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강 페놀산 농축물의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henolic Acid Concentrates of Rice Bra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5 = no.213, 2010년, pp.593 - 597  

정은희 (한국식품연구원) ,  황인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하태열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미강으로부터 생리활성이 있는 페놀산물질을 얻기 위해 다양한 추출법을 시도하였고, 얻어진 미강 페놀산 농축물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미강 추출물 중 알칼리 가수분해를 시행한 다음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은 RBE-II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페놀산 성분의 농축 및 정제를 위해 Sep-pak $C_{18}$ Vac cartridge를 통과시켜 미강 페놀산 농축물(F1-RBE-II)을 얻었다. HPLC 분석을 통해 얻어진 페놀산 성분 중 ferulic acid가 가장 많았고, p-coumaric acid, sinapic acid, vanillic acid, 그리고 syringic acid가 존재하였으며, 그 구성성분이 주로 hydroxycinnamic acid 계열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PPH radical과 ABTS radical 소거능에서 미강 페놀산 농축물(F1-RBEII)는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며, ${\beta}$-CLMS을 이용한 지질산화 유도반응에서도 우수한 peroxy radical 저해능을 발휘하여, 합성 항산화제인 BHA의 활성과 비교했을 때 높은 과산화 지질억제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미강 페놀산 농축물의 성분 및 강한 항산화 능력이 확인됨으로천연 항산화제 및 지방 산화 방지제로 개발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henolic acid concentrates of rice bran. Rice bran contains bioactive substances such as phenolic compounds, which can provide health benefits as natural antioxidants. This study examined how levels of phenolic acids can be obt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미강의 페놀산 화합물 분리 및 농축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 HPLC을 이용해 농축물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미강으로부터 생리활성이 있는 페놀산물질을 얻기 위해 다양한 추출법을 시도하였고, 얻어진 미강 페놀산 농축물의 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내 활성 산소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이러한 만성 질환 및 노화의 주된 원인은 스트레스로부터 기인한 신체 내 활성 산소량 증가를 들 수 있으며, 증가된 활성 산소들은 단백질, 세포막, DNA, 지질 성분 등을 불안정하게 하여 손상을 유도함으로서 세포나 조직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여 다양한 질환을 유발시킨다(3). 이와 같은 활성 산소들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항산화제를 적당히 섭취해 줌으로서 예방할 수 있으며, 자연에 존재하는 천연 항산화제로는 비타민 C, tocopherol과 최근에 연구가 많이 되어 주목받고 있는 dietary phytochemicals인 carotenoid, flavonoid, phenolic acid 등이 있으며 항산화 활성 뿐 아니라 항암, 항당뇨, 항콜레스테롤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있어서 인간의 건강 유지와 질병 예방을 위해 이들 성분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4). 한편, 우리가 매일 섭취하고 있는 쌀에는 3대 영양소와 함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물질이 존재하는데, 최근에는 전곡류 식품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백미보다는 현미, 발아현미, 미강 등의 영양성 및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자연에 존재하는 천연 항산화제의 종류는? 이러한 만성 질환 및 노화의 주된 원인은 스트레스로부터 기인한 신체 내 활성 산소량 증가를 들 수 있으며, 증가된 활성 산소들은 단백질, 세포막, DNA, 지질 성분 등을 불안정하게 하여 손상을 유도함으로서 세포나 조직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여 다양한 질환을 유발시킨다(3). 이와 같은 활성 산소들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항산화제를 적당히 섭취해 줌으로서 예방할 수 있으며, 자연에 존재하는 천연 항산화제로는 비타민 C, tocopherol과 최근에 연구가 많이 되어 주목받고 있는 dietary phytochemicals인 carotenoid, flavonoid, phenolic acid 등이 있으며 항산화 활성 뿐 아니라 항암, 항당뇨, 항콜레스테롤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있어서 인간의 건강 유지와 질병 예방을 위해 이들 성분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4). 한편, 우리가 매일 섭취하고 있는 쌀에는 3대 영양소와 함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갖는 물질이 존재하는데, 최근에는 전곡류 식품의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백미보다는 현미, 발아현미, 미강 등의 영양성 및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심장병, 암, 당뇨병 등 만성 질환의 주된 원인은? 최근 역학조사에서 전곡류와 같이 가공이 덜 된 식품의 소비를 늘릴수록 심장병, 암, 당뇨병 등 만성 질환에 걸릴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1,2). 이러한 만성 질환 및 노화의 주된 원인은 스트레스로부터 기인한 신체 내 활성 산소량 증가를 들 수 있으며, 증가된 활성 산소들은 단백질, 세포막, DNA, 지질 성분 등을 불안정하게 하여 손상을 유도함으로서 세포나 조직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여 다양한 질환을 유발시킨다(3). 이와 같은 활성 산소들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항산화제를 적당히 섭취해 줌으로서 예방할 수 있으며, 자연에 존재하는 천연 항산화제로는 비타민 C, tocopherol과 최근에 연구가 많이 되어 주목받고 있는 dietary phytochemicals인 carotenoid, flavonoid, phenolic acid 등이 있으며 항산화 활성 뿐 아니라 항암, 항당뇨, 항콜레스테롤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고 있어서 인간의 건강 유지와 질병 예방을 위해 이들 성분을 활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ushi LH, Meyer KA, Jacobs JD. Grains, legumes, and chronic disease risk reduction. Evidence epidemiological studies. Am. J. Clin. Nutr. 70: 451s-458s (1999) 

