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간호의 질에 대한 개념분석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Concept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6, 2010년, pp.757 - 764  

최미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aper is a report of a concept analysis of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Methods: Rodgers's evolutionary method of concept analysis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published literature related to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Results: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아동간호의 질에 대한 개념분석을 통해 그 속성을 파악하고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게 함으로써 아동간호현상에 초점을 둔 지식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Rodgers (2000)의 진화론적 방법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 아동간호의 질을 개념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개념분석과 관련된 간호이론 과목을 이수하고 광범위한 문헌고찰을 통해 문헌에서의 간호의 질에 대한 의미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개념분석 논문과 개념분석 방법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고 이후 Rodgers (2000)의 진화론적 방법으로 개념분석한 문헌에 중점을 두고 숙지함으로써 아동간호실무 영역에 내재되어 있는 아동간호의 질의 의미와 속성에 대한 개념분석 준비를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Rodgers (2000)의 진화론적 방법을 이용하여 아동간호실무영역에서 아동간호의 질에 대한 속성을 파악하고 명확한 이해를 돕고자 시도되었다.
  • 따라서 아동간호실무영역에서 아동간호의 질을 무엇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개념의 이해는 모호하며, 개념이 발생하는 간호현상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간호의 질에 대한 개념 정립과 명확한 이해를 위해 시도되었으며, 아동간호실무영역에서 아동간호의 질 개념을 사용하는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간호란 무엇인가? 개념분석을 통해 확인된 의미와 속성을 토대로 아동간호의 질을 정의하면, 가족의 맥락에서 아동/부모와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전문적인 돌봄을 수행하여 아동에게 바람직한 결과가 오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아동간호의 질의 선행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확인된 아동간호의 질의 속성을 중심으로 개념 발생 전에 나타나는 선행요인은 아동과 부모가 간호의 질을 무엇으로 보고 어떠한 결과를 요구하는지에 따라 개별화된 중재가 이루어지며, 아동간호사가 이전에 간호실무에서 각기 다른 연령, 질병상태, 상황, 아동과 부모의 선호성에 따라 어떻게 간호중재를 하고 환자간호를 경험했는지에 따라 다르게 설명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아동간호의 질의 선행요인은 ‘아동과 부모의 간호에 대한 기대’ 와 ‘아동간호사의 환자간호 경험’ 으로 요약될 수 있다.
Rodgers의 진화론적 방법에 따른 개념분석 방법의 구체적인 과정은 어떻게 되는가? 1) 관심개념(대리용어 포함)과 연관표현을 확인한다. 2) 자료 수집에 포함시킬 적절한 영역(분야, 기간 등)을 확인하고 선택한다. 3) 개념의 속성과 맥락적 근거를 규명하기 위해 관련된 자료를 수집한다. 4) 개념의 맥락적 특성과 관련된 자료를 분석한다. 5) 개념의 모델 사례를 규명한다. 6) 개념 발달을 위한 가설과 함의를 규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ttree, M. (1996). Towards a conceptual model of 'Quality 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3, 13-28. 

  2. Bae, S. H., & Shin, S. R. (2003). Development of a quality evaluation tool for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patient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5, 628-638. 

  3. Betz, C. L., Cowell, J. M., Craft-Rosenberg, M. J., Krajicek, M. J., & Lobo, M. L. (2007). Health care quality and outcome guidelines for nursing of children and families: Implications for pediatric nurse practitioner practice, research, and policy.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21, 64-66. 

  4. Chi, S. A. (1997). Outcome indicator of quality nursing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3, 107-118. 

  5. Craft-Rosenberg, M., Krajicek, M. J., & Shin, D. S. (2002). Report of the american academy of nursing child-family expert panel: Identification of quality and outcome indicators for maternal child nursing, Nursing Outlook, 50, 57-60. 

  6. Forrest, C. B. (2004). Outcomes research on children, adolescents, and their families: Directions for future inquiry. Medical Care, 42, III-19-III-23. 

  7. Forrest, C. B., Simpson, L., & Clancy, C. (1997). Child health services research: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7, 1787-1793. 

  8. Gunther, M., & Alligood, M. R. (2002). A discipline-specific determination of high quality nursing ca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8, 353-359. 

  9. Institute of Medicine, Committee on Quality Health Care in America. (2001). Crossing the quality chasm: A new health system for the 21st century.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0. Jun, M., Peterson, R. T., & Zsidisin, G. A. (1998).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quality dimensions in health care: Focus group interview results.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23, 81-96. 

  11. Kim, N. Y., Jang, K. S., Ryu, S. A., & Kim, Y. M. (2003). The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in Korea in relation to the evaluation of quality of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9, 337-352. 

  12. Kwon, S. B., Chi, S. A., Back, K. S., Yu, S. O., Ju, S. N., Kim, B. J., et al. (2001). Content analysis of quality nursing care perceived by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1, 380-390. 

  13. Lacey, S. R., Klaus, S. F., Smith, J. B., Cox, K. S., & Dunton, N. E. (2006). Developing measures of pediatric nursing quality.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1, 210-220. 

  14. Larrabee, J. H. (1996). Emerging model of quality.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8, 353-358. 

  15. Lee, P. (2007). What does partnership in care mean for children's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6, 518-526. 

  16. Lenburg, C. B., Klein, C., Abdur-Rahman, V., Spencer, T., & Boyer, S. (2009). The COPA model: A comprehensive framework designed to promote quality care and competence for patient safety.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 312-317. 

  17. Lindeke, L., Nakai, M., & Johnson, L. (2006). Capturing children's voices for quality improvement, MCN: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31, 290-295. 

  18. Macphee, M. (2007). High-quality health care for children: What can we do?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 22, 1-3. 

  19. Miles, M. S. (2003). Support for parents during a child's hospitalization.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3, 62-64. 

  20. Parish, S. G. (1986). Quality vs. quantity: Which type of nursing do you practice? Journal of Practical Nursing, 36, 30-31. 

  21. Pelander, T., Lehtonen, K., & Leino-Kilpi, H. (2007). Children in the hospital: Elements of quality in drawing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2, 333-341. 

  22. Pelander, T., Leino-Kilpi, H., & Katajisto, J. (2007). Quality of pediatric nursing care in Finland: Children's perspective.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22, 185-194. 

  23. Pelander, T., Leino-Kilpi, H., & Katajisto, J. (2009). The quality of paediatric nursing care: Developing the child care quality at hospital instrument for childr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5, 443-453. 

  24. Price, P. J. (1993). Parents' perceptions of the meaning of quality nursing car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6, 33-41. 

  25. Rodgers, B. L. (2000). Concept analysis: An evolutionary view. In B. L. Rodgers & K. A. Knafl (2nd Ed.), Concept Development in Nursing: Foundations, Techniques, and Applications (pp. 77-102). Philadelphia: W. B. Saunders Company. 

  26. Sarajarvi, A., Haapamaki, M.L., & Paavilainen, E. (2006).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for families during their child's illnes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53, 205-210. 

  27. Schnorr, E. (1999). Quality indicator and outcomes -so what. Academy of Medical Surgical Nurses, 8, 4-5. 

  28. Taylor, A. G., Hudson, K., & Keeling, A. (1991). Quality nursing care: The consumers' perspective revisited. Journal of Nursing Quality Assurance, 5, 23-31. 

  29. Walker, L. O., & Avant, K. C. (2005).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4th eds.).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30. Ygge, B. M., & Arnetz, J. E. (2004). A study of non-response in a questionnaire survey of parents' views of paediatric car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2, 5-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