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미강으로부터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물질의 초음파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Bioactive Compounds from Rice Bra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9 no.6, 2018년, pp.726 - 733  

감다혜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  조재민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  정현진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  김진우 (선문대학교 식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벼의 도정 부산물을 미강이라고 하며 매년 40-60만 톤의 미강이 도정 부산물로 생산된다. 미강은 일부 가축사료로 사용되거나 버려지는 실정으로 미강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과 같은 고부가가치 물질 생산을 통한 도정 부산물 활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학적 최적화를 통한 미강으로부터 총 폴리페놀 함량(TPC),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TFC) 및 라디칼 소거능 활성(EDA) 증대를 위해 초음파 추출의 주요 공정조건인 추출시간($X_1$), 추출온도($X_2$), 에탄올 농도($X_3$)를 중심합성계획법을 이용하여 최적화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을 통해 최적조건을 도출한 결과 추출온도 $94.9^{\circ}C$, 추출시간 41.6 min, 에탄올 농도 74.0% (v/v) 조건에서 TPC 2.78 mg GAE/g DM, TFC 1.63 mg QE/g DM, EDA 42.86%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초음파 추출공정은 $100^{\circ}C$ 이하의 저온 추출 조건에서 42 min의 짧은 추출을 통해 미강으로부터 생리활성 및 항산화 화합물의 추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미강 추출물의 식품첨가 및 화장품 원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보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ice's waste byproduct is known as a rice bran and produced annually about 400,000 to 600,000 tons. Most of the rice bran are used as a livestock feed or waste disposal, and needed to be used to produce high-added substances, such as bioactive materials. In this study, extraction conditions of t...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농부산물인 미강으로부터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물질 생산 최대화를 위해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을 적용하고 추출 조건을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화하였다. 또한 생리활성물질의 항산화능을 평가하여 미강으로부터 상업화 규모 생리활성물질 생산에 적합한 공정을 제안하여 식품 산업 전반에서 미강의 활용 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부산물인 미강으로부터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물질 생산 최대화를 위해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을 적용하고 추출 조건을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화하였다. 또한 생리활성물질의 항산화능을 평가하여 미강으로부터 상업화 규모 생리활성물질 생산에 적합한 공정을 제안하여 식품 산업 전반에서 미강의 활용 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강으로부터 폴리페놀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하고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출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통계학적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미강 추출물의 TPC, TFC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초음파 추출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각 실험에서 최대값의 반응표면을 superimposing 하여 최적점이라 예상되는 추출 조건인 추출 시간 4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강이 가진 항산화 물질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농산부산물인 미강은 탄수화물 34-52%, 단백질 12-16%, 식이섬유 20-25%와 지방 18-22%로 구성되어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다 알려져 있다. 또한 항산화 활성을 지닌 비타민(A, B1, B6, E), 철분 및 미네랄 등 다양한 영양소들이 함유되어 있으며 γ-오리자놀과 β-시토스테롤 등 항산화 효과가 높은 물질을 포함한다고 알려져 있다[6]. 특히 γ-오리자놀은 쌀 구성성분 중 미강에만 존재하는 물질로서 페룰산과 페루릭산 등과 함께 항산화 작용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항암 효과 및 항균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어 유지 식품의 산화 방지제나 화장품 및 의약품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7-9].
국내 미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0% (w/w)를 차지한다[1]. 국내에서는 매년 40-60만 톤의 미강이 생산되지만 일부만이 미강유 생산에 사용되고 대부분이 가축의 사료로 사용되거나 폐기되는 실정이다. 쌀을 주식으로 삼는 일본 또한 연간 95만 톤의 도정 부산물이 발생하며 세계적으로 매년 5,000만 톤의 미강이 생산되고 있으나 효율적인 처리공정 미확립으로 대부분의 미강은 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2].
미강이란 무엇인가? 벼의 도정 부산물을 미강이라고 하며 매년 40-60만 톤의 미강이 도정 부산물로 생산된다. 미강은 일부 가축사료로 사용되거나 버려지는 실정으로 미강으로부터 생리활성물질과 같은 고부가가치 물질 생산을 통한 도정 부산물 활용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 R. Chun, Y. Y. Lee, D. J. Kim, M. R. Yoon, S. K. Oh, I. S. Choi, and H. C. Hong, Cultivar Comparison on Tocopherols, Tocotrienols, and Antioxidant Compounds in Rice Bran, J. Crop. Sci. Biotechnol., 58(4), 367-375 (2013). 

  2. H. J. Kim, J. H. Wee, and E. J. Yang, Optimal Conditions for Anthocyanin Extraction from Black Rice Bran and Storage Stability of Anthocyanin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10), 1543-1549 (2015). 

  3. S. J. Park, E. S. Kim, Y. S. Choi, and J. D. Kim, Effcts of Sophorae fructus on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Lipid Level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9), 1120-1125 (2008). 

  4. S. J. Oh, J. H. Lee, K. S. Ko, D. B. Shin, and S. C. Ko, Antioxidative activity, including Inhibitory activities of ACE, APN and ${\alpha}$ -amylase, in Theaceae Plants Native to Jeju Island, Korean J. Plant Res., 23(5), 406-414 (2010). 

  5. S. K. Oh, D. J. Kim, A. R. Chun, M. R. Yoon, K. J. Kim, J. S. Lee, H. C. Hong, and Y. K. Kim,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Milling By-products of Rice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4), 624-630 (2010). 

