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균포장밥 가공 적합품종 주안벼의 식미특성
Quality Evaluation of Juanbyeo as Aseptic-packaged Cooked Ric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2 no.6 = no.214, 2010년, pp.721 - 726  

오세관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김대중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천아름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윤미라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홍하철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최임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  오예진 ((주) CJ 식품연구소) ,  오기백 ((주) 농심 R&BD 센터) ,  김연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균포장밥 등 가공밥용 기존 원료곡인 추청벼와 고시히까리에 비하여 우수한 품종을 선발하고 식미관련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내 육성 주요 품종에 대한 원료곡의 이화학 성분, 취반특성, 물리적 특성 및 호화 점도 등을 분석한 결과, 밥맛을 판정하는 기준인 단백질 함량은 건물중을 기준으로 고시히까리가 7.13%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주안벼는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조사되어진 원료곡의 취반시 점도 및 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밀로스 함량은 17.9-19.6%의 수준으로서 주안벼가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일품벼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Toyo 윤기치는 대체적으로 높은 값을 보여주었는데 주안벼가 87.4의 윤기치로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원료곡 쌀의 경도(hardness)는 주안벼가 4,399 g/sec로서 기타 품종에 비하여 작은 압력에도 잘 부서지는 부드러운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호화점도(RVA)에 의한 쌀의 강하점도(break down)는 주안벼 110.9, 고시히까리 110.3으로서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최종점도(final viscosity)는 주안벼는 224.1으로 고시히까리 223.5과 유사한 값을 보여주었다. 밥의 노화와 관련이 깊고 최종점도와 최고점도의 차이인 치반점도(setback)의 경우에서도 주안벼가 -23.7로서 호화가 잘 되고 취반미의 노화가 지연되는 특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식은밥 품질이 좋은 것으로 널리 알려진 고시히까리와 매우 유사한 호화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취반 특성 분석결과에서도 주안벼는 고시히까리와 마찬가지로 다른 품종에 비하여 취반미의 흡수율이 좋아 짧은 시간에 취반할 수 있는 가공 적성을 나타내어 가공밥용으로 우수한 품종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무균포장밥의 식미 평가에서는 식미 총평에서 나타내었듯이 더운밥일 경우 대비품종인 추청벼의 -0.02에 비하여 밥맛이 좋다고 알려진 일품벼가 식미총평이 0.56으로서 가장 높았으나, 기타 품종에 비하여 노화가 빠르게 진전되어 식은밥 식미총평은 0.15로 저하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더운밥 식미총평 0.51를 나타낸 주안벼는 밥이 식으면서 밥맛이 향상되어 식은밥 식미총평이 0.69로서 높아졌으며, 대비 품종인 추청벼 0.02보다도 월등히 높았고 고시히까리 0.51을 포함하여 다른 품종에 비하여 밥맛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주안벼는 쌀의 품질이 우수하고 취반특성 및 호화특성이 우수한 품종으로 입증되어 무균포장밥을 비슷한 가공밥용으로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veral varieties of aseptic-packaged cooked rice including Juanbyeo. Quality evaluations, such as by amylose, setback, toyo values and amylogram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Juanbyeo as compared to other samples. In addition, the Juanbyeo aseptic-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무균포장밥의 국내 시장규모는 국내 한 업체의 판매 자료에 따르면 매년 15-20%의 성장률을 보이며 그 판매액이 출시 10년 만에 70억에서 830억 규모로 12배가량 증가하였으며 현재 시장 규모는 연간 1,200억원에 이르고 있다(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맛이 우수한 고품질 벼 품종개발과 미질관련 형질구명을 위한 안정적인 품질분석 및 식미검정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최근 소비 트랜드에 부합되어 쌀 소비확대를 위하여 무균포장밥, 삼각김밥 및 도시락과 같은 편의식품용 가공밥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 식미와 관련된 중요한 원료쌀과 무균포장밥의 특성 평가 및 산업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추진하였다.

