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The Study on Proper Way for Engineering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ies and Expected Competencies of Engineering Freshmen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13 no.6, 2010년, pp.57 - 71  

이경희 (대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권혁홍 (대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이정례 (대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이성진 (대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통하여 획득해야 하는 핵심역량들을 추출하여 공과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는 현재의 역량수준과 기대하는 역량수준을 조사하고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핵심역량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서, '전공능력', '교양능력', '외국어능력', '기초수학능력', '인간소통능력'의 5가지를 공학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되어야 할 핵심 역량으로 추출하였다. 이를 연구도구화 한 뒤, C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 584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을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입생들은 모든 역량에서 현재 역량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외국어 역량'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았다. 기대인식수준에 대한 교육요구도 '외국어능력'이 가장 높았고, '전공능력'은 두 번째로 높았다. 둘째, 신입생들의 하위특성을 성별, 고등학교 계열별, 출신고등학교의 지역별, 대학입학전형 유형별, 수능 수리유형별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하위특성별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으로 외국어(영어)교육의 강화, 학습자의 하위 특성에 따른 개인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 전공능력뿐 아니라 교양능력 및 인간소통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관련 프로그램의 강화,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자료 축적을 통한 공학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작업, 공학교육과정과 특별프로그램을 통한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current competency and expected competency of engineering freshmen by extracting core competencies acquired from university education. It also aims to suggest proper way for engineering university education. This study extracts competencies in the follow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과대학 신입생의 역량수준에 대한 현재인식수준과 대학교육을 통하여 육성되기를 기대하는 기대인식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기존 A, B, C 대학의 2005, 2008, 2009년도 신입생 대상 설문지를 참고하여 설문지를 자체제작하였다. 이 설문지는 관련 전문가 6인에 의해 수정 보완되었고, 2009년 12월 10여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 계수가 낮은 항목의 삭제 및 역량별 조정 등을 통해 최종 사용되었다.
  • 최근 공과대학 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하여 공학교육인증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운영방안(최경미 외, 2007;노태환, 2008; 장인식 외 4인, 2008) MSC교과목 특히 수학 교과목의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들(김남희, 2005;전재복, 2008; 강은주, 2009; 김광한 외, 2009; 최은정, 2009)이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공과대학 학생들이 대학생활을 통하여 획득해야 하는 역량을 토대로 한 공과대학 교육방향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통하여 획득해야 하는 역량들은 무엇이며, 이러한 역량들에 대하여 공과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는 현재의 역량수준과 기대하는 역량수준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통하여 획득해야 하는 역량들은 무엇이며, 이러한 역량들에 대하여 공과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는 현재의 역량수준과 기대하는 역량수준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 교육프로그램과 교육 환경적 요인들은 학생들의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가? 대학 유지경쟁은 대학교육의 초점을 교수와 교수의 가르침에서 학생과 학습자의 학습으로 변화시키는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왔다. 학생의 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교육프로그램, 서비스, 교육 실제에 대한 관심이 학생들의 교육적 경험의 질을 증가시키고 학위를 취득하는 데 기여한다는 연구들(Astin, 1993a; Astin, 1993b; Chickering & Gamson, 1987)에서 보듯이, 대학 교육프로그램과 교육 환경적 요인들은 학생들의 대학 지속률(retention rate)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최근 우리나라 대학의 지원자들은 합격가능한 수능성적과 내신성적 또는 수도권 지역의 대학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면서 학과를 선택하고 있고(노국향, 1997; 손준종, 2002; 신봉섭, 이석열, 2003; 조승제, 2009), 대학에 진학하고 나서도 대학특성이나 취업전망에 따라서 편입이나 전과를 시도하는 경우가 많은 점을 고려할 때, 학습자 중심의 직업시장과 연계한 역량 교육이 필요하다.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교육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대학 학부생의 성공과 관련된 행동으로 정보습득, 비판적 읽기와 듣기 능력, 학과 역량이나 학과 외 활동에의 헌신적 참여, 컴퓨터 활용능력과 인터넷 검색능력, 출석과 양심, 학업수행, 유목적적 행동과 미래에 대한 계획(Campbell et al, 1993) 등은 단순한 인지적 지식이나 기술만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미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교육은 전통적인 ‘교과’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숙달하고자 하는 직무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낼 수 있는 역량(competency) 중심이 되어야 하고, 공과대학 역시 전통적인 교과(discipline) 중심의 기술적 지식을 넘어서서 넓은 범위의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더 포괄적인 시야(comprehensive view), 즉 더 넓고 연결된 교육적 경험을 가지도록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Bordogna et al., 1993).
대학교육을 통하여 획득해야 하는 핵심역량들을 추출하여 공과대학 신입생들이 인식하는 현재의 역량수준과 기대하는 역량수준을 조사하고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해 보고자 C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 584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을 조사 분석 한 결과는? 이를 연구도구화 한 뒤, C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 584명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에 대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을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신입생들은 모든 역량에서 현재 역량수준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외국어 역량'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았다. 기대인식수준에 대한 교육요구도 '외국어능력'이 가장 높았고, '전공능력'은 두 번째로 높았다. 둘째, 신입생들의 하위특성을 성별, 고등학교 계열별, 출신고등학교의 지역별, 대학입학전형 유형별, 수능 수리유형별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하위특성별로 현재인식수준과 기대인식수준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공과대학 교육의 방향으로 외국어(영어)교육의 강화, 학습자의 하위 특성에 따른 개인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설계 및 실행, 전공능력뿐 아니라 교양능력 및 인간소통능력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와 관련 프로그램의 강화, 교수-학습과정에 대한 피드백 자료 축적을 통한 공학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수정 보완작업, 공학교육과정과 특별프로그램을 통한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제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광한 외 3인(2009). 대학수학교육의 현황과 7차교육과 정세대의 효율적인 수학교육방안. 수학교육논문집, 23(2): 255-277.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2. 김남희(2005). 예비수학교사교육에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 사례연구- 7-9단계 수학수업과 연계된 교수?학습보조자료 개발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7(4): 337-352. 대한수학교육학회 

