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곡(石斛), 석류(石榴)의 항산화, 항염증, 주름, 미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ndrobii herba and Punica granatum Extract on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wrinkle and Whitening 원문보기

韓方眼耳鼻咽喉皮膚科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v.23 no.3, 2010년, pp.11 - 32  

황보민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교실) ,  노석선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교실) ,  서형식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endrobii herba extract and Punica granatum extract on skin disease and skin beauty. Methods : To investigat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ssay, ethanol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tested by DPPH radical, xanthine oxidase activit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石斛는 어떤 증상에 사용되는가? 石斛은 난초과(蘭科 ; Orchidaceae)에 속한 Dendrobium nobile Lindl. 또는 기타 동속근연식물의 지상부를 건조한 것으로 性味는 甘寒하며 益胃生津, 滋陰淸熱하는 효능이 있어 熱病傷津, 口乾煩渴, 病後虛熱, 目暗不明 등의 증상에 사용할 수 있다. 石榴는 석류과(石榴科;Punicacea) 석류나무Punica granatum L.
피부와 점막의 역할은 무엇인가? 피부와 점막은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또는 내부에서 생겨난 유해한 인자들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정 원인에 의해 피부 방어체계가 붕괴되면 여러 피부질환이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즉, 피부와 점막은 가장 외부에 존재하며 다양한 외부의 변화에 반응하고 내부의 변화를 직접적으로 밖으로 드러내 보이는 기관이다.
石斛의 약리학 상 중요 성분은 무엇인가? 아울러 强壯劑로서의 石斛은 益精補精작용을 하며, 治風劑로서의石斛은 風痺를 치료하므로 中風半身不隨, 神經障碍 등에 응용할 수 있다. 약리학 상 중요성분으로 dendrobine, dendramine, nobilonine, dendroxine,dendrine, 6-hydro-xydendroxine, 점액질과 전분 등이 함유되어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4)

  1. 대한피부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편저. 皮膚科學 개정4판. 서울:麗文閣. 2000:45. 

  2. 박광균. 구강생화학. 서울:군자출판사. 1999: 318-25. 

  3. Ehab E. Tuppo, Hugo R. Arias. The role of inflammation in Alzheimer's disease. The internatinal Journal of Biochemistry & Cell Biology. 2004;37:289-305. 

  4. 盧石善. 原色皮膚科學, 서울:아이비씨기획. 2006:111-21, 653, 739. 

  5. Chung JH. Photoaging in Asians.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2003;19:109-21. 

  6. 정진호, 조윤희. 미용관련 기능성 실험, 건강기능식품 시험가이드 한국보건공정서연구회. 2003:821-58. 

  7. Deyama T., Nishibe S., Nakazawa Y. Constituents and pharmacological effects of Eucommia and Siberian ginseng. Acta Pharmacol Sin. 2001;22:1057-70. 

  8. Randall, V. A. Androgen and human hair growth. Clin. Endoclinol. 1994;40:439-57. 

  9. Russel D.W., Wilson, J.D. Steroid $5\alpha$ -reductase. two genes/two enzymes. Annu.Rev..Biochem. 1993;63:25-61. 

  10. Rhodes L, Harper J, Uno H, Gaito G, Kurata S, Berman C, Primka R. and Dikounis B. The effects of finasteride on hair growth, hair cycle, and serum testosterone and dihydrotestosterone in adult male and female stumptailed macaques (Mocaca arctoides). J.Clin.Endocrinol.Metab. 1994;79:991-6. 

  11. 조재훈, 김혜정, 김윤범. 鹽 醋 香油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3;16(2):79-95. 

  12. Jung JH. Photoaging.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2003;19:109-21. 

  13. 原案徵中醫學院. 中醫臨床手冊. 서울:성보사. 1983:1-4. 

  14. 全國韓醫科大學 本草學敎室 共編書. 本草學. 서울:영림사. 1995:650-2, 681-2. 

  15. 한홍준, 김종환, 조한백, 최규섭. 석곡이 난소적출로 골다공증이 유발된 흰쥐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0;13(2):120-35. 

