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지역 여자고등학생의 주중과 주말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에 관한 연구
The Food and Nutrient Intakes on weekdays and weekends Among High School Girls in Seoul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3 no.5, 2010년, pp.513 - 523  

박소현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이정숙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홍희옥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여자고등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주중과 주말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끼니별 결식률은 아침 결식률이 가장 높았으며 주중과 주말 결식률을 비교해 보면 아침과 점심의 결식률이 주중에 비하여 주말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저녁 결식률은 주중이 주말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2) 1일 평균 식품섭취량은 총 식품이 1,327.6 g, 식물성식품 800.5 g, 동물성 식품 425.8 g 이었으며, 총 식품섭취량과 식물성 식품섭취량은 주말에 비해 주중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외 감자류, 두류, 채소류, 버섯류, 해조류, 어패류, 유지류 및 양념류의 섭취량 역시 주말에 비해 주중에 유의적으로 높게 섭취하였으나, 과일류와 음료섭취는 주중보다는 주말에 유의적으로 높았다. 3) 1일 총 식품섭취가짓수는 하루 평균 20.5 가지를 섭취하였고, 주중에 23.3 가지, 주말에 15.1 가지로 주말에 비해 주중에 식품섭취가짓수가 유의적으로 많았다. 다소비식품은 쌀, 우유, 돼지고기, 배추김치, 닭고기 순으로 조사되었고, 상위 2위까지는 주중과 주말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주중에 비해 주말에 피자, 콜라, 라면과 같은 인스턴트식품이나 패스트푸드가 상위 10위 내 포함되었다. 4) 영양소섭취량은 1일 평균 에너지가 2,244.9 kcal, 단백질 89.0 g, 지방 72.6 g, 탄수화물 311.2 g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방은 주중보다 주말에 유의적으로 높게 섭취하였고, 탄수화물, 섬유소, 인, 철, 나트륨, 칼륨, 비타민 A, 나이아신, 엽산비타민 C 섭취는 주말에 비해 주중에 유의적으로 높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섭취량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비는 1일 평균 55.4% : 15.8% : 28.8% 이였고, 주중은 56.8% : 15.8% : 27.4%, 주말은 53.6% : 15.8% : 30.7% 이였다. 주중과 주말 모두 탄수화물에 대한 섭취비는 60% 이하 수준이었고, 지방은 27% 이상의 높은 수준이었으며, 탄수화물은 주중에, 지방은 주말에 유의적으로 높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따른 섭취비율을 보면 에너지는 1일 평균, 주중 및 주말 모두 필요추정량의 82~89%를 섭취하였으며, 식이섬유, 칼슘, 칼륨, 비타민 C, 리보플라빈 및 엽산의 섭취량은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중 권장섭취량 및 적정섭취량의 75% 이하 수준이었다. 주말보다는 주중의 섭취비가 다소 높았으며, 식이섬유, 인, 철, 칼륨,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C, 나이아신 및 엽산은 주말에 비해 주중의 섭취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6) 식사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MAR을 보면 1일 평균 0.77이었고, 주중 0.84 주말 0.70으로 주중에 비해 주말에 유의적으로 낮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서울지역 여자 고등학생은 주중에 비해 주말에 불규칙적인 식생활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생활의 규칙성을 평가할 수 있는 결식률도 주중보다는 주말이 더 높았고, 식사의 다양성을 평가할 수 있는 식품섭취가짓수는 주말보다 주중이 더 많아 주중과 주말의 식행동에 많은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식사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MAR 역시 주말에는 0.70로 주중의 0.84에 비해 낮은 수준이어서 영양소섭취상태가 주중보다는 주말에 문제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이섬유, 칼슘, 칼륨, 비타민 C, 리보플라빈, 엽산의 섭취 부족을 초래하여 급속한 성장이 이루어지는 청소년기에 성장의 불균형과 체력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ood and nutrient intakes on weekdays and weekends was examined with 196 high school girls residing in Seoul using the 3-day food record. Frequency for skipping breakfast was higher than that for lunch and dinner. Frequencies for skipping breakfast and lunch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weeken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 일부지역 여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주중과 주말의 식품 및 영양소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의 체중은 54.
  • 본 연구는 서울지역의 여자고등학생 196명을 대상으로 주중과 주말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청소년기의 식품 및 영양소섭취는 성인기의 식생활 및 건강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여자청소년은 신체발달뿐만 아니라 성적성숙과 함께 임신과 출산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므로, 이 시기에 다양하고 균형 잡힌 영양소섭취를 통한 올바른 식습관 및 식생활 형성이 더욱더 중요하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여자청소년의 식습관, 식생활 형태 및 영양교육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청소년기의 서울지역 여자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체위, 식이섭취 및 영양소섭취를 주중과 주말로 나누어 조사 분석함으로써 여자고등학생의 적절한 식품 및 영양소섭취를 위한 연구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느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학동기에서 성인기로 변화하는 시기로 급격한 성장과 발달은 물론 사회·심리적인 변화가 일어나는시기이다. 특히 이 시기에는 사춘기가 포함되어 성적인 성숙뿐만 아니라 제 2의 급성장이 일어난다.
청소년기의 적절한 영양공급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학동기에서 성인기로 변화하는 시기로 급격한 성장과 발달은 물론 사회·심리적인 변화가 일어나는시기이다. 특히 이 시기에는 사춘기가 포함되어 성적인 성숙뿐만 아니라 제 2의 급성장이 일어난다.1) 이에 따라 열량 및 영양소의 필요량이 어느 시기보다 더 증가하며 이때의 영양섭취는 일생을 통해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 시기에 적절한 영양공급이 매우 중요하다.2)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비만이 되기 쉬운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대학진학에 대한 심한 스트레스, 과중한 학업, 가공식품 및 즉석식품의 선호도 증가, 간식의 증가 및 운동부족 등으로 인해 비만이 되기 쉽다.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이러한 발달적 비만은 신체상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갖게 하며, 심각한 사회부적응의 문제를 초래하여 삶의 적극적 책임자로서의 느낌을 성취하지 못하도록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Lee JW, Lee MS, Kim JH, Son SM, Lee BS. Nutritional assessment. Kyunggi, Kyomun Publishing Co.; 2008 