가설 설정

  • 1)Values are average±standard deviation (n=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밥의 윤기치를 간이측정하는 Toyo value 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Toyo value는 밥의 윤기치를 간이측정 할 수 있는 palatability 분석으로서 Chun 등(9)의 방법에 따라 시행하였다. 즉, 백미 33 g의 시료를 80℃의 더운물에서 10분간 취반 후 상온에서 3분간 뜸을 들인다. 그 후 Toyo meter(MA-90B, Toyo Engineering Corp., Tokyo, Japan)를 이용하여 3반복으로 윤기치를 측정하였다.
무균포장밥의 국내 시장규모는 어떠한가? 특히 국내 유통되는 무균포장밥은 주식인 밥의 특성상 고품질을 지향하는 대표적인 쌀 가공품으로서 2-3분이라는 단시간내에 간편하게 따뜻한 밥을 먹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무균포장밥의 국내 시장규모는 국내 한 업체의 판매 자료에 따르면 매년 15-20%의 성장률을 보이며 그 판매액이 출시 10년 만에 70억에서 830억 규모로 12배가량 증가하였으며 현재 시장 규모는 연간 1,200억원에 이르고 있다(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맛이 우수한 고품질 벼 품종개발과 미질관련 형질구명을 위한 안정적인 품질분석 및 식미검정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으며, 최근 소비 트랜드에 부합되어 쌀 소비확대를 위하여 무균포장밥, 삼각김밥 및 도시락과 같은 편의식품용 가공밥에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고 식미와 관련된 중요한 원료쌀과 무균포장밥의 특성 평가 및 산업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추진하였다.
주안벼의 식미특성 우수성을 구명하기 위해 본 실험에서 사용한 대비 품종은 무엇인가? IlpumJuanbyeo), 하이아미(Oryza sativa cv. Haiami) 등식미특성 차이가 명료한 품종을 선택하였으며, 대비품종으로는기존 무균밥제품의 원료곡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청벼(Oryza sativa cv. Chucheongbyeo)와 고시히까리(Oryza sativa cv. Koshihikari)를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ae JC. Present situation, research and prospect rice quality and bioactivity in Korea. Food Sci. Indus. 37: 47-54 (2004) 

  2. Na GS, Lee SK, Kim SY. Antioxidative effe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rice cultivated by organic farming and ordinary farming.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36-41 (2007) 

  3. Min KC, Kim PJ. Influence of cultivar on rice cooking properties. Korean J. Food Nutr. 8: 330-334 (1995) 

  4. Del Mundo AM. Sensory assessment of cooked milled rice in chemical aspects of rice grain quality.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IRRI), Metro Manila, Philippine. pp. 313-326 (1979) 

  5. Gomez KA. Effect of environment on protein and amylose content of rice in chemical aspects of rice grain quality.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IRRI), Metro Manila, Philippine. pp. 59- 68 (1979) 

  6. Suzuki H. Amylograph and alkali viscography of rice in chemical aspects of rice grain quality.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IRRI), Metro Manila, Philippine. pp. 261-282 (1979) 

  7. Jeong JH, Han SJ, Cho WD, Hwang HJ. Identification of spoilage bacteria isolated from aseptic packaged cooked rice and application of acidic electrolyzed saline solution as water-for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788-793 (1999) 

  8. Kum JS, Lee CH, Lee SH, Lee HY. Effect of microwave reheating on quality of aseptic -packaged cooke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528-537 (1996) 

  9. Chun A, Song J, Kim KJ, Kim JH, Son JR, Oh YJ. Sensory and quality evaluation of aseptic-packaged cooked rice by cultivar. Korean J. Crop Sci. 52: 439-446 (2007) 

  10. Juliano BO. A simplifide assay for milled-rice amylose. Cereal Sci. Today 16: 334-340 (1971) 

  11. Juliano BO.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rice. In Rice Chemistry and Technology. American Association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pp. 175-205 (1985) 

  12. Son JR, Kim JH, Lee JI, Youn YH, Kim JK, Hwang HG, Moon HP. Trend and further research of rice quality evaluation. Korean J. Crop Sci. 47: 33-54 (2002) 

  13. Kwon YW, Lee EW, Lee BW. Climate, soil and cultural technology of the areas producing high quality rice in Korea with empha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Ichon and other regions. RDA. J. Crop Sci. 33: 291-303 (1990) 

  14. Kim YD, Ha UG, Song YC, Cho JH, Yang EI, Lee JK. Palatability evalu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Korean J. Crop Sci. 50: 24-28 (2005) 

  15. Ha KY, Choi YH, Choung JI, Noh GI, Ko JK, Ree JK, Kim CK. Effect of appearance, viscosity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n rice palatability in some rice varieties. Korean J. Crop Sci. 51: 21-24 (2006) 

  16. Okabe M. Texture measurement of cooked rice and its relationship to the eating quality. J. Texture Stud. 10: 131-152 (19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