  16. 김영균, 양기호, 조수인. 석곡의 항산화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5;20(4):53-60. 

  17. Mizue O, Wenzhe F, Koji H, Quanbo X, Yasuhiro T, Katsuko K, Tsuneo N, Tomohro S, Kenji T and Shigetoshi K.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traditional nourishing-tonic heral medicines and active constituents of Rhodiola sacr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999;67 (1):1111-9. 

  18. 최원균, 정교순, 조규성, 황명오, 유영숙. 이란산 흑석류 농축액과 그 제품의 성분 및 함유된 Phyto 에스트로겐류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002;15(2):119-25. 

  19. 고종호, 황명오, 문주수, 황성연, 손종연. 석류씨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한국조리과학학회지. 2005;21(2):171-9. 

  20. 심선미, 최상원, 배송자. 석류 추출서운이 암세포 증식 억제와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1; 30(1):80-5. 

  21. 한복진. 장내 균총조절에 유효한 소재의 탐색 및 목통, 석류, 치커리의 평가. 한양대학교 대학원:식품영양학과. 1995. 

  22. 노보경. 석류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작용. 중앙대학교 대학원:향장품학과. 2005. 

  23. Blo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958;191:1199. 

  24. Sweeney AP, Wyllie SG, Shalliker RA, Markham JL.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of selected Australian native plants. J Ethnopharmacol. 2001;75:273-7. 

  25. Wadsworth TL, Koop DR. Effects of Ginkgo biloba extract and quercetin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release of nitric oxide. Chem. Biol. Interact. 2001;137: 43-58. 

  26. Hinz B, Brune K, Rau T, Pahl A. Flurbiprofen enantiomers inhibit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RAW264.7 macrophages. Pharm.Res. 2001; 18:151-6. 

  27. Chomczynski P, Sacchi N. Single-step method of RNA isolation by acid guanidinium thiocyanate-phenol-chloroform extraction. Anal Biochem. 1987;162:156-9. 

  28. 노민수, 하준용, 이창훈, 이우영, 이수환, 이정준. 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의해 유도되는 대식 세포의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을 저해하는 천연물의 탐색. 생약학회지. 1998;42:558-66. 

  29. Kim SN, Son SC, Lee SM, Kim CS, Yoo DG, Lee SK, Hur GM, Park JB, Jeon BH. Midazolam inhibits proinflammatory mediators in the lipopolysaccharideactivated macrophage. Anesthesiology. 2006;105:105-10. 

  30. 강준, 송호섭. 봉약침액과 Melittin에 RAW 264.7細胞의 NO, iNOS 및 MAPK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94;21(3):107-19. 

  31. Beekman B, Drijfhout JW, Bloemhoff W, Ronday HK, Tak PP, te Koppele JM. Convenient fluorometric assay for matrix metalloproteinase activity and its application in biological media. FEBS Lett. 1996;390:221-5. 

  32. 부희정, 함영민, 김정미, 이선주, 이남호. 감태에서 분리한 Phlorotannin 성분의 Elastase 저해활성 및 Hyaluronidse 저해 활성. 생약학회지. 2006;37:92-6. 

  33. Roh JS, Han JY, Kim JH, Hwang JK. Inhibitory effects of 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s for melanogenesis. Biol Pharm Bull. 2004;27:1976-8. 

  34. Shrayer DP, Lukoff H, King T, Calabresi P. The effect of Taurolidine on adherent and floating subpopulations of melanoma cells. Anticancer Drugs. 2003;14:295-303. 

  35. Denizot F, Lang R.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 growth and survival. Modifications to the tetrazolium dye procedure giving improved sensitivity and reliability. Immunol.Methods. 1986;89:271-7. 

  36. 대한병리학회. 병리학. 서울:고문사. 1995: 71-104. 

  37. 陳實功. 外科正宗. 天津:天津科學技術出版社. 1993:47. 

  38. 楊維傑. 黃帝內經解釋. 서울:成輔社. 1997:147, 210, 299, 349, 456. 

  39. 華 陀. 中藏經:劉河間三六書. 서울:成輔社. 1976:82. 