  2. Cosper BA, Wakefield LH. Food choices woman. Personal, attitude, and motivational factors. J Am Diet Assoc 1975; 66: 152-155 

  3. Kim EK, Nam HW, Park YS, Myung CO, Lee KW. Nutrition across the life span. Seoul, Shinkwang Publishing Co.; 2008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Seoul; 2008 

  5. Choi MJ, Yun SJ. The interes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or weight control and nutrient intake status in the Daegu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7; 17: 329-337 

  6. Kim BR, Kim YM. A study on the food habits and the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cheon. Korean J Home Economics Education 2005; 17: 35-52 

  7. Chai HJ, Hong H, Kim HS, Lee JS, Yu CH. A study on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weekday and weekend among high school boys in Seoul. Korean J Nutr 2008; 41: 539-549 

  8. Kim CS, Hong H, Kim JY, Maeng WJ, Lee JS. A study on nutrient intake status and food sources of iron by dietary iron density of high school girls in Seoul. Korean J Nutr 2007; 40: 371-384 

  9.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Can Pro 3.0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2006 

  10.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06 

  11. Kim YO, Suh I, Nam CM, Kim SI, Park IS, Ahn HS. Macronutrient intake and blood pressure of adolescents in rural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996; 1: 366-375. 

  12. Lee RD, Nieman DC. Nutritional assessment, 4th ed. McGraw- Hill, New York; 2007 

  13. http://www.kosso.or.kr/kong/pop.htm 

  14. Kang. JH. Evaluation criteria of health body weight in Koreans- Focus on obes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 397-401 

  15. Park SJ, Park YJ. A study on concern about weight control,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and nutrients intake according to weight control attempt among high school girls in Seou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1; 11: 356-367 

  16. Lee EJ, Soh HK, Choi BS. Problems analysis related to nutrition and the developmen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r high school students (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7; 17: 338-350 

  17. Yi BS, Yang IS. An exploratory study for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 25-38 

  18. Cho SH, Yu HH.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 519-533 

  19. Kim BR, Kim YM. Evaluation of food intake and diet quality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Home Economics Education 2005; 17: 83-96 

  20. Shim JE, Park HY, Moon HK, Kim YO.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f Koreans by age groups: (2) food and food group intakes. Korean J Nutr 2001; 34: 568-579 

  21. Park MY, Park EJ, Chung YJ. Evaluation of diet quality of Korean adolescents based on nutrient and food and food group intake. Chungnam J Home Economics 2005; 18: 95-110 

  22. Jung IK.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s and factors related to dietary behavior of women by age groups in I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 46-58 

  23. Lee JS, Yun JW. A study on perception about body image, dietary attitude, dietary self-efficacy and nutrient intake of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3; 32: 295-301 

  24. An GS, Shin DS. A comparison of the food and nutrient intake of adolescents between urban areas and islands in South Ky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2001; 6: 271-281 

  25. Song YJ, Joung HJ, Kim YN, Paik HY. The physical development and dietary intake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Food and 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2006; 39: 50-57 

  26. Cho JW. Analysis of regional dietary intake of adolescents in Korea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27. Park ES, Lee YS, Joo EJ. Effects of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n nutrient intake in high school girl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96; 6: 167-176 

  28. Lee MS, Sung CJ, Sung MK, Choi MK, Lee YS, Cho KO. A comparative study on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s among high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exes residing in Seoul and Kyunggi-do. Korean J Community Nutr 2000; 5: 141-151 

  29. Kim MH, Sung CJ. The study of relationship among serum leptin, nutritional status, serum glucose and lipids of middle-school girls. Korean J Nutr 2000; 33: 49-5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