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폐경 증상과 우울
Menopausal Symptoms and Depression Among Midlife Wome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1 no.4, 2010년, pp.429 - 438  

이홍자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  김춘미 (선문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menopause, depression and menopausal symptoms, and the relations among these factors in South Korean midlife women. Methods: The subjects were 319 midlife women in Daegu City. Measures were Zung's Self-Report Dep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D 지역에 거주하는 40~6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일반적 특성, 건강 생활습관, 월경 관련 특성, 우울 및 폐경 증상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폐경 증상의 완화를 위한 적절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건강 생활습관, 월경 관련 변수, 우울 및 폐경 증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직접 응답하도록 하는 자가보고식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정서적 변화와 신체적 변화로 인하여 중년여성들은 우울증이나 만성질환에 이환되기가 쉬워 건강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시기이다(Cho, 2006). 본 연구에서 나타난 중년여성의 우울과 폐경 증상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논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건강한 삶을 위한 간호중재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D지역에 거주하는 40~60세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일반적 특성, 우울 및 폐경 증상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중년여성들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었다. 본 연구는 자가보고식 서술적 조사연구이 었으며, D지역에 거주하는 중년여성 330명을 임의 표출하여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고 이중 319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 이에 중년여성들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 생활습관, 월경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 건강 생활습관, 월경 관련 변수, 폐경 증상 및 우울과의 상호 관계를 분석하여 중년여성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경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여성에 있어서 이러한 중년기의 변화는 폐경과도 관련이 있다. 폐경은 여성의 생식 기능이 소실하고 난소의 기능이 저하되어 여성으로서의 생식 기능을 종료하고 노년기로 이행함을 의미한다. 폐경기는 대체로 40~55세로 보고 있으나 체질, 영양상태, 분만의 횟수 등에 따라 개인차가 있다(Kim & Moon, 2006).
폐경이 발생하는 나이는 각 나라마다 어떤 추이를 보이는가? 월경의 주기에 변화가 있으면서 폐경 증상을 인지하기 시작하는 폐경 전기부터 완전히 폐경이 되어 1년 이상 월경이 없는 폐경 후기 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걸리며 이 기간 동안 여성들은 폐경 증상으로 고통을 겪는다 (Park & Sim, 2009). 폐경 시기는 각 나라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선진국 여성들의 폐경 시기는 평균 52세이며, 한국 여성은 49.3세, 멕시코 여성은 48세, 터키 여성은 45.8세로 보고되고 있다(Melby, Lock, & Kaufert, 2005; Price, Srorey, & Lake, 2008; Radloff, 1977). 또한 비흡연자 보다 흡연자가 폐경이 일찍 오기 때문에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평균 수명이 점점 길어지면서 폐경 이후 여성의 삶의 질이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Kim & Hong, 2010; Rees & Purdie, 2006).
폐경기를 맞으며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가? 이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월경이 중지되고, 에스트로겐 분비의 감소는 자율신경중추에 작용하여 자율신경계의 실조를 일으킨다. 그결과 안면홍조, 복부팽만, 손발 저림, 요통 또는 관절통, 발한, 성교통 등의 신체적 증상과 짜증, 건망증, 불면증, 정서 변화 등의 심리적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Kim & Kim, 2008; Song & Chung, 1998). 월경의 주기에 변화가 있으면서 폐경 증상을 인지하기 시작하는 폐경 전기부터 완전히 폐경이 되어 1년 이상 월경이 없는 폐경 후기 까지는 상당한 기간이 걸리며 이 기간 동안 여성들은 폐경 증상으로 고통을 겪는다 (Park & Sim,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erg, J. A., Larson, C. A., & Pasvorgd, A. E. (2007). Menopausal symptom perception and severity: Results from a screening questionnaire. Th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 940-948. 

  2. Cho, H. J. (2006). A integrative marital therapy for depressive woman in midlife.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1 (3), 363-376. 