  2. Simin L, Meir JS, Frank BH, Edward G, Eric R, Joann EM, Charles HH, Walter CW. Whole-grain consumption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Result from the nurse's health study. Am. J. Clin. Nutr. 70: 412-419 (1999) 

  3. Scalbert A, Manach C, Morand C, Remesy C. Dietary polyphenols and the prevention of diseases. Crit. Rev. Food Sci. 45: 287-306 (2005) 

  4. Graf E, Eaton JW. Antioxidant function of phytic acid. Free Radical Bio. Med. 8: 61-69 (1990) 

  5. Cheruvanky R. Phytochemical Functional Foods, Phytochemical Products: Rice Bran.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p. 347-376 (2000) 

  6. Ogiwara T, Satoh K, Murakami Y, Unten S, Atsu T, Sakagami H, Fujisawa 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ferulic acid. Anticancer Res. 22: 2711-2717 (2002) 

  7. Chun HS, You JE, Kim IH, Cho JS. Comparative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ice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371-1377 (1999) 

  8. Faulds CB, Williamson G. The role of hydroxycinnamates in the plant cell wall, review. J. Sci. Food Agr. 79: 393-395 (1999) 

  9. Bourne LC, Rice-Evans C. Bioavailability of ferulic acid. Biochem. Bioph. Res. Co. 253: 222-227 (1998) 

  10. Chesson A, Provan GJ, Russell WR, Scobbie L, Richardson AJ, Stewart C. Hydroxycinnamic acids in the digestive tract of livestock and human. J. Sci. Food Agr. 79: 373-378 (1999) 

  11. Sosulski F, Krygier K, Hogge L. Free, esterified, and insolublebound phenolic acids. 3. Composition of phenolic acids in cereal and potato flours. J. Agr. Food Chem. 30: 337-340 (1982) 

  12. Zhou Z, Robards K, Helliwell S, Blanchard C. The distribution of phenolic acids in rice. Food Chem. 47: 401-406 (2004) 

  13. Kim SR, Ahn JY, Lee HY, Ha TY. Various properties and phenolic acid contents of rices and rice brans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930-936 (2004) 

  14. Kim YS. Functionality of fermented rice bran and its utilization. Ministry of Agriculture, Seoul, Korea. pp. 31-32 (2003) 

  15. Kafui KA, Rui HL. Antioxidant activity of grains. J. Agr. Food Chem. 50: 6182-6187 (2002) 

  16. Singleton VL, Rossi JA.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965) 

  17.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1 (1958) 

  18.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 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1237 (1999) 

  19. Taga MS, Miller EE, Pratt DE. Chia seeds as a source of natural lipid antioxidants. J. Am. Oil Chem. Soc. 61: 928-931 (1984) 

  20. Fausta N, Mirella N, Maurizio DF, Cristina S. Benzoic and cinnamic acid derivatives as antioxidants: Structure-activity relation. J. Agr. Food Chem. 47: 1453-1459 (1999) 

  21. Hiroe K, Masashi H, Kanae H, Kayo A, Hisaji T.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ulic acid and its related compounds. J. Agr. Food Chem. 50: 2161-2168 (2002) 

  22. Kaur C, Kapoor HC.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of some Asian vegetables. Int. J. Food Sci. Tech. 37: 153-161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