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석류 내피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Pomegranate Endocarp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2, 2011년, pp.1635 - 1641  

진소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식부위가 20~30%로 과즙 착즙 시 주로 버려지고 있으나 석류의 부위별 추출물 중 가장 항산화성이 우수한 천연식품 소재인 석류 내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천연항산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석류 내피 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용매에서 극성이 높은 용매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각 측정 방법 별로 항산화 활성에 있어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ethyl acetate 분획의 항산화능이 높게 측정되었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에서 $IC_{50}$이 각각 2.40 ${\mu}g$/mL, 2.88 ${\mu}g$/mL로 기준 물질인 ascorbic acid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에서 ethyl acetate과 butanol 분획물의 $IC_{50}$은 각각 58.94 ${\mu}g$/mL, 61.91 ${\mu}g$/mL로 기준물질인 tannin acid보다 항산화능이 우수하였다. $ABTS^+$ 소거활성에서 ethyl acetate와 butanol 분획물의 $IC_{50}$은 각각 39.26 ${\mu}g$/mL, 40.95 ${\mu}g$/mL로 나타났으며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0.1 mg/mL)의 흡광도가 1.404로 기준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활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SOD 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는데 SOD 유사활성은 $42.88{\pm}0.66%$(dichloromethane), $15.43{\pm}0.85%$(butanol), $12.82{\pm}0.68%$(water)이었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서 dichloromethane 분획물의 $IC_{50}$은 115.54 ${\mu}g$/mL로 기준물질인 ascorbic acid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석류 내피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폐자원으로써 버려지는 석류 내피는 식품첨가물 등의 기능성 소재로의 이용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ies of pomegranate endocarp extracts. Pomegranate endocarp extract contains the highest antioxidant function compared to pomegranate extracts from other parts. Pomegranate endocarp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hexane, dichloromethane, ethy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류의 부위별 추출물 중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능이 가장 높으나 주스 착즙 후 버려지는 국내산 석류 내피의 최적 추출조건 및 추출용매에 따른 수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 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용매에서 극성이 높은 용매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한 후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가식부위가 20~30%로 과즙 착즙 시 주로 버려지고 있으나 석류의 부위별 추출물 중 가장 항산화성이 우수한 천연식품 소재인 석류 내피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천연항산화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석류 내피 추출물을 극성이 낮은 용매에서 극성이 높은 용매로 순차적으로 계통 분획하여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SOD-like activities of extract of Korean pomegranate endocarp. 1)Value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among various fraction. 2)Values with different capital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among various concentration.
  • 1)Value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among various fraction. 2)Values with different capital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among various concentration.
  • 1)Values with different small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among various fraction. 2)Values with different capital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among various concentration.
  • 2)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 3)Values with different lette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5% leve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류란 무엇이며 자생지는 어디인가? 석류(pomegranate; P unica granatum L.)는 석류나무의 열매로 아프가니스탄과 이란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서남부 및 인도의 북서부가 자생지이다. 최근 들어 식물성 에스트로겐과 같은 석류의 기능성 성분이 주목받으면서 석류의 성분 분석과 생리활성 및 특성 그리고 섭취효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8-14).
합성 항산화제로는 무엇이 있는가? 식품산업이 발달하면서 가공식품과 이를 위한 식품첨가물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식품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수많은 항산화 물질들이 개발 및 이용되어 왔는데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 anisole(BHA)이나 butylated hydroxy toluene(BHT) 등은 가격이 저렴하고 우수한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반면 과잉섭취 시 독성이 우려되어 사용이 기피되고 있기(1) 때문에 화학적 합성 첨가물에 대한 일반인들의 안전성에 대한 염려가 높아지고 있다. 식품 중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천연 항산화제로는 ascorbicacid 및 tocopherol, phenol성 화합물, flavone 유도체, car-otenoids, glutathion, 아미노산 등이 밝혀져 있다(2).
천연 항산화제 중 tocopherol 같은 천연물이 가지는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식품 중에 존재하는 대표적인 천연 항산화제로는 ascorbicacid 및 tocopherol, phenol성 화합물, flavone 유도체, car-otenoids, glutathion, 아미노산 등이 밝혀져 있다(2). 그러나 tocopherol 같은 천연물은 안전성이 우수하여 사용에 관한 법적 규제가 없으나 가격이 비싸고 항산화효과가 제한적이므로 다양하게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3). 때문에 천연물질 중에서도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천연항산화제를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국내에서 지금까지 보고된 천연 항산화제로는 대두(4), 쑥(5), 냉이(6) 등과 같은 식용으로 쓰이는 식물이나 녹차, 목단피, 작약, 홍화씨 등과 같은 생약재에서 항산화 물질을 탐색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Yang GH, Choi SY.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2. Ames BN, Saul RL. 1987. Oxidative DNA damage, cancer and aging, oxygen and human disease. Ann Inter Med 107: 536-539. 

  3. Cort WM. 1974. Antioxidant activity of tocopherols, ascobyl palmitate and ascorbic acid and their mode of action. J American Oil Chemists' Society 51: 321-325. 