  3. Choi, H., Lee, H. K., & Park, H. M. (2003). The Korean menopausal women's attitudes and awareness on menopause: Results of Korean Gallup Epidemiologic Survey on Menopause and HR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use, 9 (1), 36-43. 

  4. Chung, E. S. (1996).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menopausal syndromes in women at midlif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3 (2), 230-240. 

  5. Im, E. O. (2006). The midlife women's symptom index(MSI). The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7 , 268-287. 

  6. Jan, B. (2008). Physiology and effects of the menopause. Nurse Prescribing, 6 (5), 202-207. 

  7. Kang, B. M. (2007). Menopausal symptoms a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3 (3), 164-172. 

  8. Kim, J. H., & Moon, H. S. (2006). Health perception, body image, sexual function and depression in menopausal women according to menopausal stag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3), 449-456. 

  9. Kim, S. M., & Kim, S. Y. (2008). A study on aging anxiety and self-efficacy of middle aged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Academy of Psychiatric Nursing, 17 (3), 281-291. 

  10. Kim, T. H., & Hong, Y. P. (2010). Endocrine disrupter and menopaus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16 (1), 1-5. 

  11. Kim, Y. H., Ha, E. H., & Shin, S. J. (2003).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5), 601-608. 

  12. Liat, L., Valentina, B., Tzvia, B., & Yael, B. (2010). The impact of education, cultural background, and lifestyle on symptoms of the menopausal transition: The women's health at midlife study. The Journal of Women's Health, 19 (5), 975-985. 

  13. Lee, H. J., Park, H. K., Cho, S. H., & Kim, J. H. (1996). Factors affecting pre-and post menopausal women's psychological health.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2 (1), 65-73. 

  14. Lee, H. S. (2008). The effects of an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serum lipids, menopausal symptoms in korean 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 (4), 599-609. 

  15. Matthew, K. A. (1994). Influence of the perimenopause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symptoms of middle aged healthy women.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54 (24), 2341-2355. 

  16. Melby, M. K., Lock, M., & Kaufert, P. (2005). Culture and symptom reporting at menopause. Human Reproduction Update, 11, 495-512. 

  17. Mitchell, E. S., & Woods, N. F. (1996). Symptom experiences of midlife women: Observations from the Seattle midlife women's health study. Maturities, 25 (1), 1-10. 

  18. Park, H. S., Kim, S. K., & Cho, G. Y. (2003). A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wome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9 (4), 479-488. 

  19. Park, J. M., & Sim, H. S. (2009). Effects of self-efficacy, personality and spirituality on meaning in life at mid-life according to psychological functio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1 (1), 311-328. 

  20. Park, Y. J., Paik, H. Y., Kim, Y. J., Hong, S. S., Kim, M. J., Yoon, J. W., et al. (2003). Association of diet with menopause symptoms in korea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3), 386-394. 

  21. Price, S. L., Srorey, S., & Lake, M. (2008). Menopause experiences of women in rural areas. Th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1 (5), 503-511. 

  22.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23. Rees, M., & Purdie, D. (2006). Management of the menopause. London: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24. Song, A. R., & Chung, E. S. (199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nopause symptom scal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enopause, 4 (1), 72-85. 

  25. Song, O. H. (1997). The self-rating depression of neuropsychiatry OPD patients. Neuropsychiatry, 19 (3), 234-245. 

  26. Teoman, N., Ozcan, A., & Acar, B. (2004). The effect of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and quality of life in postmenopausal women. Maturities, 47, 71-77. 

  27. World Health Organization(2006).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 Retrieved October 25, 2010, from http://www.who. int/substance_abuse/research_tools/en/ chinese_zung.pdf 

  28. Yang, S. O., Kim, S. Y., Lee, H. S., Lee, W. I., & Han, Y. R. (1996). Women and health. Sumoonsa. Seoul. 

  29. Yang, J., Li, S. J., & Zheng, Y. L. (2009). Predictors of depression in chinese community-dwelling people type 2 diabetes. Th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8, 1295-13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