, H., K. Hashimoto, and A. Yagi. 1992. Antioxidative substances in leaves of Polygonum hydropiper. J. Agric. Food Chem. 40:1349-1351. 

  9. Jeong, J.A., S.H. Kwon, and C.H. Lee. 2007. Screening fo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erial and underground parts of some edible and medicinal ferns. Kor. J. Plant Res. 20:185-192.(in Korean) 

  10. Kawaguchi, K., T. Mizuno, K. Aida, and K. Uchino. 1997. Hesperidin as an inhibi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n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echnol. Biochem. 61:102-104. 

  11. Korea National Arboretum(KNA) an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t plants in Korea. Kor. Natl. Arb. Pocheon.(in Korean) 

  12. Labuza, T.P. 1971. Kinetics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C Crit. Rev. Food Technol. 2: 335-405. 

  13. Lee, C.B. 2003.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Seoul.(in Korean) 

  14. Lee, S.H., I.G. Hwang, H.K. Lee, S.L. Shin, Y.D. Chang, C.H. Lee, and H.S. Jeong. 2009a.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 boreale M., and C. zawadskii K. flowers candies. J. Kor. Soc. Food Sci. Nutr. 38:1406-1413.(in Korean). 

  15. Lee, S.H., I.G. Hwang, J.W. Nho, Y.D. Chang, C.H. Lee, K.S. Woo, and H.S. Jeong. 2009b.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rysanthemum boreale M. and Chrysanthemum zawadskii K. powdered teas. J. Kor. Soc. Food Sci. Nutr. 38:824-831.(in Korean). 

  16. Lee, S.O., H.J. Lee, M.H. Yu, H.G. Im, and I.S. Lee.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 J. Food. Sci. Thechnol. 37:233-240.(in Korean). 

  17. Lee, Y.A., H.Y. Kim, and E.J. Cho. 2005. Comparaison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on antioxidative effect under In Vitro and cell system. J. Kor. Soc. Food Sci. Nutr. 34:1151-1156.(in Korean) 

  18. Liu, H., N. Qiu, H. Ding, and R. Yao. 2008. Polyphenols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68 Chinese harbals suitable for medical or food uses. Food Res. Internat. 41:363-370. 

  19. McKee, T. and J.R. McKee. 2002. Biochemistry. 3th ed. McGraw-Hill, New York, USA. 

  20. Min, S.H. and B.R. Lee.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medicinal plant extracts cultivated in Jechon. Kor. J. Food Cult. 22:336-341.(in Korean) 

  21. NFRI. 1990. Manuals of quality characteristic analysis for food quality evaluation(2). National Food Research Institute, Skuba. 

  22. Re, R., N. Pellegrini, A. Proteggente, A. Pannala, M. Yang, and C. Rice-Evans.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 Biol. Med. 26:1231-1237. 

  23. Shin, G.C. and Y.C. Shin. 1992. New our talk large a dictionary. Samsung publishing company, Seoul.(in Korean) 

  24. Velioglu, Y.S., G. Mazza, L. Cao, and B.D. Oomah. 199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in selected fruits, vegetables, and grain products. J. Agric. Food Chem. 46:4113-4117. 

  25. Woo, J.H., H.S. Jeong, J.S. Yu, Y.D. Chang, and C.H. Lee. 2008a.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obtained from four Aster species native to Korea. Kor. J. Plant Res. 21:52-59.(in Korean) 

  26. Woo, K.S., J.S. Yu, I.G. Hwang, Y.R. Lee, C.H. Lee. H.S. Yoon, J.S. Lee, and H.S. Jeong. 2008b. Antioxidant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flower of Chrysanthemum indicum, C. morifolium, and C. zawadskii. J. Kor. Soc. Food Sci. Nutr. 37:805-809.(in Korean) 

  27. Yen, G.C., P.D. Duhb, and H.L. Tsaia. 2002. Antioxidant and pro-oxidant properties of ascorbic acid and gallic acid. Food Chem. 79:307-313. 

  28. Yoo, M.Y., S.H. Park, Y.M. Kang, and J.Y. Yang. 2005.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extracted from leaves of Sanjook(Sasa boreails var. chiisanensis). J. Life Sci. 15:796-801.(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