  40. 王 燾. 外臺秘要.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2: 107, 625-31. 

  41. 薛 己. 薛己醫案. 서울:成輔社. 1976:349-55. 

  42. 嚴用和. 濟生方. 서울:東洋醫藥大學. 1965:61-8. 

  43. 危亦林. 得效方. 서울:東洋醫藥大學. 1965:613. 

  44. 김륭규, 신경민, 천상국, 지사영, 서성훈, 박희준, 최종원, 이경태. 넙취 정유의 murine macrophage Raw 264.7 세포에서의 in vitro 항암효과. 약학회지. 2002;46(5):343-9. 

  45. 서영준. 발암과정에 있어서 cyclooxigenase-2의 역할 및 그 저해를 통한 화학 암예방. 분자세포생물학뉴스. 2002;13:8-17. 

  46. Lee B.G., Kim S.H., Zee O.P., Lee K.R., Lee H.Y., Han J.W. and Lee H.W. Sup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in RAW 264.7 macrophage by two $\beta-carboline$ alkaloids extracted from Melia azedarach. European J. Pharmacol. 2000;406:301-9. 

  47. Kim E.J., Jin H.K., Kim K., Lee H.Y., Lee S.Y., Lee K.R., Zee O.P., Han J.W. and Lee H.W. Suppression by a sesquiterpene lactone from Carpesium divaricantum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by inhibiting nuclear $factor-{\kappa}B$ activation. Biochem. Pharmarol. 2001;61: 903-10. 

  48. Aeberi D., Oertle S., Mauron H., Reichenbach S., Jordi B. and Villiger P. Inhibition of the TNF-pathway:use of infliximab an etanercept as remissioninducing agents in case of therapy-resistant chronic inflammatory disorders. Swiss Med. Wkly. 2002;132:414-22. 

  49. 오세관, 오억수 역(야마모토 타다시, 센바 켄편집). 키워드로 해석하는 세포신호전달 일러스트 맵. 서울:월드사이언스. 2006:21-2, 29-31. 

  50. 문태철, 정규찬, 손건호, 김현표, 강삼식, 장현욱. 천연물로부터 COX-2 저해제 검색. 약학회지. 1998;42:214-9. 

  51. 최인장 역(일본 생화학회 편집). 세포운명과 세포기능을 조절하는 구조 정보 전달 제6장 MAP 카아나제. 서울:월드사이언스. 2006: 93-104. 

  52. 김경동. 한방 천연식물의 항산화 및 자외선 흡수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2004; 10(2):145-53. 

  53. 강원형. 피부질환 아틀라스. 서울:한미의학. 2003:8, 137, 259-60, 289-93, 337-40, 369-71, 381-4. 

  54. Jung JH., Photoaging. Photodermatol Photoimmunol Photomed. 2003;19:109-21. 

  55. 程士德. 素問注釋匯粹.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2:395-6. 

  56. 李 ?. 編註醫學入門. 서울:대성문화사. 1990: 29, 224. 

  57. 趙 佶. 聖濟總錄.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7: 1763. 

  58. 許 浚. 東醫寶鑑. 서울:대성문화사. 1990:97-8, 308-9. 

  59. 祁 坤. 外科大成. 臺北:文光圖書有限公司. 1980:211-2. 

  60. 박호순, 김혜정, 김윤범. 가미귀비탕의 미백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4;17(2):48-58. 

  61. Pawelek JM, Korner AM. The biosynthesis of mammalian melanin. Am Sci. 1982; 70:136-45. 

  62. Kobayashi T, Urabe K, Winder A, Tsukamoto K, Brewington T, Imokawa G, Potterf B, Hearing VJ. DHICA oxidase activity of TRP 1 and interactions with other melanogenic enzymes. Pigment Cell Res. 1994;7:227-34. 

  63. Korner AM, Pawelek J. Mammalian tyrosinase catalyzes three reactions in the biosynthesis of melanin. Science. 1982; 217:1163-5. 

  64. Seiji M, Shimao K, Birneck MS, Fitzpatrick TB. Subcellular localization of melanin biosynthesis. Ann NY Acad Sci. 1963;100:497-5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