  3. 김동일 외 5인(2009). 대학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역량: 서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0(2): Asian Journal of Education 195-214. 

  4. 김선희(2007). 남녀 학생의 수학 기초학력과 배경 변인의 분석. 수학교육, 46(1): 33-52.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5. 김안나, 김태중, 김남희,이석재, 정희욱(2003).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연구 II. 한국교육개발원 RR2003-15. 

  6. 노국향(1997) 대학지원 양상에 기조한 한국고등교육 인구의 편포분석. 체육과학연구 19(2): 82-90. 

  7. 노태완(2008). 고등학교 7차 교육과정을 이수한 공과대학 신입생의 수학 및 과학 과목에 대한 기초학력평가 및 분석.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3-14. 

  8. 박영숙(2009). 미래사회 메가트렌드와 교육의 변화. 한국 학술정보원(2009). 2009 대학정보화 최신동향 분석 자료집. KERIS 연구자료 RM 2009-25. 3-38. 

  9.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 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한국교육과정학회. 

  10. 손준종(2002) 지방사립대학 신입생의 대학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고등교육연구 13(2): 49-73 

  11. 신봉섭, 이석열(2003). 대학간의 대학선택 결정과 선택 확신도의 영향요인 비교: 컴퓨터공학 관련 학부를 중심으로. 고등교육연구, 14(1): 27-53. 

  12. 유현숙, 김남희, 김안나, 김태준, 이만희, 장수명(2002).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연구 I. 한국교육개발원 RR2002-19. 

  13. 장인식 외 4인(2008). 중위권 교육중심 공과대학생을 위한 전공연계형 수학교재 모형 개발.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7. 

  14. 전재복(2008). 바람직한 대학기초수학 교육과정 운영방안 -공학기초수학을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22(4): 399-415.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15. 조승제(2010). 수요자중심의 평생교육 체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전문대학의 학과선택 결정요인을 중심으로. 2010년 한국성인교육학회 봄 학술대회 자료집. 93-115. 

  16. 최경미 외 5인(2007). 중위권 대학 신입생의 수학적 배경과 대학수학 성취도 사이의 관계. 수학교육, 46(1): 53-67.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17. 최은정(2009). 대학 미적분학 수준별 교육사례와 수치연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교육과정 개발연구. 수학교육, 48(3): 213-234.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9). 수능 및 학업성취도평가결과 분석 심포지엄 자료집. 연구자료 ORM 2009-4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Astin, A. W.(1993a). What matters in college: four critical tears revisited. San Francisco: Jossey- Bass. 

  20. Astin, A. W.(1993a). What matters in college, Liberal Education, 79(4): pp.4-16. 

  21. Bordogna, J., Fromn, E, and Ernst, E. W. (1993). Engineering education.: innovation through integr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82(1): pp.3-8. 

  22. Campbell, J. P., Kuncel, N. R., & Oswald, F. L.(1998). Predicting performance in graduate school: the criterion problem.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ists. April, 1998. TX: Dallas 

  23. Campbell, J. P., McCloy, R. A., Oppler, S. H., & Sager, C. E.(1993). A theory of performance. In N. Schmitt, & W. Boman(Eds). Personnel selection in organizations. San-Francisco: Jossey-Bass. 35-70. 

  24. Etter, C. M. & Bordogna, J. (1996). Engineering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IEEE, 33-36. 

  25.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1): 1-14. 

  26. OECD(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Retrieved June 15, 2010 from http://www.oecd.org/dataoecd/ 47/61/350703 

  27. Willingham, W. W.(1985). Success in college: the role of personal qualities and academic ability. New York: College Board. 

  28. http://www.anta.gov.au/ABC/default.htm. 

  29. The World Bank Group. http://www.developmentgoals. org/findout-about.html 

  30. Directgov. http://www.dfes.gov.uk/qualifications 

  31. 한국교육평가원. http://www.kice.re.kr 

  32. Ministry of Education. http://www.minedu.govt.nz/Cur riculum/nzcf/frame.htm 

  33. http://www.workforceone.org.sg/ntp.asp 

  34. The World Bank Group. http://www.worldbank.org/ wbp/scapital/bank1.htm 

  35. The World Bank Group. http://www.worldbank.org/ wbp/scapital/bank2.ht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