  4. Bae EA, Moon GS. 1997.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of Korean soybea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03-208. 

  5. Cha BC, Lee HW, Lee E, Choi MY, Rhim TJ, Park HJ. 1997. Antioxidant effect of domestic plants. Kor J Pharmacol 28: 15-20. 

  6. Kwak JH, Kweon MH, Ra KO, Sung HC, Yang HC. 1996. Purific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er from Capsella bursa-pastoris. Kor J Food Sci Technol 28: 184-189. 

  7.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8. Bae SY. 2004. Identification of linoleic acid and conjugated linolenic acid as phytoestrogenic components from Punica grenatum.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9. Lansky EP, Harrison G, Froom P, Jiang WG. 2005. Pomegranatepure chemicals show possible synergistic inhibition of human PC-3 prostate cancer cell invasion across $Matrigel^{TM}$ . Invest New Drugs 23: 121-122. 

  10. Shim SM, Choi SW, Bae SJ. 2001. Effects of Punica granatum L. fractions on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n several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0-85. 

  11. Yu HK. 2006. Antioxidative effects and phytoestrogenic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pomegranate seeds. Ph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Gyeonggi, Korea. 

  12. Koh JH, Hwang MO, Moon SJ, Hwang SY, Son JY. 2005.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omegranat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71-179. 

  13. Roh BK. 2005.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ies of Punica granatum extracts.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Gyeonggi, Korea. 

  14. Kwak HM. 2006. $\beta$ -Secretase (BACE1) inhibitors from pomegranate peel.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5. Lee YE, Hong SH. 2003. Herbal food material science. Kyomunsa, Seoul, Korea. p 82. 

  16. Zhongli P, Wenjuan Q, Haile M, Griffiths GA, Tara MH. 2011. Continuous and pulsed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s of antioxidants from pomegranate peel. Ultrason Sonochem 19: 365-372. 

  17. Negi PS, Jayaprakasha GK, Jena BS. 2003.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pomegranate peel extracts. Food Chem 80: 393-397. 

  18. Jin SY. 2011.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rean and Iranian pomegranat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063-1072. 

  19. Yunfeng Li, Changjiang G, Jijun Y, Jingyu W, Jing X, Shuang C. 2006. Evaluation of antioxidant properties of pomegranate peel extract in comparison with pomegranate pulp extract. Food Chem 96: 254-260. 

  20. Ulrike AF, Reinhold C, Dietmar RK. 2011.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peel, mesocarp, aril and differently produced juices by HPLC-DAD- $ESI/MS^n . Food Chem 127: 807-821. 

  21. Woo WS. 2001. Methods for natural products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 12. 

  22. Blois MS. 1958. Antioxidants determination by the use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1200. 

  23. Marklund S, Gudrun M.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J Biochem 47: 469-474. 

  24. Liu F, Ooi VEC, Chang ST. 1997. Free radicals scavenging activity of mushroom polysaccharide extract. J Life Science 60: 763-771. 

  25. Zhao GR, Xiang ZJ, Ye TX, Yuan YJ, Guo ZX. 2006. Antioxidant activities of Salvia miltiorrhiza and Panax notoginseng. J Food Chem 99: 767-774. 

  2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7. Siddhuraju P, Becker K. 2007. The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rocessed cowpea seed extracts. Food Chem 101: 10-19. 

  28.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 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e amine. Japanese J Nutrition 44: 307-315. 

  29. Kato H, Lee IE, Chyen N, Kim SB, Hayase F. 1987. Uninhibitory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30. Kim MS, Kim KH, Jo JE, Choi JJ, Kim YJ, Kim JH, Jang SA, Yook HS. 2011.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Har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7-55. 

  31. Bang MH, Song JC, Kim SL, Hur HS, Baek NI. 2001.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 from the root of Zingiber officinale R.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202-205. 

  32. Ju MJ, Do JR, Kwon JH, Kim HK. 2009.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istletoe extracts from Viscum alb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29-534. 

  33. Lee YS, Jang SM, Kim NW.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 of the Angelica dahurica roo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0-26. 

  34. Calliste CA, Trouilla P, Allais DP, Simon A, Duroux JL. 2001.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measured by 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scopy and B16 cell antiproliferative behaviors of seven plants. J Agric Food Chem 49: 3321-3327. 

  35. Lim BG, Ryu BH. 2004. Screening of antioxidative compounds towar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from useful plants. Korean J Food Nutr 17: 138-146. 

  36.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9-36. 

  37. Heo Sl, Wang MH.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effect of extracts from Taraxacum mongolicum H. Kor J Pharmacogn 39: 255-259. 

  38. Chung HJ. 2010.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ifferent part extracts of Physalis alkekengi var. francheti. Korean J Food Preserv 17: 867-873. 

  39. Bae YI, Jeong CH, Shim KH. 2002. Nitrite-scavenging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various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loquat (Eriobotrya japonica, Lindl.). Korean J Food Preserv 9: 92-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