  6. H. Y. Ahn, D. J. Choe, B. K. Kim, J. H. Lee, and Y. S. Cho, Bioactive Material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ed Rice-bran Extract, J. Life Sci., 25(9), 1014-1020 (2015). 

  7. I. H. Kim and C. J. Kim, Separatipon of Oryzanol from the Refining By-Product of Rice Bran Oil, Food Sci. Biotechnol., 23(1), 76-80 (1991). 

  8. E. J. Shin, S. W. Chung, and J. T. Hwang, Effect of ${\gamma}$ -Oryzanol o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of AGS Human Gastric Carcinoma Cell, Biotechnol. Bioprocess Eng., 32(2), 83-89 (2017). 

  9. D. J. Kim, S. N. Ryu, S. J. Han, H. Y. Kim, J. H. Kim, and S. G. Hong, In vivo Immunological Activity in Fermentation with Black Rice Bran, J. Food Nutr., 24(3), 273-281 (2011). 

  10. H. M. Ham, K. S. Woo, Y. Y. Lee, J. Y. Park, B. W. Lee, Y. H. Choi, I. H. Kim, and J. S. Lee,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Rice Bran Extracts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5(11), 1691-1695 (2016). 

  11. T. H. Kim, S. Jang, A. R. Lee, A. Y. Lee, G. Y. Choi, and H. K. Kim,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Swertiamarin in Swertia japonica Makino, Korean J. Herbology., 29(1), 13-18 (2014). 

  12. D. I. Kim and J. H. Hong,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Conditions for Functional Components from Lespedeza cuneat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ing Sci., 28(3), 702-712 (2012). 

  13. M. J. Park, S. B. Kim, S. J. Kim, K. M. Kim, S. Y. Choi, M. Chang, and G. C. Kim, Optimization of spray drying conditions of soft persimmon and milk mixtur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Preserv., 24(7), 957-964 (2017). 

  14. Y. S. Kim, O. J. Kwon, H. J. Suh, and S. Park, Antioxidant properties of brownish natural dyeing agents from medicinal plant, Korean J. Food Preserv., 23(3), 387-392 (2016). 

  15. J. W. Kim, J. S. Moon, and T. B. Choe,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Kenaf Extract and its Flavonoids, Asin. J. Beauty Cosmetol., 12(2), 203-210 (2014). 

  16. Y. J. So, M. W. Lee, K. M. Yoo, H. J. Kang, and I. K. Hwan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utch Coffee Depending on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and Storage, Food Sci. Biotechnol., 46(6), 671-676 (2014). 

  17. J. G. Lee, Antioxidant Activities and Monacolin K Production on Solid-State Fermentation of Diverse Yam by Aspergillus Species Strain, Korean J. Microbiol., 50(1), 53-59 (2014). 

  18. E. H. Lee, N. H. Kim, M. J. Park, E. J. Hong, K. T. Park, B. J. An, D. H. Ahn, and Y. J. Cho, Functional food activities of extracts from Pinus densiflora root, Korean J. Food Preserv., 23(1), 110-116 (2016). 

  19. Y. G. Moon, K. S. Choi, K. J. Lee, K. Y. Kim, and M. S. Heo, Lactic Acid Bacterias Growth,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n Fish Pathogenic Bacteria by Native Plant Extracts, Jeju Island,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5(3), 210-219 (2007). 

  20. J. Y. Hong and S. R. Shin, Study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Metaplexis japonica leaf and stem, Korean J. Food Preserv., 22(6), 878-885 (2015). 

  21. S. B. Yun, Y. R. Lee, N. K. Lee, E. J. Jeong, and Y. S. Jeong, Optimization of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s for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from Ligustrum lucidum Ait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4), 570-576 (2014). 

  22. H. J. Park, G. M. Yoon, S. H. Lee, G. Y. Jang, M. Y. Kim, L. Meishan, J. S. Lee, and H. S. Jeong, Effects of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Rhus verniciflua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1), 1776-1782 (2013). 

  23. Y. S. Kim, R. S. Kim, J. H. Moon, J. R. Ji, H. D. Choi, and Y. K. Park,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of Polyphenolic Compounds from Apple Pomac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od Sci. Biotechnol., 41(3), 245-250 (2009). 

  24. E. J. Kim, J. Y. Choi, M. R. Yu, M. Y. Kim, S. H. Lee, and B. H. Lee,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Food Sci. Biotechnol., 44(3), 337-342 (2012). 

  25. D. L. Min, S. W. Lim, J. B. Ahn, and Y. J. Choi,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Conditions for Antioxidants from Zizyphus jujuba Mill. Leav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Food Sci. Biotechnol., 42(6), 733-738 (2010). 

  26. J. S. Kim, D. J. Hwang, E. J. Kang, K. M. Kim, S. Y. Choi, and G. C. Kim, Antioxidant Capacities and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on Converting Enzyme of Dried Lotus Root by Different Pretreatmen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5(4), 667-671 (2015). 

  27. E. J. Park, J. J. Ahn, and J. H. Kwon, Effect of Reflux Conditions on Extraction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eeze-Dried Schisandra chinensi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5), 550-556 (2013). 

  28. S. K. Oh, D. J. Kim, A. R. Chun, M. R. Yoon, K. J. Kim, J. S. Lee, H. C. Hong, and Y. K. Kim,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Milling By-products of Rice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4), 624-630 (2010). 

  29. D. J. Kim, S. K. Oh, M. R. Yoon, A. R. Chun, H. C. Hong, J. S. Lee, and Y. K. Kim, Antioxidant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70% Ethanol Extracts from Brown and Milled Rice by Cultiv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3), 467-47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