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 환경평가지표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Environmental Evaluation Index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1 no.6, 2010년, pp.99 - 108  

임만택 (조선대학교 건축학과) ,  권창룡 (세명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indices in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and to presents how to develop a sustainable environmental evaluation index. The index should be used to evaluate composite plans in the environmental aspects as well as means for setting goals of basic plans for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런데 방법론상의 검토과제로는 첫째 이 기법을 다른 지역이나 도시에 적용하여 비교분석하여 척도나 인자의 안정성, 보편성, 한계 등을 밝히는 데 있다. 둘째는 SD조사에 이용하는 척도를 음미하여 지역특성을 나타내는 다른 형용사에 대해서도 검토를 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행정에서 환경지표를 이용하고 작성하는 데 있어 환경관련법에 의한 환경지표, 도시개발에 따른 환경영향, 다른 도시와의 비교, 주민참여에 의한 환경관리계획 등의 내용과 수준을 검토하고, 나아가 장래 예측이 가능한 지속가능 환경평가지표의 개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환경지속성지수의 구성체계는 압력-상태-반응(PressureState-Response: PSR)구조2)를 기본적인 틀로 개발하고 있 으며, 환경지속성은 핵심적인 구성요소들의 기능으로 나타낼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지표란? 일반적으로「지표」는 “어느 상태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수치 또는 대체물”이라는 정도의 의미에서 매우 널리 이용되고 있고, 「환경지표」는 “환경의 상태나 환경대책의 상황을 측정하는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환경지속성지수의 구성체계는 어떤 구조를 기본적인 틀로 개발하고 있는가? 환경지속성지수의 구성체계는 압력-상태-반응(PressureState-Response: PSR)구조2)를 기본적인 틀로 개발하고 있 으며, 환경지속성은 핵심적인 구성요소들의 기능으로 나타낼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주민의식에 의거하여 환경지표를 만들기 위한 일반적 순서에 해당하는 4가지 작업은 무엇인가? 주민의식에 의거하여 환경지표를 만들기 위한 일반적 순서는 크게 4가지의 작업으로 구성된다. 첫째는 지표작성의 방침결정, 둘째로 주민의식조사의 실시, 셋째로 환경 정보시스템의 정비, 넷째로 지표의 작성과 산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상목 (2002). 우리나라 환경지수 작성에 관한 연구. 서울: 통계연수원.국립환경연구원. 

  2. 강상목 외 (2000). 환경지표와 지표체계 개발. 국토연구, 30, 국토개발연구원, 31-49. 

  3. 김명진 외 (1993). 환경상태의 평가를 위한 주민환경지표의 개발. 환경영향평가, 2(1), 31-38. 

  4. 김명진 외 (1988.2). 도시생활의 질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5. 변병설.주용준 (2000). 신도시의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지표설정 및 평가. 국토계획, 35(1), 69-84. 

  6. 성현찬 (1995). 경기도의 쾌적환경평가 및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경기개발연구원. 

  7. 손부순 외 (2001). 환경위해성평가. 서울: 21세기사. 

  8. 윤소원 외 (1999). 지속가능한 도시의 평가모형 개발에 관한 이론적 연구. 국토계획, 34(6), 145-160. 

  9. 이동근 외 (1997). 도시지속성지표 구축을 위한 개념적 연구. 환경영향평가, 6(1), 33-45. 

  10. 이동근 외 (1998).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환경지표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7(1), 93-107. 

  11. 이방흔 외 (1990). 환경지표의 종합체계화 기법개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I), 서울: 국립환경연구원. 

  12. 임만택 (2009). 친환경도시건축, 서울: 문운당. 

  13. 장준기 외 (1990). 환경지표의 종합체계화 기법개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II), 서울: 국립환경연구원. 

  14. 정영근.이준 (2003). 지속가능발전지표의 지수화 연구, 서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5. 정용 외 (1996). 지속가능한 개발지표 도출을 위한 기본적 구성, 환경영향평가, 5(2), 79-91. 

  16. 조덕호 외 (2004). 환경정책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환경지표의 중요도 평가. 한국행정논집, 16(4), 713-734. 

  17. 최덕일 외 (1992). 환경평가지표의 개발. 환경영향평가, 1(1), 31-40. 

  18.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5). 도시지표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 환경부 (2001). 지방의제21 추진현황 분석 및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과천: 환경부. 

  20. 淺見泰司 (2001). 住環境 評價方法と理論,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21. 荒木稔.松井健 (1983). 行政目標としての生活環境指標, 都市問題, 74(12), 東京: 財?法人 東京市政調査會, 5-13. 

  22. 中口毅博 (1998). 自然環境總合指標による土地利用フレ一 ムの 評價に關する硏究, 都市計劃論文集, 33, 817-822. 

  23. 風見正三.原科幸彦 (2006). 都市の環境持續可能性指標 (ESI) の開發に關する硏究-東京都を對象としたケ一ススタ ディ. 日本 不動産學會誌, 20(1), 107-119. 

  24. 盛岡 通 (1994), 環境をまもり育てる技術, 東京: ぎょうせい. 

  25. 內藤正明外 (1986). 環境指標, 東京: 學陽書房. 

  26. 內藤正明外 (1995). 環境指標の展開, 東京: 學陽書房. 

  27. 內藤正明 (1996). 地球制約下の新たな社會像と環境指標, 環境 硏究 100, 東京: 環境調査センタ一, 153-159. 

  28. 宇都宮深志 (1996). 地方自治における環境行政の基本的?組 と 方向, 環境硏究. 100, 東京: 環境調査センタ一, 160-165. 

  29. 中口毅博 (2000). 持續可能な發展の指標に關する國內外の 動向と課題. 環境情報科學 29(3), 東京: 環境情報科學センタ 一, 11-15. 

  30. 增原義剛 (1994). 地球化時代の環境戰略, 東京: ぎょうせい. 

  31.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2002, 2005, 2008, 2010). Yale: CIESIN. 

  32. Fotman & Godron (1986). Landscape Ecology, New York: John Wiley & Sons. 

  33. McHarg, I. (1969). Design with Nature, New York: Natural History Press. 

  34. OECD (1993). Indicators for the Integration of Environmental Concerns into Transport Policies, Environment Monographs, 79, Paris. 

  35. UNCSD (1995). Report of the Secretary-General for Third Session, April, E/CN.17, Genev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